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곰피추출물의 간기능 개선 효과 평가를 위한 12주,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인체적용시험

        김정희,김은진,강다혜,김형빈,장재영,엄애선,김종욱,Kim, Junghee,Kim, Eun Jin,Kang, Dahye,Kim, Hyung-Bin,Jang, Jae Young,Om, Ae-Son,Kim, Jongwook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경증 또는 중등도 간기능 이상 소견자를 대상으로 ESE의 간기능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험식품군과 대조식품군으로 나누어 단일기관, 위약대조,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평행 인체적용시험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12주간 ESE 420 mg(210 mg/포, 1일 2회)을 함유한 시험식품 또는 대조식품을 섭취하였을 때 ESE의 간 기능 개선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유효성 평가 결과, 섭취 후 시험식품군은 대조식품군과 비교하여 ALT, AST, γ-GT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지질대사 지표는 두 군간의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비알콜성 시험대상자군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도 ALT 및 AST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γ-GT의 경우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안전성 평가로서 혈액, 소변, 활력 징후를 검사한 결과 대부분 항목에서 시험식품군과 대조식품군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몇몇 유의성이 나타난 지표도 임상적 의미는 없었다. 따라서 ESE는 간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안전한 식품 소재로 판단된다.

      • KCI등재

        Genome sequence of Caballeronia sordidicola strain PAMC 26592 isolated from an arctic lichen species

        김정희,권개경,김병권,홍순규,오현명,Kim, Junghee,Kwon, Kae Kyoung,Kim, Byung Kwon,Hong, Soon Gyu,Oh, Hyun-Myung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7 미생물학회지 Vol.53 No.1

        Caballeronia sordidicola strain PAMC 26592 was isolated from Umbilicaria sp., a lichen material collected from Svalbard Archipelago in the Arctic Ocean. We report the draft genome sequence of the strain PAMC 26592, a metabolic generalist. As we have observed in previous genomic studies in the genus Caballeronia draft genomic sequences of PAMC 26592 had an assortment of genes of ecological importance and of bio-technical potentials, which include diverse metabolic genes for carbohydrates, aromatic compounds, amino acids, and vitamins, and genes for nitrogen / sulfur metabolisms, stress responses, membrane transporters, antibiotic resistance, and heavy metal resistance.

      • KCI등재

        Draft genome sequence of Caballeronia sordidicola strain PAMC 26633 isolated from an antarctic lichen, Psoroma species

        김정희,홍순규,오현명,Kim, Junghee,Hong, Soon Gyu,Oh, Hyun-Myung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7 미생물학회지 Vol.53 No.4

        본 연구에서 남극 킹 조지 섬 인근에서 채집한 지의류 Psoroma 종에서 분리한 Caballeronia sordidicola 균주 PAMC 26633의 초벌 유전체를 분석하였다. 이전의 연구를 통한 극지방의 지의류에 공생하는 Caballeronia 속 세균의 유전체와 마찬가지로 생물공학 및 생태학적으로 활용가능성 있는 다양한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다양한 대사 관련 유전자를 포함하며, 탄수화물, 아미노산, 질소/황 대사, 스트레스, 세포막 수송체, 항생제 및 중금속 내성에 관련이 있었다. 파아지와 트랜스포존 유전자가 소수 있었으며, CRISPR 관련 유전자 및 서열은 발견되지 않았다. Here we report the draft genome sequence of the Caballeronia sordidicola strain PAMC 26633, isolated from Psoroma species, a lichen material from Barton Peninsula, King George Island in Antarctica. As we have observed in previous genomic studies in the genus Caballeronia from polar lichen, draft genomic sequences of PAMC 26633 had an assortment of genes of ecological importance and of biotechnical potentials, which include diverse metabolic genes for carbohydrates, amino acids, and genes for nitrogen/sulfur metabolisms, stress responses, membrane transporters, antibiotic resistance, and heavy metal resistance. CRISPR genes and sequences were not found and there were some phage remnants and transposons.

      • KCI등재

        Celeribacter marinus IMCC12053의 외향고리 GpC DNA 메틸트랜스퍼라아제

        김정희,오현명,Kim, Junghee,Oh, Hyun-Myung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9 미생물학회지 Vol.55 No.2

        DNA 메틸화는 유전체의 무결성의 유지 및 유전자 발현 조절과 같은 박테리아의 다양한 과정에 관여한다. Alphaproteobacteria 종에서 보존된 DNA 메틸 전이 효소인 CcrM은 S-아데노실 메티오닌을 공동 기질로 사용하여 $N^6$-아데닌 또는 $N^4$-시토신의 메틸 전이 효소 활성을 갖는다. Celeribacter marinus IMCC 12053는 해양 환경에서 분리된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로서 GpC 시토신의 외향고리 아민의 메틸기를 대체하여 $N^4$-메틸 시토신을 생산한다. 단일 분자 실시간 서열 분석법(SMRT)을 사용하여, C. marinus IMCC12053의 메틸화 패턴을 Gibbs Motif Sampl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5'-GANTC-3'의 $N^6$-메틸 아데노신과 5'-GpC-3'의 $N^4$-메틸 시토신을 확인하였다. 발현된 DNA 메틸전이 효소는 계통 발생 분석법을 사용하여 선택하여 pQE30 벡터에 클로닝 후 $dam^-/dcm^-$ 대장균을 사용하여 클로닝된 DNA 메틸라아제의 메틸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메틸화 효소를 코딩하는 게놈 DNA 및 플라스미드를 추출하고 메틸화에 민감한 제한 효소로 절단하여 메틸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염색체와 메틸라아제를 코드하는 플라스미드를 메틸화시켰을 때에 제한 효소 사이트가 보호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 생물학 및 후성유전학을 위한 새로운 유형의 GpC 메틸화 효소의 잠재적 활용을 위한 외향고리 DNA 메틸라제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DNA methylation is involved in diverse processes in bacteria, including maintenance of genome integrity and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CcrM, the DNA methyltransferase conserved in Alphaproteobacterial species, carries out $N^6$-adenine or $N^4$-cytosine methyltransferase activities using S-adenosyl methionine as a co-substrate. Celeribacter marinus IMCC12053 from the Alphaproteobacterial group was isolated from a marine environment. Single molecule real-time sequencing method (SMRT) was used to detect the methylation patterns of C. marinus IMCC12053. Gibbs motif sampler program was used to observe the conversion of adenosine of 5'-GANTC-3' to $N^6$-methyladenosine and conversion of $N^4$-cytosine of 5'-GpC-3' to $N^4$-methylcytosine. Exocyclic DNA methyltransferase from the genome of strain IMCC12053 was chosen using phylogenetic analysis and $N^4$-cytosine methyltransferase was cloned. IPTG inducer was used to confirm the methylation activity of DNA methylase, and cloned into a pQE30 vector using dam-/dcm- E. coli as the expression host. The genomic DNA and the plasmid carrying methylase-encoding sequences were extracted and cleaved with restriction enzymes that were sensitive to methylation, to confirm the methylation activity. These methylases protected the restriction enzyme site once IPTG-induced methylases methylated the chromosome and plasmid, harboring the DNA methylase. In this study, cloned exocyclic DNA methylases were investigated for potential use as a novel type of GpC methylase for molecular biology and epigenetics.

      • KCI등재

        감로도 도상의 기원과 전개 -연구현황과 쟁점을 중심으로-

        김정희 ( Kim Jungh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6 강좌미술사 Vol.47 No.-

        甘露圖는 망자의 영혼이 고통을 벗어나 보다 좋은 곳에 태어날 수 있도록 불·보살에게 음식을 공양하며 영혼을 천도하는 의식을 표현한 불화로, 대표적인 靈駕薦度用 불화 가운데 하나이다. 현존하는 작품은 70 여 점으로 1580 년에 제작된 일본 개인소장 감로도가 가장 이른 작품이며, 나머지는 대부분 18, 19 세기의 작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감로도는 특정한 소의경전에 의거하여 교리적인 내용, 규범화된 구성을 보여주는 예배용 불화와 달리 하단·중단·상단으로 이어지는 상승적 구도, 현실생활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다양한 도상, 중국이나 일본 등 다른 불교국가에는 없는 독창적인 불화라는 점 등에서 일찍부터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상단과 중단은 시식의례 및 망자천도와 관련된 종교적인 내용이 위주인 반면, 천도의 대상을 묘사한 하단은 인간들의 여러 危難相, 즉 아귀도의 모습과 비명횡사한 고혼, 육도윤회의 여러 모습, 지옥장면, 현실세계의 반영 등 풍속화라고 부를 만큼 다양한 도상들이 묘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그동안 여러 분야에서 발표된 감로도 관련 글과 논문을 중심으로 감로도의 구성, 감로도의 기원과 소의경전 문제, 감로도 하단의 도상과 관련된 다양한 견해 등을 살펴보고, 이어서 감로도를 지칭하는 다양한 명칭에 대해 살펴보았다. 감로도의 기원에 대해서는 우리나라에서 여러 신앙을 기반으로 하여 독자적으로 발전하였다는 설, 수륙재용 의식불화에서 기원하였다는 설, 중국 수륙화의 영향을 받아 기원하였다는 설, 밀교경전을 소의경전으로 하여 기원하였다는 설 등이 발표되었으며, 하단의 도상에 대헤서는 하단의 장면과 의식집과의 관계. 풍속화와의 관계 등에 중점을 둔 연구를 비롯하여 하단의 장면과 조성 당시의 사회상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음악사분야에서는 하단의 장면 중 예인집단의 연주 방식과 예인집단의 종류와 성격, 악기 종류를 중심으로 도상학적으로 접근한 연구와 연희집단 중 특히 사당패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밖에도 불교무용(작법), 복식 , 미용 , 무속. 의식법구 및 불구, 헌공화 등에 이르기까지 감로도 하단에 표현된 도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감로도의 명칭은 시대에 따라 다양하지만 감로탱, 감로왕탱, 감로회 등 감로와 관련된 명칭이 가장 많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16 세기에는 幀佛이라 하여 구체적인 명·칭이 기록되지 않았으며, 17 세기에는 畵像이라는 명칭과 함께 甘露王幀이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또 18 세기에는 감로왕탱· 감로탱· 감로회· 하단탱, 19 세기에는 감로탱, 20 세기에는 감로탱 등으로 기재되어있어, 감로도를 지칭하는 가장 일반적인 명칭은 감로탱 또는 감로왕탱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중 감로왕탱이라는 명칭은 甘露王如來가 7 여래 및 5 여래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설령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작품 속에서 어느 여래가 甘露王如來인지 확인하기 어려우며, 조선후기 작품에서는 감로왕여래와 아미타여래를 동일시하여 아미타여래를 주존으로 표현하는 경향도 있으므로, 감로도를 지칭하는 명칭으로는 적합지 않다. 감로도가 무주고혼들에게 감로를 베품으로써 아귀도에서 벗어나 극랑왕생하는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한 불화라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감로도에서 아귀도와 극락을 잇는 가장 중요한 매체는 감로이므로, 이러한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한 그림은 감로도 또는 감로탱이라고 칭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mposition of Nectar Ritual Paintings(Gamrodo), the origins of Nectar Ritual paintings and issues of the basic Buddhist sutra, the various kinds of views related to the image of iconography at the bottom of Nectar Ritual Paintings, and then explore various names referring to Nectar Ritual Paintings. The origin of the Nectar Ritual Paintings is based on the belief that it developed independently on the basis of various beliefs in Korea, originated from the ritual Buddhist paintings for the Water-Land Ritual, and influenced by the Water-Land Ritual Paintings, and the origin of the scriptures of the eschatology as the basic Buddhist sutra. And as for the image of the lower part, research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ene at the bottom and books for ritu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re pictures and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ene at the bottom and the social phenomenon at the time were performed. In addition, in the aspect of artistic music history, on play methods of the groups of performing arts and entertainments at the bottom of the scene, and kinds and characters of artist groups, and the kinds of instruments, and play groups, especially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Sadangpae. In addition, a variety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Images expressed at the bottom of Nectar Ritual Paintings including Buddhist dance, costume, beauty, Buddhist goods and instruments, and flower paintings. The names of Nectar Ritual Paintings vari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ut the names such as Gamrotaeng, Gamrowangtaeng, and Gamrohoe were most commonly associated with Gamro (Sweet Nectar). Nectar Ritual Paintings was called as Taengbul in the 16th century, as Hwasang or Gamrowangtaeng in the 17th century. It was recorded as Gamrowangtaeng, Gamrotaeng, Gamrohoe, and Hadantaeng in the 18th century, and as Gamrotaeng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and so it can be said that the most common name for Nectar Ritual Paintings was Gamrotaeng or Gamrowangtaeng. Among them, there were cases that Gamrotaengtaeng was not included among seven Buddhas and/or five Buddhas. Even if it was included,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o is Gamro Buddha. In the later Joseon works, Gamro Buddha and Amitabha Buddha were identified to tend to express Amitabha Buddha as principal Buddha, which accordingly, is not suitable for the name referring to Nectar Ritual Paintings. Considering that Nectar Ritual Paintings are out of world of Preta by giving Sweet Nectar to the Forlorn Wandering Spirits and that Reincarnation in the Pure land is a picture-depicting discourse, the most important medium linking world of Preta and Paradise in Nectar Ritual Paintings is Sweet Nectar, and so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appropriate to call these pictures which expressed these contents as Gamrodo or Gamrotaeng.

      • KCI등재

        조선 후기 운문사의 불사(佛事)와 불화

        김정희 ( Kim Junghee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경상북도 청도에 위치한 운문사는 기나긴 역사를 보여주듯 다양한 불교유물들을 소장하고 있다. 운문사의 창건은 삼국시대 혹은 고려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한때는 전국 ‘제 2 의 선찰’로 불리울 만큼 사세가 확장되었지만, 1653 년의 대화재로 인해 석조유물과 일부 금동유물을 제외하고는 모두 소실되었다. 이에 따라, 운문사에 현존하는 불화 역시 17 세기 중창 이후의 것들이 대부분이다. 1655 년과 1773 년 두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대웅보전 중창 때 조성된 불화로는 후불벽 뒷면에 그려진 관음보살ㆍ달마대사도가 대표적으로, 이 벽화는 雲門宗 사찰로 창건되어 꾸준하게 禪脈을 이어 온 운문사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대웅보전의 비로자나삼신불도와 삼장보살도는 1755 년에 통도사의 화승 任閑과 그 제자들에 의해 제작되었는데, 비로자나삼신불도는 현존하는 후불화로는 가장 시기가 올라가는 삼신불도의 형식을 보여주며, 삼장보살도는 천장보살과 지지보살, 지장보살 등 세 보살의 회상을 한 폭에 각각 독립적으로 그렸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아울러 운문사에서는 수륙재 중단탱인 삼장보살도와 함께 일찍이 수륙재관련 서적이 간행되었으며 의식 때 사용하던 佛輦이 남아있어, 당시 사찰에서 행해졌던 水陸齋의 모습을 잘 전해준다. 19 세기에는 운악 두안에 의해 萬日念佛會가 개최되면서 염불당 등에 봉안하는 불화들이 주로 제작되었다. 그중 대웅보전의 신중도와 관음전의 관음보살도, 아미타불도는 운문사에서 거행되었던 만일염불회의 모습을 생생하게 전해준다. 또한 이 시기에는 진영의 제작이 성행하여 현재 11 점의 진영이 남아있는데, 원광법사진영과 보양국사진영, 원응학일진영에는 각각 제 1 조, 제 2 조, 제 3 조 등의 명칭이 적혀있어 운문사 문중의 계보를 확립하고자 했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본고는 17~18 세기에 이루어진 운문사 대웅보전 중수 및 1861 년 염불회와 관련하여 조성된 불화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운문사의 중창불사와 불화에 관해 고찰한 것으로, 불화가 단순하게 전각에 봉안하여 예배하는 신앙의 대상이 아니라 한 사찰의 위상을 보여주고 문중의 결속력을 다지는데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을 운문사의 불화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Located in Cheongdo, Geyongsangbuk-do, Unmunsa-temple has a collection of various Buddhist artifacts that show a long history. The Buddhist paintings existing in Unmunsa-temple are mostly after the reconstruction in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valokitesvara and Bodhidharma mural painting behind the Buddha is one of the Buddhist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reconstruction of Great Hall twice in 1655 and in 1773, and this painting shows the appearance of Unmunsa-temple, which was founded as Unmunjong temple and consistently followed Zen lineage. Great Hall's Trikaya Buddha painting and Three Bodhisattva painting were produced in 1755 by monk painter Imhan and his disciples, and Trikaya Buddha painting shows the form of Tirkaya painting which is the oldest with the existing behind Buddha paintings. Three Bodhisattva paintings are notable in that they were painted in an independent scroll with the three Bodhisattvas paintings of Cheongjang-Bodhisattva, Jiji-Bodhisattva and Ksitigarbha. In the 19th century, Manilyeombulhoe(Assembly of recitation of Buddha's name for Ten-thousand days) was held by priest Unak Duan, and Buddhist paintings that were enshrined to Yeombuldang(Hall for recitation of Buddha's name) were mainly produced. Among them, Divine Guardians painting of Great Hall, and Avalokitesvara painting of Hall of Avalokitesvaran, Amitabha painting in 1861 transmits the vividness of Manil yeombulhoe which was performed in Unmunsa-temple. In addition, at this time, production of portraits of a priest was intensified and 11 paintings still remain. This study examined the reconstruction of Great Hall of Unmunsa-templ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the Buddhist paintings drawn due to Yeombulhoe in 1861 and the reconstruction and Buddhist paintings of Unmunsa-temple in the late Joseon, and Buddhist paintings in the temple are mostly composed in the construction and rebuilding of the temple, or in the memory of a special Buddhist event or Buddhist memorial service, etc.

      • 공용 UDDI 비즈니스 레지스트리의 현황에 대한 분석

        김정희(Junghee Kim),오수영(Youngkuk Kim),김영국(Sooyoung Oh)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C

        본 논문은 현재 IBM, 마이크로소프트, SAP등이 운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공용 UBR(UDDI Business Registry) 노드들과 국내에서 개발된 K-UDDI, 일본의 NTT에서 운용하는 UBR 노드에 대해 각각의 특징을 서로 비교해 본다. 또한 간단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현하여, 각각의 UDDI 비즈니스 레지스트리에 등록되고 있는 전체 비즈니스 개체와 비즈니스 서비스 수의 증감 추이를 관찰하고, 등록된 비즈니스 개체별 링크된 WSDL파일의 유효함의 여부를 실행한 결과물을 통해 현재 운용중인 공용 UDDI 레지스트리의 활성화 정도를 분석해 본다.

      • KCI등재

        원광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건륭년간 감로도 두 점

        김정희(Kim, Junghee)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21 馬韓, 百濟文化 Vol.37 No.-

        원광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두 점의 감로도는 각각 1750년과 1764년에 제작된 작품으로서, 18세기 감 로도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손꼽힌다. 1750년에 화승 덕인과 유봉이 조성한 건륭15년명 감로탱화(전라북 도 유형문화재 제185호)는 상단에 7여래를 비롯한 불·보살, 산수를 경계로 중단에 육도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의식장면과 시식단, 하단에 세속의 여러 가지 환난장면과 아귀고가 묘사되어 있어 18세기 감로도의 전형적인 3단 구도를 보여준다. 특히 하단에 표현된 수묵 몰골양식의 무주고혼은 고혼을 불국토로 천도하 기 위한 의식인 수륙재용 불화로서의 감로도의 의미를 잘 보여준다. 16세기부터 표현된 망령을 각 인물마 다 묘사하고 있는 점은 1730년 운흥사 감로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감로도 등을 따르고 있지만 이 감로도 를 마지막으로 망령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점은 18세기 감로도의 도상연구에 기준이 된다. 1764년에 수 화승 치상(치삭)을 비롯해 13명의 화승이 제작한 대곡사명 감로왕도(보물 제1990호)는 상단에 7여래를 비 롯한 불·보살, 그 아래로 의식장면 및 아귀와 고혼을 배치하였다. 이 감로도에서 보는 것처럼 상단 화면의 중심에 7여래가 등장하는 것은 1701년 남장사 감로도에서 정립된 이후 일반화되었지만, 대곡사명 감로왕 도의 상단에는 1589년 일본 야쿠센지 소장 감로도처럼 비명횡사한 고혼들을 천도하기 위해 내영하는 아 미타삼존이 등장하는 등 16세기 감로도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어, 18세기 감로도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 닌다. 또한 하단에 횡으로 길게 펼쳐진 전쟁장면이 화면 전체에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모습은 다른 감로도 에서는 볼 수 없다. 여러 폭의 비단을 이어 붙인 거대한 화면에 유려하고 탄력 있는 필치로 다양한 장면을 묘사했을 뿐 아니라 40여 명 이상의 발원자와 13명의 화원이 동참하여 조성했다는 점에서도 18세기 감로 왕도의 수작으로 꼽을 만하다.

      • KCI등재

        李白 <懷古>詩 譯解(2)

        김정희 ( Kim Junghee ) 중국어문연구회 2018 中國語文論叢 Vol.0 No.88

        This paper reviewed Li Bai’s poems of huaigu (recalling antiquity) through the study of his six poems of huaigu. In the poems, Li Bai expressed his emotion through historic events, figures and remains and the poems show the typical features of poems of huaigu as follows. First, When Li Bai was touched by a historic place, he wrote poems of huaigu for readers to remind of historical events or figures related to the place. For example, as shown in the titles of his six poems, the places such as Lu Jiang (廬江) and Wu Xia (巫峽) must have reminded Li Bai of Mi Heng (禰衡), Song Yu (宋玉) and Xie Tiao (謝朓) and motivated the poet to write the poems. Second, in his poems of huaigu, Li Bai expressed his emotions in terms of moan and satire on the shifts and changes of fame and life. In this regard, “Wang Yingwuzhou bei Mi Heng (望鸚鵡洲悲禰衡)” is evaluated as a work showing Li Bai’s true color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incomparable relaxation. Likewise, “Xiegong ting (謝公亭)” is appraised as a poem with excellent imagination and craftsmanship because the poet made the present and the past into one moment while singing pride as a successor of Xie Tiao. Thirdly, various historic events and allusions (典故) were borrowed in his lines singing historical figures and events, but Li Bai expressed them euphemistically. Although “Ji Nanling ti Wusongshan (紀南陵題五松山)”, a poem lamenting the chaos of the time through historic events and allusions (典故), is criticized for the overlaps of events and allusions (典故), this should be considered poems of huaigu. To sum, Li Bai used historic figures and events in his poems of huaigu and associated them with reality of his time. In the poems, Li Bai also expressed his emotion freely and manly. Among his works, lastly, “Ye Bo Niuzhu Huaigu (夜泊牛渚懷古)” and “Yue ye Jinling Huaigu <月夜金陵懷古>” are known as the best poems of huaigu.

      • KCI등재

        지방정부 정책과정에서의 참여・직접・숙의 민주주의 결합 모색 : 광역시・도 조례를 중심으로

        김정희(Kim, Junghee)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 지방정부연구 Vol.25 No.4

        지방정부 정책과정에서 참여・직접・숙의 민주주의의 핵심 가치를 결합해 폭넓은 참여, 질 높은 토론과 성찰적 의사결정, 자기결정권과 영향력을 시민들에게 보장하는 민주적 요소를 탐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표이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지표를 도출하고 17개 광역 지방정부의 관련 조례들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는 각 민주주의가 가진강점과 약점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참여 및 직접 민주주의 관련 조례는 참여의 평등성과 포괄성이 숙의 조례에 비해높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민참여예산조례와 주민자치회 조례는 의제 통제권과 숙의 형성에 비해 참여의 포괄성・평등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주민투표 및 주민발안 조례는 참여성에 더해 의제 통제권이 숙의 형성 지표보다높게 나타났다. 숙의 조례의 경우 숙의 민주주의 수준은 매우 높은 데 비해 참여성과 의제 통제권이 대단히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례 속에 참여・직접・숙의적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안과, 각 제도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안 등을 개선과제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mocratic elements that guarantee citizens a wide range of participation, high-quality discussion, reflective decision-making, self-determination, and influence by combining the core values of democracy in the process of local government policymaking.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derived the necessary analysis indicators and reviewed related ordinances of 17 metropolitan governm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learly show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democracy. Equality and participation inclusiveness were higher in participatory and direct democracy-related ordinances than those in deliberative democratic ordinances. For example, the residents’ participatory budging ordinance and the residents association ordinance were found to have relatively higher comprehensiveness and equality of participation than the formation of deliberation and agenda control authority. The referendum and residents’ initiative ordinance showed higher agenda control than the deliberation formation index. In the case of deliberation-related ordinan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deliberative democracy was very high, while participation and agenda control authority were very low. Two improvement tasks were suggested: a plan to include participatory, direct, and deliberative elements in the ordinance and another to connect each system sequenti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