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 Segmentation Method for Counting Microbial Cells in Microscopic Image

        김학경,Sun-Hee Lee,Myung-Suk Lee,Song-Bong Kim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2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4 No.3

        In this paper, a counting algorithm hybridized with an adaptive automatic thresholding method based on Otsu's method and the algorithm that elongates markers obtained by the well-known watershed algorithm is proposed to enhance the exactness of the microcell counting in microscopic images. The proposed counting algorithm can be stated as follows. The transformed full image captured by CCD camera set up at microscope is divided into cropped images of m n blocks with an appropriate size. The thresholding value of the cropped image is obtained by Otsu's method and the image is transformed into binary image. The microbial cell images below prespecified pixels are regarded as noise and are removed in the binary image. The smoothing procedure is done by the area opening and the morphological filter. Watershed algorithm and the elongating marker algorithm are applied. By repeating the above stated procedure for blocks, the segmented images are obtained. A superposed image with the size of 640 480 pixels as same as original image is obtained from the segmented block images. By labeling the superposed image, the counting result on the image of microbial cells is achiev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in counting the microbial cell on the image, we used Acinetobacter sp., a kind of ammonia-oxidizing bacteria, and compared the proposed method with the global Otsu's method, the traditional watershed algorithm based on global thresholding value and human visual method. The result counted by the proposed method shows more approximated result to the human visual counting method than the result counted by any other method.

      • KCI등재

        집시법상 경찰의 ‘협력의무’ 도입방안에 관한 소고: 독일 집회법의 발전내용 중심으로

        김학경,김영식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022 형사정책연구 Vol.129 No.-

        The state duty to not only ‘guarantee’ but also ‘protect’ peaceful assemblies and processions in Korea is derived from Article 21(1) of the Korean Constitution. This constitutional right is a ‘qualified’ right though, which means that the right can be restricted by law,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if there exists a concrete or imminent danger to public order and security. The problem with the act, however, i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hasm between ‘protection & guarantee’-related articles and ‘restriction’-related ones. Put simply, the Korea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is considerably slanted towards restrictions only. In contrast, German states have started to pass a new assembly law specifically stipulating the police ‘duty to cooperate’ with protest organizers, which duty itself originally derived from the 1985 ‘Brokdorf verdict’, a landmark ruling by Germany’s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Given that the enactment of the state ‘duty to cooperate’, through ‘cooperative talks’, may bridge the chasm between the aforementioned competing statutes, this study thoroughly explores and analyzes the development of Germany legal framework relating to the ‘duty to cooperate’ in light of ①the ‘1985 Brokdorf decision’, ② the ‘Draft of Assembly Law’, ③ the ‘Model Draft of Assembly Law’, and ④ all of the state(‘Land’) laws that prescribe articles relating to the ‘duty to cooperate’. Finally, the study posits desirable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benchmarked by the lessons of German experiences and practices. Additionally, the author strongly believes that the ‘duty to cooperate’ through ‘cooperative talks’ can play a clear role as a legal ground for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Dialogue Police, further changing the current act to the so-called ‘Assembly Act Enabling Assembly’. 우리 헌법 제21조 제1항으로부터 집회 및 시위를 ‘보장’ 및 ‘보호’해야 할 국가의 의무가 도출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우리 집시법상의 대부분 조항은 제3조의 ‘(집회 및 시위에 대한) 방해 금지’ 규정을 제외하고는, 제한・금지・준수사항・해산 등과 같은 ‘위험방지적’ 규정으로만 채워져 있다. 즉, 집시법상 ‘집회 및 시위 보호 또는 보장을 위한 규정’과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위한 위험방지 규정’ 사이에 심각한 ‘불균형’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독일에서는 집회시위 자유권에 대한 보장을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1985년 ‘브록도르프 판결’에서 도출된, 이른바 경찰의 ‘협력의무’가 주집회법상의 명문 규정으로 도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협력대화 내지 협력의무의 도입은 우리 집시법상의 비대칭성을 해소할 수 있는 하나의 법규범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위 독일의 1985년 브록도르프 판결부터 시작하여, ‘협력의무’를 최초로 규정하고 있는 ‘집회법 초안’, 학계에서 발전된 ‘집회법 모범초안’ 그리고 이러한 초안 및 모범초안의 영향을 받아 제정된 (총 7개 주) 주집회법상의 협력의무 규정을 모두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우리 집시법상 협력의무 도입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향후 이러한 방향성을 충족하고 있는 협력의무 규정이 도입된다면, 이는 한국형 대화경찰 제도에 대한 법적인 근거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제는 우리 집시법이 ‘위험방지법’만이 아닌, ‘집회시위를 가능하게 하는 법률’로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부적절한 경찰 신고전화 : 잉글랜드와 웨일즈 지역의 "비긴급 신고전화"제도의 발전

        김학경,Graham Brooks 치안정책연구소 2010 치안정책연구 Vol.24 No.1

        잉글랜드와 웨일즈의 지역 경찰은 해마다 시민으로부터 670만 건 이상의 신고전화를 받고 있는데, 경찰활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이른바 생활민원 전화(소음공해, 낙서, 쓰레기 투기, 반사회적 행위 등)가 신고전화의 약 7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현상은 비록 영국에만 국한된 현상이 아닌 한국 및 일본 등을 포함한 전세계 경찰기관의 공통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불필요하고 긴급하지 않은 신고전화의 양을 줄이기 위해서, 영국 내무부(Home Office)는 2004년 "SNEN(비긴급 신고전화)"라는 제도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잉글랜드와 웨일즈 몇몇 지역에 시범적으로 실시하기에 이르렀다. 영국의 SNEN 번호는 101번호(영국의 긴급전화는 999)이며, 이는 기본적으로 미국의 비긴급 신고전화 311의 영향을 받아서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英·美의 긴급전화도 범죄 등 긴급한 상황이 아닌 (긴급성이 떨어지는) 생활민원의 해결을 원하는 전화로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경찰에 대한 국민의 신뢰 및 믿음이 이러한 생활민원의 즉각적인 해결에 의해서 현실적으로 평가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이러한 생활민원 신고전화는 결코 소홀히 다루어질 수 없는 영역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긴급 신고전화는 긴급전화와는 다른 별개의 신고전화를 만들고 동 번호는 생활민원만을 전문적으로 다룸으로써 결과적으로 좀 더 효율적인 경찰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생각에서 시작된 것이다. 동 논문은 잉글랜드와 웨일즈 지역의 101전화번호 운영사례를 간략히 설명하고 지역마다의 차이점(장점 및 단점 비교)을 비교설명하고 있으며, 나아가 비긴급 신고전화의 발전방향에 대해서 몇 가지 제안을 하고 있다. 동 연구는 기본적으로 잉글랜드와 웨일즈 지역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비긴급 신고전화 제도"가 불필요하고 관련 없는 경찰의 비긴급 신고전화(생활민원 전화)의 양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일종의 관련성과 실용성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로 2010년 1월 1일부터 한국의 경찰청에서도 112신고를 코드로 분류하여 코드 3인 경우에는 관련 기관을 안내해주거나 타 기관에 통보하는 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나, 다만 제도 초기라 위 제도에 대한 실증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동 논문은, 첫 번째로, 왜 긴급한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이 경찰에게 긴급 신고전화를 사용하여 신고하는지 그 이유를 살펴보고 있다. 두 번째로, 잉글랜드와 웨일즈 지역에서 "SNEN(비긴급 신고전화)"의 발전과정 및 불필요한 신고전화의 감소에 끼친 영향 대해서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비긴급 신고전화가 그 목적을 달성했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있으며, 끝으로 잉글랜드와 웨일즈 지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상황에서 동 제도의 적용가능성 및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비긴급 신고전화는 분명 긴급전화로 걸려오는 불필요한 생활민원 신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경찰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그 성공여부는 근본적으로 시민들의 태도에 달려 있다 할 수 있다. 생활민원도 아닌 예컨대 사소한 개인적 문제로 동 비긴급 신고전화가 또 다시 남용된다면 결국 비긴급 신고전화가 발전된 근본적인 이유가 퇴색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결국 동 제도의 성공을 위해서는 이를 운영하는 경찰 등 공무원의 자발적인 노력과 시민들의 자각(홍보)이 필수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Homeland Security Management: A Critical Review of Civil Protection Mechanism in Korea

        김학경 한국경호경비학회 2011 시큐리티연구 Vol.- No.26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2004(FAMDS) currently underpins Korean civil protection system, and under this FAMDS, Korean civil protection establishes a three-tiered government structure for dealing with crises and disasters: central government, provincial & metropolita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ier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IEM) emphasizes that emergency response organizations should work and act together to respond to crises and disasters effectively, based on the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model, not the command and control model. In tune with this trend, civil protection matters are, first, dealt with by local responders at the local level without direct involvement of central or federal government in the UK or USA. In other words, central government intervention is usually implemented in the UK and the USA, only when the scale or complexity of a civil protection issue is so vast, and thus requires a degree of central government coordination and support, resting on the severity and impact of the event. In contrast, it appears that civil protection mechanism in Korea has adopted a rigid centralized system within the command and control model, and for this reason, central government can easily interfere with regional or local command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 is a high level of central government decision-making remote from a local area.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tends to be ignor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questionable whether such top-down arrangements of civil protection in Korea can manage uncertainty, unfamiliarity and unexpectedness in the age of Risk Society and Post-modern society, where interactive complexity is increasingly growing. In this context, the study argues that Korean civil protection system should move towards the decentralized model, based on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responding organizations, loosening the command and control structure, as with the UK or the USA emergency management arrangements. For this argument, the study basically explores mechanisms of civil protection arrangements in Korea under current legislation, and then finally attempts to make theoretic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civil protection system.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2004(FAMDS) currently underpins Korean civil protection system, and under this FAMDS, Korean civil protection establishes a three-tiered government structure for dealing with crises and disasters: central government, provincial & metropolita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ier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IEM) emphasizes that emergency response organizations should work and act together to respond to crises and disasters effectively, based on the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model, not the command and control model. In tune with this trend, civil protection matters are, first, dealt with by local responders at the local level without direct involvement of central or federal government in the UK or USA. In other words, central government intervention is usually implemented in the UK and the USA, only when the scale or complexity of a civil protection issue is so vast, and thus requires a degree of central government coordination and support, resting on the severity and impact of the event. In contrast, it appears that civil protection mechanism in Korea has adopted a rigid centralized system within the command and control model, and for this reason, central government can easily interfere with regional or local command and control arrangements; there is a high level of central government decision-making remote from a local area.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tends to be ignor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questionable whether such top-down arrangements of civil protection in Korea can manage uncertainty, unfamiliarity and unexpectedness in the age of Risk Society and Post-modern society, where interactive complexity is increasingly growing. In this context, the study argues that Korean civil protection system should move towards the decentralized model, based on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responding organizations, loosening the command and control structure, as with the UK or the USA emergency management arrangements. For this argument, the study basically explores mechanisms of civil protection arrangements in Korea under current legislation, and then finally attempts to make theoretic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civil protection system.

      • KCI등재

        제3의 탈경찰화와 민간경비원의 권한확대 : 영국의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 중심으로

        김학경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4 치안정책연구 Vol.28 No.1

        1990년대부터 시작된 제3의 탈경찰화는 사회 안전 예방책임의 민간영역으로 재분배 현상을 의미하는데, 그 배경은 종래 국가가 독점해오던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에 관한 경찰권을 민간인에게 위임하여 부족한 경찰력 등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제3의 탈경찰화의 핵심은 지역사회 내 범죄예방이라는 보편적 목적을 위하여 민간영역에 제한적인 경찰권을 부여한 것인데, 이는 2002년 경찰개혁법에서 시작된 영국의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와 유사한 측면이 많다.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는 지역경찰청장이 요건 및 자격 등을 검토한 후, 인가경비원 등에게 범칙금 통고처분권·불심검문·압수권 등과 같은 보편적인 성격의 경찰권을 부분적으로 부여하는 제도이다. 동 제도를 통하여 영국의 민간경비산업은 사적 계약관계에서 기인하는 사용자 종속성에서 벗어나, 이제는 지역사회 협력치안활동의 공식 파트너로서 범죄와 무질서 예방 그리고 반사회적 행위 근절이라는 보편적인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 일각에서 제기되는 민간경비원의 법적권한 확대주장에 발맞추어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의 구체적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향후 도입 시 필요한 이론적·비교법적 근거 및 운영모델사례를 선제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첫 번째, 비교법적 근거도출을 위하여 대륙법계의 시대적 지향점인 탈경찰화 흐름과 영국의 지역사회안전 인가제도의 도입배경을 이론적으로 접목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구체적인 운영모델 사례를 제시하기 위해서 승인 및 인가절차 그리고 교육훈련 및 범죄경력요건 중심으로 지역사회 안전인가제도를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비교고찰을 통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In Continental Europe, the concept of “Entpolizeilichung” means the reduction of duties and powers of the regular police to simply maintaining law and order. However, since the 1990s, the third Entpolizeilichung has gradually emerged, where the responsibility of maintaining law and order began to be re-distributed between state, local authorities, and the private business sector. In other words, the police started to entrust limited, but targeted, police powers to the private sector in order to complement the deficiency of manpower and resources of the police. In a similar vein, the UK police force has also implemented the Community Safety Accreditation Scheme (CSAS), based on the Police Reform Act 2002. Through the CSAS, the Chief Constable of a local police force can grant a limited, but targeted, range of police powers to employees of non-police organisations, such as private security officers who can also contribute to community safety. Individuals who have been granted these powers are known under the Act as Accredited Persons, and they are also required to wear a uniform and a badge approved by the police when exercising their powers. In particular, the badge must show and detail the powers which they are entitled to exercise.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UK’s CSAS can be theoret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Entpolizeilichung. In Korea, academic discourses on the entrustment of police powers to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has recently occurred, but seems to fail to provide robust theoretical grounds and model examples, particularly based on cross-cultural studies. In this context, the study first tries to investigate the procedures and conditions of the CS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ird “Entpolizeilichung”. Drawn from the critical discussions of the findings, the study finally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1) the accreditation body should be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KNPA), 2) In order to evaluate private sector companies seeking approval, the Korea Security Association should be nominated on behalf of the KNPA, 3) the target of police powers needs to be confined to misdemeanours in a community, 4) the entrustment of limited, but targeted, police powers with the exception of arrest, detention, and weapons, 5) accredited persons should be restricted to legally-licensed private security officers, 6) education programs should include “crime and incident scene management” and “disaster and crisis management”, 7) the criminal record check standard needs to be reinforced, and finally 8) the imposition of criminal charges against accredited persons in the event the given powers are abused, and against any civilians who challenge their legitimate powers.

      • KCI등재

        광역단위 지방자치경찰시대를 대비한 영국경찰의 예산조달 시스템에 관한 연구

        김학경,심희섭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2

        One of the President Moon Jae-in administration’ reform agendas is the separation of investigation and prosection. In particular, President Moon shows his strong determination to secure the independence of police investigation from the prosecution service, in term of checks and balances. However, there is also some concern that the Korean police force, a very centralized police force, can be an unchecked organization as a result, having too much power. To address these concerns, the National Police Agency(NPA) preemptively proposes the transformation from a (centralized) national police force to (decentralized) territorial police forces. With the introduction of decentralized territorial police forces in Korea, there are many potential problems to solve though, and one of them is the issue of financial assistance by central government. In England, the institution of decentralized territorial police forces has long been in place, and so the English police system can be a good model for the NPA in many ways. In this context, the paper tries to explore the UK’s police funding system from central government, including the Police Allocation Formula and the Assets Recovery Incentivisation Scheme Income. Based on the investigation into the English police funding system, the paper finally derives three policy implications of police funding system, noticeably for the era of decentralized police forces in Korea. 2017년 5월 출범한 문재인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 중 하나는 검찰개혁이며, 이러한 검찰개혁의 핵심은 바로 검찰과 경찰의 수사권 조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사권 조정은 필연적으로 경찰권의 비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 경찰청은 여러 가지 경찰개혁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바, 그 중 하나가 바로 광역단위의 지방자치경찰제 도입이다. 광역단위 지방자치경찰제도가 실제 도입된다면 여러 가지 선결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를 고려하면 중앙정부의 예산지원 문제가 그 선결문제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광역자치경찰제도가 확립된 영국의 지역경찰은 경찰보조금 배분공식(Police Allocation Formula)에 의거하여 중앙정부의 보조금을 받고 있으며, 또한 부족한 재원을 보충하기 위한 방법으로 중앙정부의 몰수자산 보조금 제도(Asset Recovery Incentivisation Scheme Income)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의 광역단위 지방자치경찰시대를 대비하여, 위와 같은 영국경찰의 예산조달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중앙정부의 예산지원 시 참고할 수 있는 몇 가지 정책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미국의 법과학 교육프로그램 인증제도에 대한 연구 : FEPAC을 중심으로

        김학경,최낙범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우리나라의 법과학 분야 지식과 실행수준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실무지식과 기술구현의 기반이 되는 학술분야의 연구와 법과학 교육수준은 아직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법과학 관련 연구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대학의 법과학 관련학과, 일부 의과대학의 법의학 교실을 통해서 수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과학수사(또는 법과학)라는 이름으로 개설된 학부학과를 찾기란 쉽지 않다. 향후 형사사법 분야에서 과학수사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증대될 것을 고려하면, 법과학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어내기 위한 학문적 기반은 부족하며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이 부재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반면 미국의 경우, 전국적으로 총 300여개가 넘는 법과학 연구소가 존재하고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미국 법과학학회(AAFS)는 FEPAC 운영을 통해서 미국 전체에서 이루어지는 법과학 교육과 훈련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FEPAC의 기능과 역할, 법과학 교육프로그램 인증제도의 구체적인 내용들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법과학 교육의 정착과 지속적인 성장에 있어서 필요한 시사점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The practices of forensic sciences and crime scene investigations in Korea are internationally acknowledged. Despite such world-wide recognition in the practices, academic research and education in the field of forensic sciences are known to be still at a rudimentary level, though. Particularly, when it comes to university-level educations, it is not easy to find university departments focused on forensic sciences or CSI, although there are numerous police sciences or police administration-related ones. Such disproportion between practices and academic education in the sphere seems to be a serious problem in Korea, noticeably given the future role expansion of forensic sciences in Korea. In contrast, the FEPAC(Forensic Science Education Programs Accreditation Commission) established by the AAFS(American Academy of Forensic Sciences) currently maintains and enhances academic quality through formal accreditation of college-level forensic science programs in the US. In other words, the essential role of the FEPAC is to develop and promote standards, and further to manage an accreditation program in the field of forensic scienc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aper explores the AAPS and its FEPAC, and further derives two policy suggestions: establishment of technical working groups, and formation of a professional society dedicated to the development of forensic sc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