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교육 : 국어 파생어 교육 연구

        김한샘 ( Han Saem Kim )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3 No.-

        이 연구는 파생어에 대한 교육과정 및 문법 교과서의 기술 내용 변천과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발굴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서 영역과 통합된 검정 문법 교과서의 실제 구현 양상을 분석하니 전통적인 파생어 관련 기술의 틀이 깨지고 소략해진 반면 교수·학습 방법론의 측면에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었다. 5차에서 7차까지 국정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파생어 관련 지식의 교육 내용은 6차>5차>7차의 순으로 많았고, 실제 파생어 예시의 양은 5차>7차>6차 순이었으며, 학습 활동은 7차>5차>6차 순으로 완성도가 높았다. 2012년에 발간된 4종의 검정 교과서를 교육의 체계, 범위, 완성도의 면에서 살펴보니 전체적으로 접사 간의 유기적 관계나 파생과 합성의 혼성, 다양한 어종의 접사에 대한 예시와 심화된 설명이 누락된 7차의 단점을 그대로 유지했으나 자율성이 어느 정도 보장된 검정 교과서인 만큼 교과서마다 다른 특성을 보이는 것이 흥미롭다. 5차 교과서 이후 7종의 교과서의 본문과 학습 활동을 분석하면서 발견된 이론의 불일치, 지식 항목의 불균형, 예시의 비전형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론적 합의와 상세범주화와 위계화를 포함하는 지식 내용의 체계화, 계량적 언어 정보의 활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gure out the change process and current state, by extension, improvement plan of vocabulary education for derivative words in curriculum and grammar textbook. Examining authorized grammar textbook integrated reading textbook reveals some difference in frame of descrip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They introduced about just main points of education for derivative word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pplied various approaches. As a result of analysis of grammar textbooks(5th to 7th), the order of the education of knowledge of derivatives is 6 > 5 > 7 , the order of amount of examples for derivatives is 5 > 7 > 6 , and inquiry activities are various in order of 7 > 5 > 6. Since textbooks based on 5th curriculum, they contained theoretical inconsistency, imbalance of knowledge items. We need theoretical knowledge to include detailed information categor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methodology for staging and use of quantitative linguistic information.

      • KCI등재

        한국어의 명사·부사 품사 통용

        김한샘(Kim, Hansaem) 한국언어학회 2015 언어 Vol.40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parate class-conversional words, being limited to ‘Noun・ Adverb class-conversional words’ and to investigate their actual use aspects. It’s not only to admit the concept of ‘word class conversions’ but also to derive the specific range and list of class-conversional words so that word class conversions may be applied to lexicography or education practice. Although it’s seen that the nouns and adverbs of Korean language are firmly divided in form and function, they can be described as class-conversional words that one word functions as more than two parts of speech based on the flexibility of the meaning of part of words, and they are distributed throughout meaning classes that adverbs can have such as space, time, relations, properties, etc. There still remains a challenge to be solved, how to build a boundary even if giving the relation of master and servant to two parts of speech and reflecting on the arrangement order with the use distribution by part of speech. The use distribution by part of speech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a corpus of the subject to be investigated and this is because we can’t find the use examples of all class-conversional words. It’s desirable to complement it with quantitative criteria when it’s determined to be ambiguous after setting up qualitative criteria. To determine ‘Class-conversional word’, we should approach it individually considering diachronic use aspects as well as grammar criteria such as meaning, function, form and distribut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의학 용어집』외래어 표기의 제 문제

        김한샘(Kim Hansaem) 한국사전학회 2009 한국사전학 Vol.- No.13

        The newest medical glossary (the fifth) including 50,580 technical terms was made during the last 3 years. In this paper, we take note of Hangeul transcriptions of loanwords in the glossary. There are two distinct ways for adopting foreign terminology. One is making new words with the same meaning and the other is using the original words themsevles through transcription. The latter is the process for loanwords. We need to decide the spelling of loanwords based on the principle "Hangeul Transcriptions of Loanwords" as a regulation.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t transcription techniques for each specific medical domain. One of the biggest issues in Hangeul transcriptions of medical loanwords is the origin of word. Initially, the committee for the glossary tried to change the aspect of the origin of medical terms for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Unfortunately, they suffered failure because they couldn't reach a consensus nor come up with concrete ideas about delicate plans for applying new principles. We should make sure of consistency in transcribing medical loanwords and try to create proper Korean words matching foreign medical words. It is the desirable way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natural development in the medical science of Korea.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주석의 요건과 실제 - 형태 분석 말뭉치 구축을 중심으로 -

        김한샘 ( Kim Han-saem ) 배달말학회 2017 배달말 Vol.61 No.-

        이 논문은 학습자 말뭉치 주석의 요건에 대해 살펴보고, 실제로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형태 주석하는 데에 기준이 되는 지침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말뭉치 주석은 유의미성, 정확성, 일관성, 복원성, 효율성, 용이성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학습자 말뭉치를 주석할 때는 학습자 오류가 포함되어 있는 학습자 중간언어의 특성 때문에 정확성과 일관성을 갖추기가 힘들다. 이에 작업자 간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한 상세한 지침과 각 태그에 대응하는 주석 대상의 목록이 필수적이다. 국립국어원에서 구축 중인 한국어 학습자 형태 분석 말뭉치는 모어 화자 말뭉치와의 호환성을 위해 21세기 세종계획의 형태 주석 말뭉치 지침을 기본으로 한다. 학습자 말뭉치의 형태 주석은 다음 단계의 오류 주석과 긴밀하게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오형태, 누락, 첨가, 대치 등 학습자 오류의 양상을 고려한 세부 지침이 추가되어 적용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quirements of learner corpus annotation and aims to introduce guidelines that are the basis for annotating of Korean learner corpus in practice. Corpus annotations must meet the requirements of meaningfulness, accuracy, consistency, resilience, efficiency, and simplicity. When annotators attach tags for learner corpus, it is difficult to achieve accuracy and consistency due to the nature of the learner interlanguage that contains learner errors. Therefore, detailed guidelines for resolving the inconsistency between workers and a list of annotation objects corresponding to each tag are essential. The Korean learner corpus built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s based on the corpus annotation guideline of the 21st century Sejong Project for compatibility with the mother language corpus. Since the morphological annotation of the learner corpus is closely related to the error annotation of the next step, detailed guidelines are added to take into account the aspect of learner errors such as omission, addition, and replace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국어 화자의 비언어 행위 연구 - 감탄사에 동반하는 몸짓을 중심으로

        김한샘 ( Han Saem Kim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화자의 느낌이나 의지를 나타내는 감탄사 범주를 대상으로 동반되는 비언어적 행위를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한국어 화자의 비언어 행위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 감탄사라는 범주를 선정한 것은 감탄사가 관습화된 발화부터 지극히 개인적인 발화까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범주의 특성상 감정이나 의지를 강조하기 위해 비언어 행위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감탄사에 동반된 비언어 행위의 출현 양상을 보면 감정이나 의지를 표출하는 데에 가장 적극적으로 동반하는 것은 고갯짓이었다. 특히 긍정과 부정의 의사를 전달하는 응답의 감탄사에서 고갯짓이 두드러진다. 반면 담화의 구조와 관련한 기능적 감탄사가 출현할 때에는 주로 얼굴의 변화, 구체적으로는 시선의 회피가 두드러졌다. 발언권을 유지하기 위한 감탄사와 동반한 손짓은 모두 발화의 내용이나 리듬과 무관한 ‘적응하기’에 해당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non-verbal behaviors co-occurring with exclamation which shows a speaker’s intention and emotion. The motivation to select exclamation in this study is that exclamations are involved in range from conventional utterances to personal utterances and that they can frequently occur with non-verbal behaviors to emphasize a speaker’s intention and emotion. Based on my survey on non-verbal behaviors co-occurring with exclamations, head movements were found most frequently. Specifically, exclamations signifying agreements and disagreements are most salient. In the case that functional exclamations regarding discourse structure appear, facial features are salient and in particular gaze aversion. Hand movements with exclamation related to turn-keeping can be grouped as adaptors.

      • KCI등재

        교육용 어휘 선정을 위한 접두사의 생산성 연구

        김한샘(Kim, Han-saem)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5 No.-

        초등학교 교과서 어휘 분석 말뭉치를 대상으로 고유어 명사 파생 접두사의 생산성을 측정해 보았다. Baayen(1989)의 방법론을 한국어에 적용하기 위해 기존 공식을 검토하여 생산성 측정식을 ‘P = (n1+U+1)?T/N’로 제안하였다. n1은 단발어의 수, U는 미등재어의 수, T는 해당 접사 형성 파생어 종수, N은 빈도가 평균 빈도 이하인 해당 접사 형성 파생어 빈도의 총합을 의미한다. 측정 결과 ‘수- > 한- > 참- > 통- > 암- > 실-, 헛-> 맞-, 덧- > 쇠- > 맨- > 개-, 햇- > 알-, 줄-, 쪽-, 풋-, 날- > 돌- >잔- > 들-, 막-, 찰- > 먹- > 맏- > 늦-, 민-, 외- > 군- , 말-, 웃- >홀- > 메- > 겹- > 떡-’의 순으로 생산성이 측정되었다. 접사의 생산성에 대한 논의는 어종, 세부 범주의 측면에서 확대되어야 하며 그간의 이론적인 연구를 어떻게 어휘 교육에 적용할 것인가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Elementary school textbooks looked vocabulary corpus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productivity of native language noun derived prefix. Baayen(1989) review the existing formula to apply the methodology was proposed in Korean productivity measuring expression as "P = (n1 + U + 1) .T / N". n1 is the number of Sudan I, U is the number of tail lamp Measure, T is the total sum of the macro means forming species derivatives, N is the frequency of the average frequency of less than or equal to the frequency of the macro forming derivatives. Measurement "Su- > Han- > Cham- > Tong- > Am- > Si-, Heot- > Mat-, Deot- > Soe- > Maen- > Gae-, Haet- > Al-, Jul-, Jjok-, Put-, Nal- > Dol- > Jan- > Deuls -, Mak-, Chal- > Meok- > Mat- > Neut-, Min-, Oe- > Gun-, Mal-, Ut- > Hol- > Me- > Gyeop- > Ddeok" was measured in the order. Discussion on the productivity of the macro is to be expanded in terms of species, will get developed into detailed categories and how to apply the theoretical study of vocabulary teaching mean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