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방과 후 순환운동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자기결정력 및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한철(Kim Hancheol),심태영(Sim Taeyoung),김혜경(Kim Hyekyeong),정연택(Jeong Yeontaek),김성진(Kim Sungji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규칙적인 12주간 방과 후 순환운동을 통하여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과 운동수행능력의 발달가능성을 규명하고, 학교나 가정, 사회생활 속에서 성숙한 인격적 개체로서 존중받으며,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면서 B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남자 경도 지적장애 학생 총 20명으로 참여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을 단순무선 표본추출(simple random sampling)로 할당하여 순환운동에 참여하였다. 측정도구로 자기결정력은 학생을 자기결정력 평가척도(이영미, 2006), 교사용 자기결정력 평가척도(방명애, 2001)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운동수행능력 검사도구는 김정권, 권기덕, 최영하(1987_에 의해서 한국에서도 표준화된 오세레츠키 운동능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PASW Version 18.0K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별 자기결정력과 운동수행능력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측정 시기(사전ㆍ6주경과 후ㆍ사후)에 따른 변화를 반복측정에 의한 변량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방과 후 운동 참여를 통한 자기결정력의 변화에서는 참여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자신에 대한 인식, 자신의 가치 존중, 계획의 변화, 실행의 변화,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총점의 변화 비교에서 평균점수가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참여집단의 변화는 6주보다 12주가 경과한 후 더 많은 증가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운동수행능력의 변화에서는 참여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정적, 손동작, 일반동작의 협응 및 운동속도, 동시적 자발동작, 단일동작 수행능력 및 운동연령에 증가하였으며, 참여집단의 변화는 6주보다 12주가 경과한 후 증가 현상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순환운동을 하면 자기결정력과 운동수행능력은 증가가 되는데,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12주 이상의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12-weeks after-school rotating exercise program on self-determination and sports performance abilities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nts were 20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pecial-education school. Through simple random sampling, 10 students were placed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y were involved in the after-school rotating exercise program. The other 10 students were placed in a control group.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Korean-version of Self-Determination Student Scale (Lee, Youngmi, 2006), Self-Determination Teacher Perception Scale (Bang, MyungAe, 2001), and Standardized Oseresky Sports Ability Test (Kim, Jungkwon, Kwon, Kiduk, & Choi, Youngha, 198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in order to measure changes across time (before intervention after 6 weeks after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that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resented improved self-determination and sports performance abilities than those in a control group. These changes were more prominent after 12-weeks of the after-school rotating exercise program participation than after 6-weeks participation.

      • KCI등재

        승마프로그램이 시각장애 중년여성의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김한철 ( Han Cheol Kim ),김동원 ( Dong Won Kim ),김현석 ( Hyeon Seok Kim ),이영애 ( Young Ae Lee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3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승마프로그램이 시각장애 중년여성의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참가자는 A시에 거주하고 B시각장애연대 회원으로서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40대 이상의 시각장애 여성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20명의 참가자들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두 그룹으로 무작위 할당되었다. 측정된 자료는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되었다.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집단과 측정시점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측정된 자료는 SPSS Version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 전, 6주 후, 사후에 측정된 자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집단과 측정시점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복합변량분석(2 x 3 mixed ANOVA with repeated measure on the second factor)을 실시하였다. 12주간의 승마프로그램 참여는 좌우 전족부의 압력을 감소시켰고 좌·우 전족부의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발에 부하되는 체중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결과들은 승마프로그램이 시각장애 중년여성의 신체적인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orse Riding Program participation for 12 weeks on foot pressure in the middle-aged women with visual impairment. The participants included voluntarily participated middle-aged women who were ⒜ living in A city, ⒝ members of the B visually impaired regiment, ⒞ aging over40 years, ⒟ and having no regular exercise participation. The 20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two groups of experiment and control by simple random sampling.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data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Statistics 19.0. The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05. The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difference of among groups and among measure times 2×3 mixed ANOVA with repeated measure on the second factor was carried out. In case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difference of among groups which it follows in each measure time and one-way repeated ANOVA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difference of among measure times in each group.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foot pressure including balance of the front of foot and the rear of foo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for the middle-aged women with visual impairment the Horse Riding Program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physical, functional change.

      • KCI등재
      • KCI등재

        Aquisição das preposições em português como segunda língua por falantes coreanos: um caso de aprendizes iniciantes

        김한철 ( Kim Han-chul )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2011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8 No.1

        This study has as its aim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acquisition of the prepositions in Portuguese as a second language by Korean speakers. The preposition, among other grammatical factors, is one of the factors that cause difficulty for Koreans because there are no prepositions in the Korean language. In order to do that, we have searched for theoretical support in the concepts of language transfer and interlanguage. The data were generated by means of interviews with 2 Korean speakers learning Portuguese as a second language in Brazil. The results show a transfer from the native language system or avoidanc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and Portuguese languages and to the complexity of the prepositional system. They may also suggest that the participants were still in the initial stage of language acquisition. This research offers some considerations for the tuition of Portuguese as a second language, specifically, for Korean students.

      • KCI등재

        브라질 포어의 정관사 기능에 대한 연구

        김한철 ( Kim Han-chul )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2005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2 No.1

        제2언어로서 혹은 외국어로서 포르투갈어를 학습하는 한국인에게 관사 시스템은 다른 모든 문법적 요소 가운데 가장 습득하기 어려운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이는 한국어에 관사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음은 물론 두 언어간에 한정하는 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이다. 포르투갈 어에서 정관사의 사용은 언어적 문맥에서의 재언급 등의 요인 외에 도 명백한 언급물, 유일한 언급물 등 탈언어적 문맥에서의 상황적인 언급, 그리고 총체적인 언급에서 나타난다. 본 연구는 한국인에 의한 브라질 포어 정관사의 습득 과정 고찰의 전 단계로서, 포어의 정관사 시스템을 한국어와 비교해보고 정관사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문법적인 면과 화용적인 면에 근거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정관사의 사용은 단지 문법적으로 설명할 수 없으며 올바른 사용을 위해선 화용적인 면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어와 포어 간의 언어적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학습자들 뿐만 아니라 언어를 가르치는 교수들에게도 중요한 보조물로서 작용하여 학생들의 습득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 더욱 적합한 교육용 교재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포르투갈어 Zoom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와 강의전략 연구

        김한철(Kim, Han-Chul)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21 중남미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포르투갈어 zoom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효과적인 강의전략을 공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전대미문의 팬데믹 상황에서 포르투갈어 강의에 최초로 시도한 비대면 수업 사례를 배경으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zoom 온라인 수업의 장단점, 보완점, 발전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분석해 보고,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의 관련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포르투갈어 온라인 수업에 고려할 점과 효과적인 실시간 온라인 강의전략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결국 무엇보다 온라인 강의가 활성화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사람은 교수자이며, 가장 초점을 맞춰야 할 부분은 활발한 상호작용이다. 교수자는 학습할 내용을 가르치고 제공한 과제 및 학습자의 질문에 피드백을 적시에 제공해야 하는 것은 물론 온라인 강의 내내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실시간 온라인 강의는 최소한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고 대면 수업과 가장 유사한 교육 환경을 제공해 준다. 그러므로 수업의 효율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자간에 효과적인 온라인 강의전략을 잘 공유하고 활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atisfaction with Zoom online classes in Portuguese and to share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In the unprecedented pandemic situa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learners based on the case of non-face-to-face classes that first attempted to teach Portuguese. Through this, opinions on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complements, and development possibilities of Zoom online classes were analyzed, and relationships with factors that influence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were examined. In addition, points to consider for Portuguese online classes and effective real-time online teaching strategies were suggested. After all, the most important person for online classes to be activated is the instructor, and the most important part is active interaction. Instructors must teach what to learn and provide timely feedback on assignments and learner questions, as well as facilitate mutual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online lecture. Real-time online lectures allow minimal interaction and provid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most similar to face-to-face instructio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can be shared and utilized between faculty members to further increase the efficiency of teaching.

      • KCI등재

        외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의 고려

        김한철 ( Kim Han Chul )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2006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3 No.1

        한 언어를 교육하고 학습함에 있어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야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지에 대해선 그 언어의 특성에 따라 중요시 해야 할 부분이 다를 수 있겠으나, 어떠한 상황에서도 그 나라의 문화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선 이견이 없다. 제 2 언어 환경에서보다 외국어 환경에서 가르치는 시스템이라면 문화에 대한 이해와 설명이 더욱 요구된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에 있어선 문화 역시 가르치는 것이 필요하다. 곧 고유문화에 기초하여 목표문화를 이해하도록 하고 나이, 성, 지역, 사회계층 등에 따른 문화적 요소의 차이를 간과해서도 안 된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과 독일, 브라질과 한국의 문화적 차이를 간략히 비교해 보았고, 미국과 일본, 즉 서양권과 동양권의 대화 스타일을 비교해 봄으로써 왜 외국어를 가르치는 데 있어 문화를 고려해야 하는 가를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모국어와 외국어간의 언어적 요소의 차이 이외에도 자신의 모국어 문화 시스템 하에서 생각함으로 인하여 외국어를 사용함에 있어 자주 오류를 범한다. 여기서 교수의 역할은 상당히 중요하다. 외국어를 가르치는 교수는 언어교육뿐만 아니라 문화교육에 관심을 갖고 그 나라의 문화에 대하여 확실한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만 질 좋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외국어 교육과 학습에서 있어 언어적 의사소통은 물론 문화의 고려가 통합적으로 조화롭게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 KCI등재

        고에너지 열가소성 추진제 제조 및 특성연구(II)

        김한철(Han-cheol Kim),박의용(Eui-Yong Park),정재윤(Jea-Yun Jeong),김윤곤(Yoon-Gon Kim),최성한(Sung-han Choi),강태운(Tae-won Kang),오경원(Kyeong-won Oh) 한국추진공학회 2020 한국추진공학회지 Vol.24 No.3

        In this study, measurement and analysis results from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TGA) on the newly developed high-energy thermoplastic elastomer(ETPE) propellant are described, followed by the previous study done under the same title as this paper [1]. The characteristics of high-energy thermoplastic propellant were also verified by conducting thermal analysis, and the LSGT, Shotgun & RQ Bomb test, was carried out as well. High energetic thermoplastic binders containing 45% of GAP(Glycidyl Azide Polymer), energetic plasticizer(DEGDN) and Oxidizer Aonium Perchlorate), RDX(reseach development explosive, cyclotrimethylenetrinitramine) were used to formulate the propell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