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 polykrikoides 적조의 시공간분포와 중규모 해양환경 변동간의 관계성

        서영상,장이현,김학균 한국지리정보학회 200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6 No.3

        한국 연근해역의 중규모 해양 환경변동이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의 시공간 분포 변동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하계 한국 연안역에서 적조가 최초로 발생한 전남 고흥 나로도 연안의 해양환경 상태는 최근 7년(1995~2001) 동안 열염전선대에 위치하였다. 대규모 적조발생은 7년 동안 매 홀수해(1995, 1997, 1999, 2000)에 나타났는데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표면 수온 및 염분의 큰 변동 또한 격년 주기로 나타났다. 저온 고염(홀수해), 고온저염(짝수해)의 중규모적 해황 변동에 따라 적조의 공간분포 규모가 크게 변동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동해연안으로 유입 확산되는 C. polykrikoides 적조의 분포와 이동상황은 동해남부 연안에서 발생하는 냉수대의 시공간 변동 규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and meso-scale variation of oceanographic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waters. Oceanographic conditions of Narodo island, where red tide usually first occurred during summer seasons were formation of the thermohaline frontal zone from 1995 to 2001. Huge C. ploykrikoides red tides were observed in every uneven year during the past 7 years (1995~2001) and quasi-biennial oscillation also occurred in the oceanographic varia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northern part of the East China Sea during the same years. The distribution area and moving pattern of C. polykrikoides red tides were definitely depended on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upwelling cold water originated form the south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summer season.

      • SCOPUSKCI등재

        Distribution of Certain Chlorobenzene Isomers in Marine Sediments from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KIM, Hak Gyoon,Kim, Sang Soo,Choi, Hee Gu,Lee, Pil Yong,Moon, Hyo Bang,Ok, Gon 한국수산학회 2001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4 No.2

        Eight chlorobenzenes (out of a total of 12 in the congener series) were measured in the sediments from 21 stations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s of Korea. The levels of total chlorobenzene isomers varied between 2.08 and 12.45 ng/g dry weight.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chlorobenzenes (CBs) were found in the sediments from Pohang coast. Trichlorobenzenes (the sum of 1,3,5-, 1,2,4- and 1,2,3-trichlorobenzene) were dominant classes among four congeners, whereas tetrachlorobenzenes (the sum of 1,2,3,5-, 1,2,4,5- and 1,2,3,4-tetrachlorobenzene) and pentachlorobenzene were low levels. The contributions of total CBs showed similar patterns for all stations with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in CBs species. It means that CBs contamination in the southeastern coasts of Korea came from the similar source.

      • KCI등재

        The Occurrence of a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From Chinhae Bay , Korea

        KIM, Hak Gyoon,MATSUOKA, Kazumi,LEE, Sam Geun,AN, Kyoung Ho 한국수산학회 199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9 No.6

        The resting cyst of Gymnodinium catenatum was found in the surface sediments collected from Chinhae Bay in October, 1991.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e species in the Korean waters. The relative abundance was low with the maximum of 1.7%. The colonial motile form consisting of four cells was observed in 1992 from the excystment of the cyst collected from the Wonmun Bay in Chinhae Bay. No blooms caused by G. catenatum has been observed in Chinhae Bay during the survey.

      • SCOPUSKCI등재

        The Morphological Growth Characteristics of Two Strains of Fibrocapsa japonica Isolated from New Zealand and Japan

        KIM, Hak Gyoon,Cho, Eun Seob,Lesley L . Rhodes 한국수산학회 1999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2 No.1

        The blooms caused by Fibrocapsa japonica have occurred regularly in New Zealandean coastal waters, and no fish kills and economic impacts have been reported. However, Fibrocapsa japonica in Japan killed caged juvenile fish and has been regarded as a harmful microalgae. In this comparative study a New Zealand isolate was found to be morphologically similar to a Japanese isolate, although slightly larger on average than. Optimal temperatures for growth differed, with fastest growth rates occurring at 22∼24℃ for the New Zealand strain and 16∼22℃ for the Japanese strain, with a decrease in growth rate exhibited by the latter at 24℃. Both isolates had low salinity optima of 20∼25 PSU, although they grew between 15 and 30 PSU. Growth declined significantly for both strains above 30 PSU.

      • SCOPUSKCI등재

        The Comparison of Two Strains of Fibrocapsa japonica(Raphidophyceae)in New Zealand and Japan

        KIM, Hak Gyoon,Cho, Eun Seob,Lesley L . Rhodes 한국수산학회 1999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2 No.1

        Fibrocapsa japonica (Raphidophyceae) is regarded as a harmful algal bloom organism in Japanese waters, where it has been linked to fish kills. Fibrocapsa is a common species in New Zealand coastal waters, particularly in the Hauraki Gulf, where it has regularly bloomed in the spring under El Nin~o climate conditions for the past six years. The New Zealand isolate had 1.4 times more total polyunsaturated acids than the Japanese isolate under the same growth conditions, suggesting that eicosapentaenoic acid in particular could be used as a discriminating chemotaxonomic marker. The molecular probes tested showed no differential binding of the raphidophytes to lectins, but oligonucleotide probes targeted F. japonica ribosomal RNA bound specifically to both isolates. Neither strain was toxic in mouse or neuroblastoma bioassays.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New Zealand F japonica isolates investigated to date produce ichthyotoxins.

      • SCOPUSKCI등재

        Toxic Algal Bloom Caused by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in Chindong Bay , Korea

        KIM, Hak Gyoon,LEE, Sam Geun,Yoo, Jong Su,Fukuyo, Yasuwo,Cheun, Byeung Soo 한국수산학회 2000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ol.3 No.1

        Monospecific red tide by a toxic dinoflagellate belonging to the genus Alexandrium occurred at Chindong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continued from April 6th to 15th in 1997. The ratio of its cell number to total phytoplankton cell number was much higher than 95%. This organism was identified as Alexandrium tamarense, although slight morphological differences were found comparing to the original and successive descriptions of the species. We found neither anterior nor posterior attachment pores in these cells of the bloom population. The occurrence of red tide caused by A. tamarense was first reported in Korea. Its plate formula is Po, Pc, 4', 6$quot;c, 8s, 5$quot;'and 2$quot;$quot;. Thecal plates are thin with pore-like ornamentation. In those plates, the anterior part of the first apical plate (1') is narrower and its posterior end has sometimes a block-like accessory, but this variation was considered within the range of the morphological variability of this taxon. The cell density during the red tide exhibited a wide range of variation by the depth of water column, ranging from 2×10^6 cells·ℓ^(-1) to 5×10^6 cells·ℓ^(-1). Water temperature varied from 11.8 to 12.3 ℃. Toxicity of A. tamarense during red tide was measured as 8.8×10^5 MU·cell^(-1) by mouse bioassay.

      • Marine Environmental Quality of Korean Seas -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Kim, Hak-gyoon 영남대학교 해양과학연구소 2000 국제심포지움 일정 및 발표논문집 Vol.2000 No.1

        해양은 어장으로서, 해운무역통로로서, 레저와 스포츠공간으로서, 삶의 질을 윤택하게 하는 문화공간으로서 그 가치를 다하고 있다. 연간 해양에서 약 1억톤의 800억불의 수산식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해양생태계의 간접적인 효용가치는 약 14~22조달러로 추산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옛부터 바다를 식량자원의 생산지로서 해운무역로로서 활발하게 이용하였다. 해양식품생산은 1990년대이후 연간 300만톤의 수산물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최근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과 건강식품 선호경향 증가등으로 수산물의 수요는 점차 증가추세에 있는데 '94년 현재 417만톤의 수요량에 비해 10년후인 2004년에는 450만톤의 수산물이 요구 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해양식품생산은 국가의 식량 기간산업으로 발전시켜야 할 중요한 기간산업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해운통로로의 이용은 고려(Korea)라는 국명이 널리 알려지기 전인 삼국시대이전의 장보고시대부터 이루어졌으면 지금은 세계의 8위의 무역대국으로서 명실상부한 해양국가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해양에 대한 경제적인 의존은 국가발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이다. 새로운 해양도전의 비젼을 담고 있는 해양한국 21(Ocean Korea 21)은 생명력 넘치는 해양국토 창조, 지식기반을 갖춘 해양산업의 창출, 지속가능한 해양자원 개발을 통하여 청색혁명을 통한 해양부국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모든 것들은 해양환경이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때만 가능하다. 때문에 현재의 해양환경의 질적인 평가와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해양환경은 연안역의 천해성, 이용행위의 특정해역집중성, 강의 편서남향성, 과밀인구의 환경의식 부족등으로 인하여 쉽게 해양이 오염될수 있는 위협을 안고있다. 우리나라 연근해 수역을 해역별로 보면 서해는 간척과 매립이, 남해는 수질의 부영양화에 따른 연안 저산소 수괴의 출현과 적조발생등이 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지금까지의 조사결과 우리나라의 근해 수질은 I등급 수질기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연안수질은 1991년 이후 계속 Ⅱ등급(COD 2mg/l 이하) 수질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경제규모의 확대와 교역량의 증가에 따른 해상물동량의 급증, 연안역 이용행위의 증가 등으로 인한 해양오염물질의 배출량이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그로 인해 남해안등에서 는 부영양화 현상이 심화되어 적조현상과 빈소수괴 등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해양은 인간활동의 결과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최종처리장과 식량 자원의 공급원이라는 서로 상반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금세기의 경제규모의 확대, 산업의 발전, 인구의 꾸준한 증가, 대량생산과 과소비 문화사회 정착은 오염원의 다양화와 배출규모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21세기 해양시대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해양환경을 보전하는데 필요한 모든 노력을 강구해야 한다. 해양환경관리 및 해양환경보전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해양환경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론 위해서 국가에서 늘 1980년부터 해양오염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해양오염 측정망을 운영하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조사대상해역 및 조사지점을 환대하여 왔다. 또한 해양환경을 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하여 관련 법령과 기구를 계속적으로 강화하여 왔다. 특히 1995년 거의 전 연안에서 발생한 대규모 유해적조가 발생하여 사상 최대의 수산피해를 일으키므로서 총체적인 오염방지를 위한 종합대책으로 1996년부터 해양환경보전에 관한 범정부적인 최초의 종합계획인 "해양오염방지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해양오염 방지대책과 해양 생태계 보전대책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해양환경 보전대책을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 괄목할 만한 해양환경의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해양환경보전은 이제 해양개발의 근본적인 패러다임이어야 한다는데 아무도 부인할수 없다.

      • Sequence Analysis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Isolated from Korean Coastal Waters Using Sequence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and 5.8S rDNA

        Kim, Hak-Gyoon,Cho, Yong-Chul,Cho, Eun-Seob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00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35 No.3

        The relativity of four isolates of C. polykrikoides was determined by comparative sequence analysis based on direct sequencing of PCR amplified ribosomal DNA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and the 5.8S rDNA). Sequence comparisons indicated that four isolates had the same nucleotide sites in the ITS regions, as well as a total of 585 nucleotide length and 100% homology. The molecular data revealed that C. polykrikoides in Korean coastal waters show no genetical difference.

      • KCI등재

        한국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과 변천

        김학균(Hak Gyoon Kim),정창수(Chang Su Jung),임월애(Wol Ae Lim),이창규(Chang Kyu Lee),김숙양(Sook Yang Kim),윤성화(Sung Hwa Youn),조용철(Yong Chul Cho),이삼근(Sam Geun Lee) 한국수산과학회 2001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4 No.6

        우리나라 연안에서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는 1982년 낙동강하구에서 최초로 발생하였으며, 1988년까지는 진해만과 그 부근해역에서 발생하였다. 그러나 1989년 이후부터는 진해만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충무, 거제, 남해, 여수 등의 남해안의 중부해역에서 주로 발생하였고, 1995년부터는 동해연안까지 발생해역이 확대되었다. 그리고, 1998, 1999년도에는 서해연안에서도 이 종에 의한 적조가 발생하였다. C. polykrikoides 적조 발생건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발생시기는 7∼10월로 특히 9월에 집중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조지속기간도 매년 증가하여 최근에는 한달 이상 지속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적조밀도 역시 `91년까지는 최고 5,000 cells ㎖^(-1)를 초과하지 않았으나,`99년도에는 43,000 cells ㎖^(-1)까지 나타나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한편 C. polykrikoides 적조는 `82년과 `84년에는 다양한 규조류 및 편모조류와 함께 발생하는 혼합적조로 출현하였으나, 이후에는 주로 단독적조로 출현함으로써 C. polykrikoides 적조가 혼합적조에서 단독적조로 발전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C. polykrikoides 적조는 발생해역이 우리나라 전연안으로 확대되고, 적조밀도가 높아지며, 발생기간이 1∼2개월로 장기간 지속하고 있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양식산업이 성행하고 있는 충무, 남해도, 거제도, 여수 및 거문도 연안에서 8∼9월에 자주 적조를 형성하므로서 양식산업 발전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The first bloom of Cochlodinium polykrikoides was observed in the estuary of Nak-long river near Pusan in Korea in 1982. Since then, there have been irregular blooms, sometimes spread over the adjoining to Jinhae Bay even though it was confined to the bay and its vicinites until 1988. It had been outbroken frequently in the adjacent to Tongyeong, Geoje, Namhae and Yeosu coast since 1989. It became widespread along the coast of the South Sea to the East Sea of Korea in 1993. And in October in 1998 and 1999, the bloom had been taken place in Kunsan coast of Yellow Sea. According to the observations in situ, the frequency of occurrence has been increased year by year. The prevailing bloom season was from July to October with peak in September. The duration of the bloom became longer with the year, and sometimes lasted more than one month. The density of the bloom did not exceed 5,000 cells ㎖^(-1) until 1991, but it increased year by year to the highest of 43,000 cells ㎖^(-1) in 1999. With respect to the assembleges of species in dinoflagellate blooms, C. polykrikoides was one of the important species with diatoms and the other dinoflagellates in 1980s. But since then, C. polykrikoides made an almost monospecific bloom. Based on two decadal observations of C. polykrikoides blooms, it became widespread throughout whole coast of the Korea, persistent for about one or two month long in some year, and monospecific high density blooms. It was reported that significant fish mortalities were caused by this harmful dinoflagellate blooms especially in the fishfarms accomodating intensive fish cages such as Tongyeong, Namhae-do, Geoje, Yeosu and Geomun-do fishfarming yards. This widespread and persistent harmful algal blooms impede the development of marine aquaculture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