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龔自珍 후기 사회사상의 성격과 언론활동

        김형열 부산경남사학회 2012 역사와 경계 Vol.83 No.-

        The thought of Gong Zi-zhen is divided into two periods. With a boundary line of 1819(28 years old), the preceding period was from 1792 to 1818, and the latter period was from 1819 to 1841. The major characteristic of social thinking in the preceding period of Gong Zi-zhen is a view of social decline. He diagnosed the society of Qing dynasty as total corruption, incompetency, disablement and disorder, and exposed the aspects of social decline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society he lived. And Gong Zi-zhen was not remained in the level of social criticism, so he made social criticism a basis of social reform. Later his reformism changed into a proposal of practical policy through learning school of Gong-yang(公羊學). So as for Gong Zi-zhen, study of Gong-yang in the latter period of his life was a theoretical weapon to open new society and new era.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thinking in the latter period of Gong Zi-zhen are unfolding historical theory on the basis of Gong-yang study and trying to propose political suggestion as to resolve social disablement and problem, and to practice political reform. Especially the political proposals he suggested were focused into border defense. For example, he proposed establishment of province in the Xin-jiang(新疆) area to disperse the Chinese population in the inner land, and suggested to make defensive preparation in the maritime customs against opium trade of England and their invasion. Even if Gong Zi-zhen was not promoted to the upper government post at that he could practice new policy, he joined opinion group in capital and created public opinion of social reform. So he continuously proposed political suggestion to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and truly wanted to be accepted. The patriotic and reformative thought of Gong Zi-zhen was set in concrete through political exchange among the intellectuals in capital, and was expressed in public works. 공자진의 일생과 사상발전은 크게 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즉 28세가 되는 1819년을 경계선으로 하여 1792년부터 1818년까지를 전기, 1819년부터 1841년까지를 후기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공자진 전기 사회사상의 주요 특징은 한마디로 요약하여 衰世觀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는 당시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에 대한 면밀한 해부를 통해 청조 사회가 당면한 현실이 총체적 부패와 무능, 그리고 병폐와 혼란으로 점철되어 있다고 진단하였고 이러한 “쇠세사회”의 면모를 일일이 비판하고 폭로하였다. 그리고 공자진은 단순히 사회비판의 수준에서 머물지 않고 이를 사회개혁의 근거로 삼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개혁사상은 다시 공양학을 접하게 되면서 실천적 정치개혁론으로 변화하게 되었으니 공양학은 공자진 후기사상 속에서 개혁을 통해 새로운 사회,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한 이론적 무기로서 그 역할을 다하였다. 공자진 후기 사회사상의 주요 특징으로는 공양학에 근거한 史論을 전개하면서 사회적으로 드러난 병폐와 문제점을 해결하고 정치개혁을 실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정책적인 건의를 시도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그가 제기한 정책 건의는 邊防과 관련된 것이 주를 이루었는데 예를 들어 신강성에 행정구역으로서의 省을 설치하여 內地 인구를 분산시키는 동시에 이민족 관리에 효율성을 기하자는 제안과 아편무역을 주도하고 있는 영국의 침략 야심을 간파하고 이에 대해 정치적, 군사적 대비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그 대표적인 것이었다. 공자진은 비록 정책을 실시할 지위에 오르지는 못하였지만 그와 뜻을 같이하는 京師의 지식인들과 함께 여론을 환기하며 개혁의 의지를 높였으며, 時政에 대한 비판과 함께 고위 관원에 대한 상서와 건의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며 그의 정치개혁안을 청조의 지배층에서 받아들여주기를 간절히 원하였다. 그러한 공자진의 개혁적 또는 애국적 사상은 그가 경사에 있는 여러 부류의 인물들과 교류하고 집회를 갖는 가운데 좀 더 공고하게 되었고 여러 편의 글들을 통해 표현되었다.

      • KCI등재

        淸末民初 中國知識人의 日本留學과 동아시아 인식 ‒ 戴季陶와 李大釗의 일본유학 경험을 중심으로 ‒

        김형열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3

        청일전쟁에서 일본에 패한 淸은 변법을 실시하지 않으면 멸망한다는 위기의식 아래 적극적으로 維新의 길을 찾았고, 일본이 강성해진 원인에 대해 탐구하기 시작하였다. 탐구 결과 일본이 강성해 진 것은 유학생을 파견하여 해외에서 문물을 배워오게 한 것이 크게 주효하였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일본 등의 제도적 개혁을 본받기 위해 유학생을 파견하는 정책이 확립되었다. 戴季陶와 李大釗는 각각 淸末과 民初의 일본유학 고조기인 1905년과 1914년에 유학을 시작하여 2년에서 4년 동안 유학생활을 하였다. 戴季陶는 일본유학 시기 일본에 대한 동경을 드러내어日本論을 통해 일본의 특징과 우수성에 대해 논하기도 하였지만 귀국 후 일본의 제국주의 행로를 지켜보며 점차 일본에 비판적으로 변하였다. 李大釗 또한 일본이라는 정치, 문화 환경 속에서 서양의 근대문화를 받아들이며 발전된 민주주의 사상을 받아들일 수 있었지만 이후 일본의 ‘대아시아주의’에 대해 그것이 ‘침략주의’, ‘제국주의’, ‘군국주의’의 다른 이름이라고 비판하면서 이에 대항하는 ‘신아시아주의’를 주창하여 민족해방과 민족공조를 이루고자 하였다. When the Qing dynasty was defeated by Japan in the Sino-Japanese War, Chinese intellectuals started finding out the way that China would be strong and Japan had been strengthened. And They found out the reason of being powerful of Japan, that’s because Japan had been sending the students to west to learn more advanced and modern culture. So Qing dynasty formulated the policy encouraging Chinese intellectuals to study in Japan, and after the Russo-Japanese War, the movement to study in Japan by Chinese intellectuals had been booming in early 20th century. Dai Ji-tao went to Japan to study in 1905 and Li Da-zhao went to Japan to study in 1914, the booming years to study in Japan both in late Qing dynasty and early Republic of China. During studying in Japan, Dai Ji-tao had been attracted in Japanese characteristic and superiority. But after coming back homeland, he changed his attitude to Japan and criticized Japanese imperialism, because Japan had started walking down the road of imperialist. After studying in Japan, Li Da-zhao accepted western style democracy through Japanese modern academic circumstance but strongly opposed ‘Pan-Asianism’ that several intellectuals in Japan insisted at that time. And he advocated ‘New-Asianism’ that insist alliance of weaker nations and resistance to ‘Pan-Asianism’. Eventually he proposed world alliance in that allied weaker nations tried to join. In terms of nation he tried to correct the ways of Japan’s foreign policy, even if he accepted modern political thought during his stay in Japan.

      • KCI등재

        담도패혈증의 동반된 급성 화농성 담관염의 경피적 담배액술

        김형열 대한영상의학회 199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29 No.6

        Acute suppurative cholangitis is a severe inflammatory process of the bile duct occurred as a result of partial or complete obstruction of the bile duct, and may manifest clinically severe form of disease, rapidly deteriorating to life-threatening condition. We analyzed emergency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in 20 patients of acute suppurative cholangitis with biliary sepsis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and complication of the procedure, The underlying causes were 12 benign diseases (stones) and eight malignant tumors and among eight malignant tumors, bile duct stones (n=4) and clonorchiasis (n=1) were combined.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was performed successfully in 17 of 20 patients resulting in improvement of general condition and failed in three patients. The procedures were preterminated due to the patient's condition in two and biliary-porto fistula was developed in one. After biliary decompression by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effective and successful elective surgery was performed in nine cases, which were seven biliary stones and two biliary cancer with stones. Our experience suggests that emergency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is an initial and effective treatment of choice for acute suppurative cholangitis with sepsis and a safe alternative for nonsurgical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