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기반 협력학습에서 GLAS 유형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효과

        김지일,장상필,Kim, Jee-Il,Jang, Sang-Phil 한국정보교육학회 2006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LAS(Guided-Learner Adaptable Scaffolding) strategies i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Through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considering GLAS types were developed. 93 sixth graders were selected from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they learned in the web-based system for 4 week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mpact of scaffolding on transfer of learning, cognitive overload by reflective scaffolding, learning motivation affected intrinsic scaffolding.

      • KCI등재

        『합부금광명경(合部金光明經)』의 부호 연구

        김지오(金志悟) ( Kim Ji-oh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1

        고려시대 釋讀口訣 자료인 『合部金光明經』 권3을 대상으로, 여기에 기입된 부호들의 종류와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合部金光明經』은 點吐 口訣과 字吐口訣이 동시에 기입되어 있는 자료로, 부호 역시 두 가지 구결을 위한 부호가 모두 나타난다. 먼저 點吐釋讀口訣을 위한 부호로는 合符, 逆讀線, 合符逆讀線, 指示線, 境界線이 있는데, 이들은 기입 방식에 따라 角筆 부호와 墨書 부호로 구분된다. 角筆 부호는 지금껏 알려져 왔던 『瑜伽師地論 (3·5·8권)』의 부호들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墨書 부호는 기존의 부호 체계와는 다른, 독특한 모양과 새로운 기능을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묵서 역독선은 선의 빼침이 3가지 방향으로 나타나는데, 右下向과 左上向은 논항성분이 같은 줄 안에 위치하는지 다음 줄로 넘어가는지에 따라 그 방향이 결정된다. 그리고 묵서 지시선은 사선의 빼침 모양이 한 방향으로만 나타나며 실수나 미숙함에 의해 잘못된 점토를 수정하는 성격이 강하다. 한편 字吐釋讀口訣을 위한 부호로는 修訂線과 修訂 圈點이 있으며, 이들은 字吐의 잘못된 위치나 吐의 내용을 수정하는 기능을 한다. This article looks at the marks in the Hapbugeumgwanggyeong [合部金光明經]. Most of the marks of the Hapbugeumgwanggyeong are related to point-attached seokdokkugyol, but some also appear to be related to Jato-seokdokkugyol. Among the marks related to point-attached seokdokkugyol are the joint-line, the reverse reading line, the joint reverse reading line, the instruction line, and the boundary line. Each point-attached mark is almost identical to the marks shown in the Yuqieshidilun [瑜伽師地論], but a line drawn with ink has a unique shape and function that is not found in the existing point-attached seokdokkugyol system. Also, the marks related to the Jato a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lines and circle that indicate the wrong location of the Jato or the correction of the Jato.

      • KCI등재

        프롬프트 기반 학습 모형 개발 연구

        김지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30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실에서 효과적인 GPT 활용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AI와의 대화 수단인프롬프트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 모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프롬프트 기반 학습은 시대에 따라기술을 반영하여, 의미가 확장되었다. 특히 컴퓨터 공학 분야에서의 프롬프트 기반 학습에 대한 연구와 교육학 분야에서의 연구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프롬프트 기반 학습은 AI 언어 모델과 상호작용을통해 서로를 학습시켜 가는 과정이다. 프롬프트 활용이 필요한 복합적 학습의 설계를 위해 구성주의교수설계 모형인 4CID를 활용하였다. 이론적인 고찰과 학습자 분석을 통해 초안으로 마련된 원형 모형은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는 실행 평가와 전문가의 평가를 받는 타당화 절차를 거쳐 최종 모형으로완성되었다. 3차례의 실행 평가는 질적 연구 방법인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수업 중 일어나는 현상에대한 학술적 분석을 하였고, 2차례의 타당화 과정은 내적타당도를 조사하여 모형의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원형 모형의 10단계는 실행 평가와 전문가 평가의 결과를 반영하여 4개의 단계로 축약되었다. 각각은 사전 준비, 학습 계획, 문제 해결, 학습 성찰의 단계이다. 이 과정은 교사가 사전에 과제를 제작하고, 학습자들이 프롬프트를 주제와 관련지어 지식의 구조화를 수행하고 이 결과를 상호 피드백하는 단계이다. 이 연구는 프롬프트 기반 학습에 대한 초기 연구로 현장 교사들에게는 AI 활용 수업의지침 기능을 하고 후속 연구자들을 위해서는 AI 기반 학습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a prompt-based learning model for effective GPT integr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Prompt-based learning has evolved over time, expanding its meaning with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research in the field of computer engineering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each carries distinctive traits with regard to prompt-based learning. This form of learning involves a reciprocal learning process between AI models and learners. The design for this complex learning requiring prompt utilization employed the constructivist instructional design model, 4CID. After theoretical deliberation and learner analysis, the initial prototype underwent practical application in classes and expert validation to reach its final form. Three rounds of implementation assessment, applying grounded theor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onducted an theoretical analysis of phenomena observed during lessons, while two validation rounds confirmed the model’s meaningfulness by examining its internal validity. The prototype’s ten stages were condensed into four, informed by the outcomes of these assessments and reviews: instructional preparation, learning planning, problem-solving, and learning reflection. The methodology calls for teachers to craft tasks beforehand and for learners to construct their knowledge through prompts related to the subject matter, followed by a phase of mutual feedback. This research serves a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into prompt-based learning, offering a guide for teachers in the application of AI in teaching and laying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AI-based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문재인 정부의 미사일 지침 개정 이후 한국의 미사일 억지 전략 방향

        김지일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9 전략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문재인 정부의 미사일 지침 개정 이후 한국이 전개할 수 있는 합리적인 미사일 억지 전략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 해답의 실마리는 국가 기밀 사항을 인지할 수 없는 일반 연구자의 입장에서 원론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국제정치학에서 다루고 있는 억지이론의 가장 근본적 관점을 연구에 적용해 방향을 제시한다. 미사일 지침 개정 결과 한국은 과거 미사일 지침 사정거리 800km를 유지하면서 미사일 탄두 중량을 무제한으로 개발할 수 있게 됐다. 남북 관계의 긴장 양상은 변화하고 있으며, 주변국의 막강한 미사일 개발 소식은 속속 전해지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미사일 억지 전략은 이제 북한뿐만 아니라 주변국을 고려하는 대승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한국의 자체적 미사일 억지 능력은 북한과 주변국 상황에 비해 비교가 불가능 정도로 취약하다. 한국은 비핵화를 유지하면서 강력한 재래식 미사일 개발을 통해 동북아시아 역내에서 자국의 평화를 위한 주도적 억지력을 생성해 내야할 시점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a direction for a rational missile deterrence policy for South Korea in light of the recent Missile Guideline Amendment. Since without access to classified information unavailable to researchers, the matter can only be approached through a theoretical perspective, this study utilizes the widely-accepted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relations deterrence theory in search for insights relevant to policy-makers. The Amendment allowed South Korea to develop missile payloads without restrictions, while maintaining the 800km range permitted under the previous Missile Guideline. This comes at a time when tens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re decreasing, but there is a lot of talk about other states in the region developing their own powerful missiles. It follows that in developing a deterrence strategy, President Moon’s administration needs to adopt a broader view, considering not only North Korea but also its other neighbours in Northeast Asia. At present, South Korea’s self-dependent missile deterrence capability is weak to the point that it can bear comparison neither with the North nor with other regional powers. The main argument made here is that in this situation to preserve its security South Korea needs to produce a superior deterrent capability by relying on advanced conventional missiles, while staying away from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