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sign of 10 ㎚ FinFETs with Gate-to-Source/Drain Underlap Structure

        김준수(Junsoo Kim),이재홍(Jaehong Lee),강대웅(Dae Woong Kang),박병국(Byung-Gook Park),이종덕(Jong Duk Lee),신형철(Hyungcheol Shin)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11

        Continued transistor scaling will not be as straightforward in the future as it has been in the past because fundamental materials and process limits are rapidly being approach. Advanced MOSFET structures such as the Fin Field Effect Transistor can be scaled more aggressively than the classic bulk-Si structure. However, it is strongly required to understand the device characteristics of the FinFETs before device design since the device design of the FinFETs is clearly different from those of conventional planar gate MOSFET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19세기 말~20세기 초 일본 간행 한국어 학습서를 통해 본 한국어 발음 교육 - 한글 표기에 대응하는 가나 표기를 중심으로 -

        김준수(Kim, Junsoo),안기경(An, Kigyeong),문경진(Moon, Kyoungjin),박기영(Park, Keeyoung)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8 No.-

        본고는 개화기에 일본에서 간행된 한국어 학습서들을 통해 당시 한국어 발음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개화기 한국어 학습서들 가운데 한글 표기와 가나 표기가 병기된 한국어 학습서를 주된 자료로 삼되, 한국어 발음에 관한 음성적 · 음운론적 기술이 있는 학습서를 참고하여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의 음운 및 음운 규칙 학습이 이루어지는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우선 자음 학습의 경우, 『韓語會話』(1904)에서는 한국어의 평음 · 경음 · 격음을 가나로 표기할 때 별도의 반탁점과 첨자를 활용하여 구별하려는 시도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음운 규칙과 관련해서는 한글 표기에 음운변동이 반영되어 있지 않지만 가나 표기에는 음운변동이 반영된 경우를 통해 학습자들이 귀납적으로 한국어의 음운 규칙을 학습했음을 알 수 있었다. 모음 학습의 경우, 일본어는 한국어보다 적은 수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본어에 존재하지 않는 모음의 경우는 조음위치상 가까운 일본어의 모음을 나타내는 가나에 대응시켰다. 이 경우 하나의 가나 표기에 대응하는 한국어 모음이 여러 개 있었기에 해당 한국어 모음에 대한 음성적 · 음운론적 설명을 덧붙인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was presented and learned through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Japan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pattern in which Japanese learners learned phonological rules of the Korean by dividing into three types of notation related to phonological phenomena, centering on the Korean textbooks with both Korean alphabet notation and Kana notation. First, with regard to consonants, it was investigated how the Korean lenis, fortis, and aspirated consonants pronunciation patterns, which is not found in the Japanese consonant system, is presented in the Korean textbooks. For example, in 『Haneohoehwa』(1904), separate symbols (˚, ˋ) were used to mark the three Korean sounds - the lenis, fortis, and aspirated consonants - in Kana notation, which are not in the Japanese consonant system. Second, with the phonological changes of consonants, it was considered that learners were able to inductively learn th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through the type (ii), in which the phonological changes were not reflected in the Korean alphabet notation but the phonological changes were reflected in the Kana notation. Finally, with regard to vowels,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how to present short vowels in Korean, which are not found in the Japanese vowel system, in the Korean textbooks. There are only 5 single vowels in Japanese, but there are up to 10 single vowels in Korean, so it was difficult for Japanese learners to learn the Korean vowel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we carefully reviewed how individual vowels of Korean are presented to learners in the Korean textbooks. Korean vowels that do not exist in Japanese were matched to Kana notation, which represents a Japanese vowel near the articulation position with the Korean vowels. In this case, additionally a phonetic and phonological explanation was presented because there are several Korean vowels corresponding to one Kana notation.

      • KCI우수등재

        한국의 외래생명정치와 인간 너머의 생명안보 : 붉은가재(Procambarus clarkii)를 통해 바라본 생태계 교란종의 존재론적 정치

        김준수(Kim Junsoo) 비판사회학회 2021 경제와 사회 Vol.- No.132

        이 글은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외래종 관리 정책을 붉은가재(Procambarus clarkii) 사례를 통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연구는 외래종 관리 정책이 생태보전과학지식에 기반해 종을 하나의 단위로 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의 한계를 드러낸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외래종의 존재론적 지위와 생태학적 기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외래종에 대한 기존의 생태보전과학지식을 정치생태학적으로 재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외래종이라는 단일한 존재론적 지위로 포착되지 않는 비인간 행위자들의 물질성과 역사성 그리고 그들이 인간과 맺어온 다른 층위의 상징적 관계성은 현재 한국에서 작동하고 있는 외래생명정치의 새로운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20년 한국에서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된 붉은가재의 사례를 통해 구체적인 생명안보 작동방식과 그 과학적 근거들을 분석한다. 이후에는 붉은가재가 형성하고 있는 다종적 관계성과 외래종이라는 단일한 지위로는 포착되지 않는 존재론적 경합을 밝힌다. 이를 통해서 이 연구는 비인간 행위자들의 물질성과 역사성, 그리고 그들이 맺고 있는 다양한 관계성을 통해 외래종 관리과학과 정책 수행의 재구성 가능성을 함의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ontological politics of invasive species in South Korea using Red Swamp Crayfish(Procambarus clarkii). The environmental policy for invasive species management is based on ecological conservation science and implied the regulation as the species unit. This study will critically engage the existing invasive species management policy with the concept of ‘more-than-human biosecurity.’ These approaches bring us to the various ontological position that can not simply be defined as invasive species. To do so, in this study, I will critical engages to the ecological conservation sciences with political ecologies of onto-politics and interspecies politics. By doing so, This study also will analyze the case of Red Swamp Crayfish, which was decided as an ‘ecological disturbance species’ in South Korea, 2020. Reconceptualization of more-than-human biosecurity with interspecies relationships and materialistic approaches will offer new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vasive species policy and analytic framework.

      • KCI우수등재

        극지 심상의 변천 - 미지의 땅에서 인류세 프런티어로 -

        김준수(Junsoo Kim),최명애(Myung-Ae Choi),박범순(Buhm Soon Park)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6

        극지는 한국 인문지리학의 발길이 거의 닿지 않은 공간이다. 이 논문은 문화지리학의 심상 연구와 인류세 연구의 행성성 논의를 결합해 남북극 극지에 대한 지리적 심상의 형성과 변화를 살펴본다. 논문은 먼저 서구와 한국의 극지 영역화 방식의 변화를 각각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생산·동원되는 극지 심상을 논의한다. 이어 기후 위기로 대표되는 최근의 인류세 맥락 속에서 새롭게 등장한 극지 심상을 살펴보고, 생태적·정치적 의미를 탐색한다. 지난 150년 동안 극지는 ‘미지의 땅’에서 과학 기술을 통한 ‘정복 대상’으로, 이어 미소 냉전의 ‘전략적 대치지역’에서 ‘인류 공동의 땅’으로 이해되고 상상되어 왔다. 국내에서는 1970년대 ‘자원의 보고’로 극지에 관한 관심이 촉발됐으며, ‘선진국 진입의 증거’이자 한국과 지질학적 유사성을 지닌 ‘또 하나의 한국’으로 상상되어 왔다. 이러한 극지 심상은 식민주의적 팽창, 냉전적 대결, 발전주의 산업화와 같은 역사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어 왔다. 2000년대 이후에는 기후 위기 논의 속에서 극지가 ‘인류세 프런티어’로 새롭게 사유 되면서, 초국가적 과학 조사와 국제 환경 협력이라는 새로운 극지 이용 방식을 불러왔다. 이 논문은 주요 극지 심상을 유형화함으로써 극지에 대한 지리적 지식을 생산하고, 행성적 스케일과 행위성을 강조하는 인류세의 행성성 논의를 심상지리 분석에 결합해 심상지리 연구 발전에 기여한다. The Arctic and Antarctic have received little attention in the Korean scholarship of human geography. By combining the concept of ‘imagined geographies’ with recent discussions of the Anthropocene, this paper explores the changing geographical imaginations of the polar regions. The aim of this paper is three-fold. First, it identifies and discusses four prominent polar imaginations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nation states have territorialized the polar regions through various political, economic, and scientific interventions over the past 150 years. These imaginations include viewing the polar regions as: ‘terra incognita’ ‘polar conquest’ ‘Cold War frontier’, and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Second, it examines Korean-specific imaginations of the polar regions, including ‘the treasury of natural resources’ ‘entry to an advanced country’ and ‘another Korea in Antarctica’. Third, the paper examines an emerging polar imagination, which considers the polar regions as ‘the frontiers of the Anthropocene’, where the planetary climate crisis is experienced and can be monitored. This particular imagination fosters increased scientific research o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nd enhanced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This paper argues that polar imaginations are socio-material achievement shaped not just by the changing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interventions - such as colonial expansion, Cold War politics, and the state-led developmentalism - but by the materiality of the planet as well.

      • KCI등재

        음운보편성의 관점에서 본 ≪切韻≫ 모음체계

        金俊秀 ( Kim Junsoo ),盧慧靜 ( Roh Hyejeong ),李玉珠 ( Lee Ok Joo ) 중국어문연구회 2022 中國語文論叢 Vol.- No.111

        Reconstructing the Qieyun sounds has been subject to extensive research in the historical phonology of Chinese. Qieyun, a rhyme book compiled by Lu Fayan in AD 601, is arguably the most crucial source in tracing the sounds of Middle Chinese. However, the reconstructed sound systems differ to a large extent due to different linguistic sources as well as phonetic and phonemic analyses employed for the studies. The present study adopts phonological typology, which explains sound distributions across languages, as a methodological tool to compare the reconstructions of the Qieyun vowel system from Martin (1953), 周法高(1954, 1968, 1984), 藤堂明保(1954, 1957, 1980), Baxter (1992), 麥耘(2009), and 潘悟雲(2000, 2014, forthcoming). A close examination on the reconstructed vowel systems reveals that they differ in vowel inventory size, distribution of peripheral vowels and internal vowels, and distributional relations with such features as highness, frontness, and roundness. Taken together, Pan’s revised system (forthcoming) conforms with vowel universals and provides a natural vowel system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further suggests that it is not in fact a six-vowel system as Pan claims but should be regarded as an eight-vowel system comprised of the phonemes /a, i, u, e, a, o, ɤ, ə/.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