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VoiceXML 기반 음성인식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개발

        김학균,김은향,김재인,구명완,Kim Hak-Gyoon,Kim Eun-Hyang,Kim Jae-In,Koo Myoung-Wan 대한음성학회 2002 말소리 Vol.43 No.-

        As there are needs to search the Web information via wire or wireless telephones, VoiceXML forum was established to develop and promote the Voice eXtensible Markup Language (VoiceXML). VoiceXML simplifies the creation of personalized interactive voice response services on the Web, and allows voice and phone access to information on Web sites, call center databases. Also, it can utilize the Web-based technologies, such as CGI(Common Gateway Interface) scripts.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the voice portal service platform based on VoiceXML called TeleGateway. It enables integration of voice services with data services using the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 and Text-To-Speech (TTS) engines. Also, we have showed the various services on voice portal services.

      • KCI등재

        한국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과 변천

        김학균,정창수,임월애,이창규,김숙양,윤성화,조용철,이삼근,KIM Hak Gyoon,JUNG Chang-Su,LIM Wol-Ae,LEE Chang-Kyu,KIM Sook-Yang,YOUN Sung-Hwa,CHO Yong-Chul,LEE Sam-Geun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6

        우리나라 연안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는 1982년 낙동강하구에서 최초로 발생하였으며, 1988년까지는 진해만과 그 부근해역에서 발생하였다. 그러나 1989년 이후부터는 진해만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충무, 거제, 남해, 여수 둥의 남해안의 중부해역에서 주로 발생하였고, 1995년부터는 동해연안까지 발생해역이 확대되었다. 그리고, 1998, 1999년도에는 서해연안에서도 이종에 의한 적조가 발생하였다. C. polykrikoides 적조 발생건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발생시기는 $7\~10$월로 특히 9월에 집중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조지속기간도 매년 증가하여 처근에는 한달 이상 지속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적조밀도 역시 '91년까지는 최고 5,000cells $mL^{-1}$를 초과하지 않았으나, '99년도에는 43,000 cells $mL^{-1}$까지 나타나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C. polykrikoides적조는 '82년과 '84년에는 다양한 규조류 및 편모조류와 함께 발생하는 혼합적조로 출현하였으나, 이후에는 주로 단독적조로 출현함으로써 C. polykrikoides 적조가 혼합적조에서 단독적조로 발전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C. polykrikoides 적조는 발생해역이 우리나라 전연 안으로 확대되고, 적조밀도가 높아지며, 발생기간이 $1\~2$개월로 장기간 지속하고 있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양식산업이 성행하고 있는 충무, 남해도, 거제도, 여수 및 거문도 연안에서 $8\~9$월에 자주 적조를 형성하므로서 양식산업 발전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The first bloom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was observed in the estuary of Nak-dong river near Pusan in Korea in 1982. Since then, there have been irregular blooms, sometimes spread over the adjoining .to Jinhae Bay even though it was confined to the bay and its vicinites until 1988. It had been outbroken frequently in the adjacent to Tongyeong, Geoje, Namhae and Yeosu coast since 1989. It became widespread along the coast of the South Sea to the East Sea of Korea in 1995. And in October in 1998 and 1999, the bloom had been taken place in Kunsan coast of Yellow Sea. According to the observations in situ, the frequency of occurrence has been increased year by year. The prevailing bloom season was from July to October with peak in September. The duration of the bloom became longer with the year, and sometimes lasted more than one month. The density of the bloom did not exceed 5,000 cells $mL^{-1}$until 1991, but it increased year by year to the highest of 43,000 cells $mL^{-1}$ in 1999. With respect to the assembleges of species in dinoflagellate blooms, C. polykrikoides was one of the important species with diatoms and the other dinoflagellates in 1980s. But since then, C. polykrikoides made an almost monospecific bloom. Based on two decadal observations of C. polykrikoides blooms, it became widespread throughout whole coast of the Korea, persistent for about one or two month long in some year, and monospecisc high density blooms. It was reported that significant fish mortalities were caused by this harmful dinoflagellate blooms especially in the fishfarms accomodating intensive fish cages such as Tongyeong, Namhae-do, Geoje, Yeosu and Geomun-do fishfarming yards. This widespread and persistent harmful algal blooms impede the development of marine aquaculture industries.

      • 발표논문 / 한국 연근해 해양환경의 현재와 미래

        김학균(Hak Gyoon Kim) 한국조류학회 2000 국제심포지움 일정 및 발표논문집 - 21세기, 해양환경과 해양생물자원의 전망 Vol.- No.-

        해양은 어장으로서, 해운무역통로로서, 레저와 스포츠공간으로서,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하는 문화공간으로서 그 가치를 다하고 있다. 연간 해양에서 약 1억톤의 800억불의 수산식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해양생태계의 간접적인 효용가치는 약 14~22조달러로 추산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옛부터 바다를 식량자원의 생산지로서 해운무역로로서 활발하게 이용하였다. 해양식품생산은 1990년대이후 연간 300만톤의 수산물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최근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과 건강식품 선호경향 증가등으로 수산물의 수요는 점차 증가추세에 있는데 `94년 현재 417만톤의 수요량에 비해 10년후인 2004년에는 450만톤의 수산물이 요구 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해양식품생산은 국가의 식량 기간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할 중요한 기간산업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해운통로로의 이용은 고려(Korea)라는 국명이 널리 알려지기 전인 삼국시대이전의 장보고시대부터 이루어졌으면 지금은 세계의 8위의 무역대국으로서 명실상부한 해양국가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해양에 대한 경제적인 의존은 국가발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이다. 새로운 해양도전의 비젼을 담고 있는 해양한국 21(Ocean Korea 21)은 생명력 넘치는 해양국토 창조, 지식기반을 갖춘 해양산업의 창출, 지속가능한 해양자원 개발을 통하여 청색혁명을 통한 해양부국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모든 것들은 해양환경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때만 가능하다. 때문에 현재의 해양환경의 질적인 평가와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해양환경은 연안역의 천해성, 이용행위의 특정해역집중성, 강의 편서남향성, 과밀인구의 환경의식 부족등으로 인하여 쉽게 해양이 오염될수 있는 위협을 안고있다. 우리나라 연근해 수역을 해역별로 보면 서해는 간척과 매립이, 남해는 수질의 부영양화에 따른 연안 저산소 수괴의 출현과 적조발생등이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지금까지의 조사결과 우리나라의 근해 수질은 I등급 수질기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연안수질은 1991년 이후 계속 Ⅱ등급(COD 2mg/l 이하) 수질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경제규모의 확대와 교역량의 증가에 따른 해상물동량의 급증, 연안역 이용행위의 증가 등으로 인한 해양오염물질의 배출량이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남해안등에서 는 부영양화 현상이 심화되어 적조현상과 빈소수괴 등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해양은 인간활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최종처리장과 식량 자원의 공급원이라는 서로 상반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금세기의 경제규모의 확대, 산업의 발전, 인구의 꾸준한 증가, 대량생산과 과소비 문화사회 정착은 오염원의 다양화와 배출규모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21세기 해양시대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해양환경을 보전하는데 필요한 모든 노력을 강구해야 한다. 해양환경관리 및 해양환경보전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해양환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론 위해서 국가에서 늘 1980년부터 해양오염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양오염 측정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조사대상해역 및 조사지점을 환대하여 왔다. 또한 해양환경을 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하여 관련 법령과 기구를 계속적으로 강화하여 왔다. 특히 1995년 거의 전 연안에서 발생한 대규모 유해적조가 발생하여 사상 최대의 수산피해를

      • KCI등재

        Grove를 이용한 구조적 SGML 문서의 저장 및 검색

        김학균(Hak-Gyoon Kim),조성배(Sung-Ba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2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8 No.5

        SGML(ISO 8879) has been proliferated to support various document styles and to transfer documents into different platforms. SGML documents have logical structure information in addition to contents. As SGML documents are widely used,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database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ing the logical structure of documents. However, traditional search engines using document indexes cannot exploit the logical structure.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n SGML document storage system, which is DTD-independent and store the document type and the document instance separately by using Grove which is the document model for DSSSL and HyTime. We have used the Object Store, an object-oriented DBMS, to store the structure information appropriately without any loss of structural information. Also, we have supported a index structure for search efficiency like the relational DBMS, and constructed an effective user interface which combines content-based search with structure-based search. 플랫폼에 관계없이 한번 작성된 문서의 정보를 이기종 시스템간 공유하고 다양한 문서 형식을 지원하기 위해 SGML(ISO 8879)이 사용되고 있다. SGML 문서는 내용뿐만 아니라 구조정보를 가지고 있다. SGML 문서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서 구조적 정보를 이용한 데이타베이스의 구축 및 검색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색인어를 이용한 전문 검색 엔진으로는 문서의 구조정보를 활용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DSSSL 및 HyTime의 문서 모델인 Grove를 변형한 데이타 모델을 이용하여 문서 형식에 독립적이면서, 문서 형식과 내용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SGML 문서 저장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구조정보를 손실없이 저장할 수 있도록 객체 지향형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인 오브젝트 스토어(Object Store)를 이용하였다. 또한 엘리먼트에 대해 관계형 DBMS와 유사한 인덱스 구조를 생성하여 검색 성능을 향상 시켰고, 내용기반 검색과 구조기반 검색을 효율적으로 결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였다.

      • 사용자 클러스터링을 통한 개선된 협력적 정보여과

        김학균(Hak-Gyoon Kim),조성배(Sung-Bae Cho) 한국정보과학회 199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Ⅱ

        정보추천 시스템은 사용자가 어떤 정보를 선호하는지를 식별함으로써 산재한 정보 중에서 적절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정보추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여과 기술에는 내용기반 여과와 협력적 여과가 있다. 기존의 협력적 정보여과 기술은 선호도를 적게 제시한 사용자에게 정보를 추천하기 어렵고, 동일한 상품 정보에 대해서 사용자의 평가가 없을 경우 사용자간의 유사성을 판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SV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를 통해 사용자 프로파일을 정량화함으로써 사용자 선호도 행렬로부터 숨어있는 의미정보를 추출하여 동일한 정보에 대해 선호도를 평가해야 한다는 단점을 극복한다. 이 때, 사용자 프로파일 벡터를 비감독 학습 알고리즘인 SOM (Self-Organizing Map)으로 클러스터링하여 사용자를 분류하고, 정보추천은 사용자 그룹간에서 이루어지며 Pearson correl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기존의 방법과 비교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새로운 사용자에 대해서도 적절한 정보를 추천할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

        적조와편모조 Scrippsiella trochoidea 군증식에 미치는 환경요인과 지방산 조성

        임월애,김학균,이원재,이삼석,LIM Wol-Ae,KIM Hak-Gyoon,LEE Won-Jae,LEE Sam-Seuk 한국수산과학회 199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6 No.2

        The cyst of Scrippsiella trochoidea from the surface mud in Masan Bay was germinated in the incubator for the culture. This species was one of dinoflagellates responsible for the early spring bloom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 of Korea. The cultur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the various gradients of environmental factors to know their effects on the population growth of this dinoflagellate.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it was proved that the maximum cell growth was occurred at 4,000 lux of light intensity, salinity $30\%0$ and temperature $20^{\circ}C$. When 0.25ml/ml of the filtrates of Skeletonema costatum culture medium and the supernatants of soil extracts were added to growth medium as organic growth stimulants, both materials enhanced the population growth.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 trochoidea, $C_{16:0}$ was the major component, and $C_{18:0},\;C_{18:1},\;C_{22:0}\;and\;C_{22:1}$ were a minor components. 춘계 마산만에서 적조현상을 일으키는 해산 와편모조류인 S. trochoidea의 cyst를 저니에서 채취, 분리, 발아시켰다. 환경요인에 대한 군증식속도의 실험 결과 수온 $20^{\circ}C$, 염분 $30\%0$, 조도 4,000lux에서 군증식 속도가 빨랐다. 그리고 증식 촉진 유기물질에 대한 실험으로서 규조류(Skeletorema costatum) 배양배지 여과액과 저질추출물질에 대한 실험 결과 각각 0.25ml/ml를 첨가하였을 때 각각 군증식속도가 빠르게 나타났다. 동종의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C_{16:0}$이 가장 많고 $C_{18:0},\;C_{18:1},\;C_{22:0}$ 그리고 $C_{22:1}$ 등의 순으로 분리되었다.

      • KCI등재

        원문만의 해양세균분포와 산소소모량에 관한 연구

        박영태,이원재,박주석,이필용,김학균,PARK Young-Tae,LEE Won-Jae,PARK Joo-Suck,LEE Pil_Yong,KIM Hak-Gyoon 한국수산과학회 199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4 No.5

        반폐쇄만이며 하계동안 저층 빈산소수괴(Hypoxic bottom area)가 형성되는 진해만 일대 해역중의 하나인 원문만에서 해양세균의 계절적 분포와 해양세균이 용존산소소모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하계동안 미소생물의 전자전달계 활성도(Electron transport system activity)로서 잠재적 산소소모량(potential consumption of oxygen)을 구하였다. 해양세균의 계절별 우점종은 추계('89년 10월)에는 Pseudomonas spp., 동계 ('90년 2월)에는 Serratia spp., 춘계('90년 5월)에는 Acinetobacter spp., 하계('90년 8월)에는 Flavobacterium spp.가 우점하였다. 조사기간동안 생균수는 하계('90년 8월)에 표층, 저층, 저질의 평균치가 각각 $2.12\times10^6cells/ml,\;1.34\times10^6cells/ml,\;1.55\times10^7cells/ml$로 높은 분포치를, 동계에는 표층, 저층, 저질의 평균치가 각각 $2.08\times10^5cells/ml,\;1.54\times10^5cells/ml,\;1.28\times10^6cells/ml$로 낮은 분포치를 보여주었다. 또한 전자전달계 활성(Electron Transport System Activity)으로 잠재적 산소소모량을 조사한 결과 하계동안 수괴에서 미소생물군집의 잠재적 산소소모량은 $232.4-637.5{\mu}l/O_2/l/day$, 이중 세균의 잠재적 산소소모량은 $142.6-432.4{\mu}l/O_2/l/day$로서 수괴의 미소생물군집의 잠재적 산소소모량의 약 $55\%$를 차지하여, 하계동안 저층의 산소소모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세균의 잠재적 산소소모량은 생균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Hypoxic bottom $(\leq2.0ml/l),\;40\%\;oxygen\;saturation)$ is formed in the semi-closed Wonmun bay during summer and autumn earl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seasonal distribution of marine bacteria and the role of marine bacteria for forming the hypoxic bottom at Wonmun bay during summer and autumn early, 1990. During the study periods, 170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sea water and sediment. Viable cell counts were ranged between $10^5-10^7\;cells/ml$. The dominant species were Acinetobacter spp. in spring, Flavobacerium spp. in summer, Pseudomonas spp. in autumn, Serratia spp. in winter. Because ETSA(Electron Transport System Activity) reveals potential consumption of oxygen in the aquatic microorganisms, the ETSA was used as potential consumption of oxygen in this study. The potential consumption of oxygen was in the range of $232.4-637.5{\mu}l/O_2/l/day$ by marine organism and $142.6-432.4{\mu}l/O_2/l/day$ by marine bacteria during the study periods. The ratio of potential oxygen consumption of marine bacteria to total marine microorganism was 0.54. The potential consumption of oxygen by marine bacteria closely related with the number of viable cells. Consequently, bacteria play an important role to form Hypoxic bottom at marine environment.

      • KCI등재

        남해안 연안에서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의 출현상황과 온도, 염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특성

        이창규,김형철,이삼근,정창수,김학균,임월애,LEE Chang Kyu,KIM Hyung Chul,LEE Sam-Geun,JUNG Chang Su,KIM Hak Gyoon,LIM Wol Ae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5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rodinium impudicum, Gymnodinium catenatum은 독성을 지니거나, 적조를 일으킴으로써 수산피해 및 보건위생상의 문제를 야기시키는 종이다. 이 종들의 적조발생 환경과 기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종별 생태생리 (eco-physiology) 특성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실험에서는 한국 남해안 연안에서 이들 3종의 출현상황과 성장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 해역에서 분리한 종을 대상으로 온도, 염분, 조도 및 영양염류에 따른 성장도를 조사하였다. 1999년도 남해안 남해도, 나로도, 완도 연안에서 이들 3종의 최초출현시기는 수온이 $22.8\sim26.5^{\circ}C$인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으로써 서로 비슷한 시기에 동반 출현하였다. 유영세포의 소멸시기는 G. catenatum의 경우 8월 중, 하순이었고, C. polykrikoides와 G. impudicum은 수온이 $23^{\circ}C$ 이하로 하강하는 9월 하순이었다. 출현기간 중의 최대밀도는 C. polykrikoides의 경우 $40\times10^6$cells/L 이상으로써 고밀도 증식을 하였으나, G. impudicum과 C. catenatum은 각각 3,460ce11s/L 및 440ce11s/L로써 매우 낮은 밀도로 존재하였다. 배양실험에서 C. polykrikoides, G. impudicum, G. catenatum는 $22\sim28^{\circ}C$에서 양호한 성장을 보였고, 최적수온은 $25^{\circ}C$ 내외로 판단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적조발생시의 수온과 대체로 일치하였다. 염분에 따른 성장률은 3종 모두 $30\sim35\%$에서 양호한 성장률을 보였다. 3종 중 G. impudicum은 비교적 광염성의 특징을 보였고, G. cstenatum은 $35\%$ 이상의 고염분에서 특히, 저조한 성장률을 보였다. 조도에 따른 성장은 C. polykrikoides와 G. impudicum의 경우 특히 7,5001ux 이상의 고조도에서 성장률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 polykrikoides의 경우 조도가 높은 하계에 표층에서 강한 집적현상을 보이면서도 광저해현상을 밟지 않고 양호한 증식을 할 수 있는 특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C. polykrikoides와 G. impudicum의 질산 및 암모니아 질소 농도에 따른 성장은 $40{\mu}M$까지는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률도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종의 질소 임계농도는 $13.5\~40{\mu}M$로 판단되었다. 또한, 인산인은 $4.05{\mu}M$ 까지는 농도가 높을수록 성장률도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큰 성장차를 보이지 않아, 두 종 모두 인산인의 임계농도는 $1.35\sim4.05{\mu}M$로 판단되었다. 한편, C. polyklikoides는 DIN과 DIP 농도가 각각 $1.2{\mu}M$ 및 $0.3{\mu}M$ 이하로 낮았던 나로도와 남해도 외측해역에서도 적조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낮은 영양염류 하에서 왕성하게 증식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 종의 경우 일간 수직이동을 통해 야간에 저층에서 풍부한 영양염류를 흡수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되었다. Three harmful algal bloom species with similar morphology,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odinium impudicum and Gymodinium catenatum have damaged to aquatic animals or human health by either making massive blooms or intoxication of shellfishes in a food chain. Eco-physiological and hydrodynamic studies on the harmful algae offer useful informations in the understanding their bloom mechanism by giving promising data for the prediction and modelling of harmful algal blooms event. Thus, we studied the abundance of these species in the coastal area of South Sea of Korea and their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irradiance and nutrient on the growth for the isolates. The timing for initial appearance of the three species around the coastal area of Namhaedo, Narodo and Wando was between Bate July and late August in 1999 when water temperature ranged from $22.8^{\circ}C\;to\;26.5^{\circ}C$ Vegetative cells of C. polykrikoides and G. impudicum were abundant until late September when water temperature had been dropped to less than $23^{\circ}C$. By contrast, vegetative cell of G. catenatum disappeared before early September, showing shorter period of abundance than the other two species in the South Sea. Both G. impudicum and G. catenatum revealed comparatively low density with a maximal cell density of 3,460 cells/L and 440 cells/L, respectively without making any bloom, while C. polykrikoides made massive blooms with a maximal cell density more than $40\times10^6$cells/L, The three species showed a better growth at the relatively higher water temperature ranging from 22 to $28^{\circ}C$ with their maximal growth rate at $25^{\circ}C$ in culture, which almost corresponded with the water temperature during the outbreak of C. polykrikoides in the coastal area of South Sea. Also, they all showed a relatively higher growth at the salinity from 30 to $35\%$. Specially, G. impudicum showed the euryhalic characteristics among the species, On the other hand, growth rate of G. catenatum decreased sharply with the increase of water temperature at the experimental ranges more than $35\%$. The higher of light intensities showed the better growth rates for the three species, Moreover, C. polykrikoides and G. impudirum continued their exponential growth even at 7,500 lux, the highest level of light intensity in the experiment,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C. polykrikoides has a physiological capability to adapt and utilize higher irradiance resulting in the higher growth rate without any photo inhibition response at the sea surface where there is usually strong irradiance during its blooming season. Although C. poiykikoides and G. impudicum continued their linear growth with the increase of nitrate ($NO_3^-$) and ammonium ($NH_4^-$) concentrations at less than the $40{\mu}M$, they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rates with the increase of nitrate and ammonium concentrations at more than $40{\mu}M$, signifying that the nitrogen critical point for the growth of the two species stands between 13.5 and $40{\mu}M$. Also, even though both of the two species continued their linear growth with the increase of phosphate ($PO_4^{2-}$) concentrations at less than the $4.05{\mu}M$, there were no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rates with the increase of phosphate concentrations at more than $4.05{\mu}M$, signifying that the phosphate critical point for the growth of the two species stands between 1.35 and $4.05{\mu}M$. On the other hand, C. polykrikoides has made blooms at the oligotrophic environment near Narodo and Namhaedo where the concentration of DIN and DIP are less than 1.2 and $0.3{\mu}M$, respectively. We attributed this phenomenon to its ow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el vertical migration through which C. polykrikoides could uptake 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