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예술 실천을 통한 세월호 참사의 기억 운동 - ‘세월호 연극제’를 중심으로 -

        김진이(Jini Kim),오세일(Seil Oh) 한국사회이론학회 2022 사회이론 Vol.- No.62

        세월호 참사 이후 유가족, 활동가, 예술가 등 다양한 주체들이 연대하여 기억 운동 실천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예술가들은 세월호 참사가 품은 개인적, 사회적 고통을 집단적 차원에서 해석하며 적극적인 기억 행위를 실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월호 연극제’를 사례로 예술가가 사회적 참사를 기억하는 과정을 분석하고, 예술가의 사회 참여라는 ‘예술적 수행성’이 갖고 있는 ‘사회적인 것(the social)의 의미’를 시민사회의 맥락에서 탐구한다. 본 연구는 참사 이후 세월호 연극제의 전개 양상을 시기별로 살펴보고, 사회적 참사에 대한 기억투쟁과 예술 실천이 교차하는 ‘수행성’의 사회적 의미를 고찰한다. 특별히 사회적 참사의 기억 안에서 양립해 온 고통의 서사화와 트라우마의 ‘재현 불-가능성’이라는 이중적 문제가 예술가들에게 어떠한 의미로 구성되고 있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는 ‘참여행동연구’를 활용하며 연구 사례에 관한 ‘문헌 분석’과 연극제 참여자 6인과 ‘심층 인터뷰’를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세월호 연극제는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 활동, 검열과 미투 운동 등 예술계 내외부의 현안을 통과하며 시기별 변곡점을 맞았다. 참여자들의 예술 실천은 예술장(field) 내의 상징투쟁으로 국한되지 않았고, 예술가들은 작업의 미학적 자아와 시민적 주체를 오가며 ‘사회적인 것’과 ‘도덕적 보편성’의 의미를 성찰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예술가들이 작업 안에서 고통의 ‘재현 불-가능성’을 마주하면서도 이를 문화적 기억으로 이행하기 위해 다양한 예술적 형식을 모색해 왔음을 살펴보았다.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various social agents such as bereaved families, activists, and artists have participated in social movements to remember the disaster. In particular, some artists have practiced active performativity in their theater project by interpreting the personal and social suffering of the Sewol ferry disaster on a collective level. This study discusses the artists’ performativity of remembering social disaster through the ‘Theater Project on Sewol Ferry’ case, and the author conduct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on the meaning of ‘the social’ that ‘artistic performance’ of the artists social activism has in the context of civil society. This study outlines the development of the Theater Project on Sewol Ferry by period, and discusses the social meaning of ‘performativity’ where memory struggles for social disasters and the performativity of art intersect.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meaning of the social problem for artists where narratives of social suffering and the ‘un-representability’ of collective trauma are seemingly incompatible in society. This study conducted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ix artists on the research cases, the Theater Project on Sewol Ferry reached an inflection point in each period as the festival passed through social issues. These issues include the activities of reconstruction of truth of the disaster, art censorship, and the #MeToo movement.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practice of art was not limited to the symbolic struggle within the art field. In fact, artists demanded social change through remembering the disaster in the public sphere of civil society,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the social and the moral as connecting the aesthetic ego and the civic subject. Furthermore, this study explains that artists’ activism has participated in various in artistic performances to transition the disaster into cultural memories while facing the ‘un-representability’ of suffering in their work.

      • 시각장애인 자활 증진을 위한 음성 기반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연구

        김하영(HaYeong Kim),김진이(Jini Kim),송가람(Ga Ram Song),김은서(Eunseo Kim),이원섭(Wonsup Lee)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정보를 독립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음성기반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1 차 그룹 인터뷰에서는 시각장애인이 일상생활 중 느끼는 불편한 점을 파악하였고, 2 차 심층 인터뷰를 통해 옷, 의약품 등 시각장애인이 혼자서 정보파악이 힘든 제품군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제품군에 대한 정보 중 시각장애인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를 추출하였고 이를 기반한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였다. 이 플랫폼은 시각장애인과 일반 대중이 자유롭게 정보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시각 장애인들은 스마트 기기의 음성기반 인터페이스와 QR 코드 인식을 통해 주변의 도움 없이 제품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들의 자발적 참여는 그들이 제공받기를 원하는 제품정보를 등록 및 수정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공공 기관, 기업체등이 음성기반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그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켜주며 독립적 삶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가출 청소년을 위한 가족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정문자 ( Moon Ja Chung ),김진이 ( Jiny Kim ),김태은 ( Tae Eun Kim ),최난경 ( Nan Kyung Choi ) 대한가정학회 2010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icacy of a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runaway youth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is program was based on Solution-Focused, Satir`s Experiential, and Cognitive-Behavioral models. Need assessment analysis of youth shelter workers, focus group interviews with runaway youths, and advisory council meetings were used as complementary data for this study. Thirty-one runaway youths from 6 youth shel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4 two-hour sessions of this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All participants were subjected to pre-test and post-test analysis in order to assess the efficacy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ha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articipants` self-esteem, communication capability, and understanding of family values.

      •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및 자기분화가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

        안지선(An, ji-sun),김진이(Kim, jiny) 한국통합치료학회 2020 통합치료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및 자기분화가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초등학생 571명이었으며 연구수행은 2011년 2월 7일부터 2월 11일 사이에 실시되었다. 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자기분화가 아동의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이 가족건강성을 높게 지각하고 아동의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또래관계기술인 주도성 기술과 협동/공감 기술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5, 6학년 시기의 아동의 특성을 인식하고 또래관계기술을 잘 형성하기 위해서 가족 내에서의 역할의 중요성과 내적인 성숙인 자기분화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접근법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family strengths, self-differentiation and peer relational skills. The subjects were 571 students(5th, 6th graders) from three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Feb 7th, 2011 to Feb 11th,2011.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influence of family strengths and self-differentiation perceived by children on children’s peer relational skills.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higher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children had and the higher they perceived family strength, the more they used initiative, empathy and cooperation skills in peer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not only provide data on parenting children with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5th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but also to inform importance of roles within family and the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on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부모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존감에 따른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왕강희,김진이 한국가족관계학회 2009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3 No.4

        This research investigated 312 children, grades five and six in three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study the children's gender role identity as according to their parents' childrearing behavior and their self-esteem. The measurement for the children's gender role identity was used the scale developed by Kim(2003) and revised by Ahn(2004). In order to measure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as perceived by children, the scale developed by Park(1995) was used, which Kim(2003) revised. The self-esteem questionnaire was used the measurement created by Rosenberg(1965) and adapted by Eo(1998). For data analysis, a chi-square test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gender, when children perceive that their parents display a lot of warm-acceptance parental childrearing behavior, they acquire androgynous identity. Second, regardless of gender, children with high self-esteem acquire androgynous identity, while children with low self-esteem acquire undifferentiated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