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복합미생물제제 급여가 비육돈사의 환경개선에 미치는 영향

        김태완,김철욱,김두환,Kim, Tae-Wan,Kim, Chul-Wook,Kim, Doo-Hwan 한국축산환경학회 2007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납두균, 유산균, 효모균 등 5종의 복합미생물에 활성탄 및 쑥분말을 첨가한 복합미생물제제를 비육돈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한 후, 돈사내 유해가스 농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암모니아 농도는 밀폐형 돈사의 급여 초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급여후 넷째 주부터는 복합미생물제제를 0.1% 첨가한 처리구에서 농도가 떨어져서 시험 종료일 기준으로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의 농도가 약 36% 감소되었다. 황화수소 농도는 복합미생물제제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큰 변화 없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복합미생물제제 급여구는 급여 후 3주째부터 대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를 보이고 있으며, 종료시점에서 대조구에 비해 약 14%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육돈사의 슬러리에서 측정한 pH는 복합미생물제제를 급여한 처리구와 비급여 대조구 사이에 큰 차이가 없으나, 처리구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알칼리성으로 변화하였고, 총질소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암모니아성질소는 복합미생물제제 급여구에서 급격히 줄어듦으로써 돈사내 악취발생 감소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총인 함량도 크게 감소되어 분뇨의 액비화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문제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비육돈에 대한 복합미생물제제의 급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양돈장의 유해가스 및 악취 저감 효과가 가축의 건강상태, 생산단계, 분뇨관리, 환기 및 온 습도, 기압, 첨가제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철저한 사육환경관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crobial complex diets on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finishing pig building.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p<0.05) decreased by dietary supplementation of 0.1% level of microbial complex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according to the time in the finishing pig building. Characteristics of piggery liquid slurry that total nitrogen and $NH_3-N$ of treatment were reduced relatively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and were decreased depending on the time. In conclusion, the result obtained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microbial complex for finishing pigs may improve environment in the finishing pig building.

      • KCI등재

        소형 풍동을 이용한 토양의 풍식 가능 입경 분석

        김태완,손영환,민슬기,이인복,홍세운,김민영,Kim, Tae-Wan,Son, Young-Hwan,Min, Seul-Gi,Lee, In-Bok,Hong, Se-Woon,Kim, Min Young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ximum and minimum grain size which eroded by wind according to soil and wind conditions, such as top soil water content, roughness, land slope, wind velocity and proportion of grain size under 0.84mm. For performing this study, portable wind erosion tunnel was designed and utilized during field test, which facilitated measuring actual wind erosions under artificially controlled wind conditions. In the result, maximum, minimum grain size had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roughness while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wind velocity. Also, Slope which means the effect of gravity also influence grain size erodible by winds. Based on these results, regression equations were suggested for predicting maximum and minimum grain sizes by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from SPSS 20.0. The equation for maximum grain size erodible by winds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with $R^2$=0.896. Other equation for minimum grain size had $R^2$=0.777.

      • KCI등재

        Bottom Ash의 전기적 특성과 일축압축강도

        김태완,손영환,박재성,노수각,봉태호,Kim, Tae-Wan,Son, Young-Hwan,Park, Jae-Sung,Noh, Soo-Kack,Bong, Tae-Ho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6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Bottom ash from thermoelectric power plants in Korea. By using Parallel Plate Method, the electrical resistivity and dielectric constant were measured at the frequency from 20 Hz to 10 MHz. Also, unconfined strength test, XRF and sieve analysis were performed for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electrical properties. In the result, the change of electrical resistivity and dielectric constant of bottom ash against frequency was similar to that of general soil. The proportion of fine grain in bottom ash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dielectric constant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electrical resistivity. Chloride and sulfur trioxide were proportional to dielectric constant and the more bottom ash had chloride content, the lower electrical resistivity appeared in bottom ash. Unconfined strength of bottom ashes had a range from 200 kPa to 780 kPa and strength was inverse proportional to electrical resistivity.

      • KCI등재

        Effect of Strontium on the Uptake and Distribution of Calcium and Magnesium in Sugar beet

        김태완,황선웅,이용환,엄명호,게오르그 하인리히,Kim, Tae Wan,Hwang, Seon-Woong,Lee, Young-Hwan,Um, Myung-Ho,Heinrich, Georg 한국토양비료학회 199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2 No.4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location and distribution the monovalent K and Na and the divalent Sr and Ca, the natrophile and calcitrophic plant sugar beet (Beta vulgaris L.) was used. Strontium uptake and distribution are concentration and growth stage dependent. The highest Ca content occurred in the treatment of 4 : 1 mM ratio of Ca to Sr, while the highest Sr content in old leaves in the presence of 1 mM Ca and 4 mM Sr. The addition of low concentration of Sr stimulates Ca-uptake. Reversely. Sr-uptake is highest in the presence of 1 mM Ca. This result may be an antagonistic effect between Ca and Sr. The ratios of Mg to Ca and Sr are satisfactorily present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The sum of Sr and Ca contents are most significant linear to the ratio of Mg to one,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absorption of Mg and Ca or Sr is antagonistic. In the presence of only 5 mM Sr, K and Na-uptakes increases, while Sr in the presence of Ca does not affect the change in the K and Na assimilation and their ratios. The ratios of K to Na is also not changed. A little addition of Sr could more effectively retain the chlorophyll loss while only in the presence of Sr, the chlorophyll levels are considerably reduced. 본 연구는 호염성(胡鹽性) 이면서 호칼슘 식물로 알려진 사탕무에서 일가이온인 K와 Na 그리고 이가 이온인 Ca와 Sr 및 Mg의 식물체내 수송과 분포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Sr의 흡수와 재분배과정은 근권의 이온농도와 생육단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Ca 4 mM과 Sr 1 mM을 처리했을 때 체내 Ca 함량이 가장 높았던 반면 Sr의 함량은 1mM Ca와 4 mM Sr을 혼합처리 했을 때 가장높았다. 즉 낮은 농도의 Sr을 처리했을 때 Ca의 흡수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Ca와 Sr의 상가적 흡수기작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Mg함량에 대한 Ca와 Sr총 함량은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Mg와 Sr 및 Ca는 상호 길항적으로 흡수되는 것을 알수 있었다. 5mM Sr 존재 하에서만 K와 Na의 흡수가 증가하는 반면 Ca와 Sr의 혼합처리는 이들 이온과는 무관하였다. 따라서 K/Na Ratio 또한 변화되지 않았다. 소량(1mM)의 Sr 첨가는 Chlorophyll 분해를 저지하는 효과를 보였다.

      • KCI등재

        Bottom Ash의 최대입경에 따른 시간-의존적 거동 특성 및 크리프 모델 적용성 검토

        김태완,손영환,봉태호,노수각,박재성,Kim, Tae-Wan,Son, Young-Hwan,Bong, Tae-Ho,Noh, Soo-Kack,Park, Jae-Sung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5 No.5

        This study finds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settlement of Bottom Ash and to review the application of Singh-Mitchell creep equation and Burgers Model to the creep behavior of Bottom Ash. In the undrained state, it was confirmed that creep behavior appeared in the range to 30-80 % of the maximum deviator stress by applying condition in other three stresses through triaxial compression test after isotropically consolidation. By using sieve analysis, it was compared to each sample that was passed through 9.5 mm, 2 mm, 0.25 mm sieves. Also, using Singh-Mitchell creep equation and Burgers Model, it was compared between the theoretical behavior and the observed behavior for each sample. In the result, it is found that creep behavior of Bottom Ash is similar to the theoretical behavior of Singh-Mitchell creep equation and Burgers Model in early stage and it is possible to predict creep behavior of Bottom Ash by these models.

      • KCI등재

        보행속도가 비만인의 하지관절에 미치는 영향 - 과체중과 비만인 중심 -

        김태완 ( Tae Whan Kim ),김의환 ( Eui Hwan Kim ),권문석 ( Moon Seok Kwo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7 체육과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비만인그룹과 과체중(씨름선수)그룹간의 4가지 보행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보행의 매개변수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보행속도는 1.21 ±0.02m/s. 1.47±0.02m/s, 1.81±0.03m/s, 2.10±0.04m/s 4가지의 보행 과제를 주어 실시하였다. 분석변인으로는 지지기 동안으로 하지관절의 시간, 각도, 그리고 근전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비만인그룹과 과체중그룹 간의 단계별 보행속도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tow-way ANOVA(2(RG)×4(RM))를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모든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지지기의 시간, 각도, 하지근육의 근전도의 통계적 결과를 요약하면 비만인그룹과 과체중그룹간의 단계별 보행속도에서 지지기의 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발뒤축접지시 발목관절각과 무릎관절각에서 집단내 상호작용이 유의한 차이(p=.022, p=.031)를 보였으나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가락들림기시 발목, 무릎, 엉덩이관절각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계별 보행속도에 따라 하지근육을 평균 근활성도를 살펴보면, 대퇴직근(RF), 외측광근(VL), 내측광근(VM), 전경골근(TA), 비복근(MG)에서는 집단 내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대퇴이두근에서는 집단 내 상호작용(속도×그룹)에서 유의한 차이(p=.024)를 나타내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본 결과 단계별 보행속도에서 지지기의 비만인그룹과 과체중그룹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ants of the walking by four different walking speeds between obese groups: one group is an obese group of lay people, the other is an obese group of Ssirum players which is named as an overweight group for convenience not by body mass index. Four different walking speeds are 1.21±0.02m/s, 1.47±0.02m/s, 1.81±0.03m/s, and 2.10±0.04m/s. Analyzed variants of the walking are time, angle, and EMG pattern of lower extremity joints in the stance phase. We applied tow-way ANOVA(2(RG)×4(RM)) and p value was α=.05.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ime of the stance phase between the obese and overweight group. At heel contact event of the stance phase, angle values of ankle and kne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each group(p=.022, p=.031) but not between groups. At toe off event, angle values of ankle, knee, and hip are all insignificant. Mean EMG muscle activity of biceps femoris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speed×group) between two groups(p=.024) and the others of rectus femoris(RF), vastus lateralis(VL), vastus medialis(VM), tibialis anterior(TA), and medial gastrocnemius(MG) muscle by the acceleration of walking speed were not significant both within each group and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nce phase between the obese and overweight group by the acceleration of walking speed.

      • KCI등재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한 헬기 피아식별 모형 연구

        김태완(Tae Wan Kim),김종환(Jong Hwan Kim),문호석(Ho Seok Moo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5 No.3

        각종 감시체계에서 육안에 의존하여 물체를 식별해내는 것은 어렵고 실수하기 쉬우므로 군 감시체계에서 자동식별능력의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사회에 발표되는 모형들은 군 무기체계에 대한 데이터가 반영되지 않아 군에 바로 적용하는 것은 제한된다. 본 연구는 군용 헬기의 이미지에 합성곱 신경망을 적용하여 피아식별 모형을 구축한 연구이다. 제안하는 모형은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헬기인 AH-64 기종과 공산권 국가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헬기인 Mi-17 기종의 이미지를 통해 학습시켜 구축되었다. 제안하는 모형의 성능을 살펴보면, 평가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97.8%의 정확도, 97.3%의 정밀도, 98.5% 재현율과 97.9%의 F-measure의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런 분류결과에 대해서 Feature-map을 통해 아군 헬기의 바퀴와 무장, 그리고 흡기구 주변이, 적군 헬기의 바퀴, 흡기구, 그리고 창문 부위가 피아식별 모형의 분류 기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CNN을 이용하여 군 무기체계 중 헬기의 영상정보에 대한 피아식별에 대한 분류를 처음으로 시도한 연구이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형은 기존의 다른 무기체계에 대한 분류 모형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There has been difficulties in identifying objects by relying on the naked eye in various surveillance system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utomated surveillance systems to replace soldiers in the field of military surveillance operations. Even though the object detection technology is developing rapidly in the civilian domain, but the research applied to the military is insufficient due to a lack of data and interest. Thus, in this paper, we applied one of deep learning algorithms, Convolutional Neural Network-based binary classification to develop an autonomous identification model of both friend and foe helicopters (AH-64, Mi-17) among the military weapon systems, and evaluated the model performance by considering accuracy, precision, recall and F-measure. As the result, the identification model demonstrates 97.8%, 97.3%, 98.5%, and 97.8 for accuracy, precision, recall and F-measure, respectivel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feature map on convolution layers of the identification model in order to check which area of imagery is highly weighted. In general, rotary shaft of rotating wing, wheels, and air-intake on both of ally and foe helicopters played a major role in the performance of the identification model. This is the first study to attempt to classify images of helicopters among military weapons systems using CNN, and the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shows higher accuracy tha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model for other weapons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