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실버세대를 위한 의료용 기능성 침대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장석 ( Jang Seok Kim ),진은미 ( Eun Mi Jin ),강현준 ( Hyun Jun K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1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출산률 저하와 의학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이미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인구의 7%이상에 해당하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했으며, OECD 발표에 따르면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 사회를 맞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급격한 인구구조의 변화에 비해, 실버산업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실버산업 중 노인들의 건강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의료용 침대는, 의료행위의 기능성을 위주로 개발되어 있어, 이를 이용하는 노인의 정서적, 심리적 특성은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인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노인에게 편리한 의료용 기능성 침대 개발을 위하여, 노인들의 성향을 조사·분석하여, 의료용 기능성침대 디자인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디자인의 각 요소별 지향 방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형태는 단순화, 간편화하고, ② 색채는 Warm Ivory Color를 적용하고, ③ 기능적인 면으로는 매트리스를 고려하여야 한다. 이상으로서 침대의 기능과 색채, 재료, 노인 측면의 기능성 침대의 디자인에 대한 의견을 설문 등의 현황분석을 통해 제시하였으며, 향후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통해 디자인의 다양화를 모색하므로 고령사회의 실버산업육성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rapidly falling birth rates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is causing social problems, such as the aged society and super-aged society. With the nation`s birthrate the lowest in its history and among fellow OECD member states, South Korea officially became an "aging society(when at least 7 percent of the population is above 65 years of age)"in 1999. Especially, Korean society have been quickly transformed into an super-aging society. The speed of this social change doesn`t compare with the speed of develoment of silver industry. The industry of medical functional bed accounts for a great part of silver industry. The medical functional bed affects a lot of the life of the aged. But, the medical functional bed have been developed for not the aged but the medical team and caregi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medical functional bed design for the aged. So, th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f the aged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① form: simple, ② color: Warm Ivory color, ③ function: the mattress should be considered. The methods of the medical functional bed design for the aged were suggested in the field of form, color and function. But, it is only basic results. So, more various and specific study sould be come out for silver industry.

      • KCI등재
      • KCI등재

        가정용 전기차 충전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감성평가모형을 중심으로 -

        김장석 ( Kim Jang Seok ),강나래 ( Kang Na Rae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4 No.-

        전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Carbon Neutral)을 목표로 그린딜(Green Deal)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정부가 나서서 내연기관자동차 규제를 강화하고 친환경 자동차 산업 육성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친환경 자동차 구매 시 다양한 혜택이 부각되며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전기차 수요와 함께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다양한 디자인의 전기차 충전기가 개발되고 있지만 디자인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차 충전기를 이해하고, 충전 인프라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전기차 충전기 50개 제품의 이미지에 대한 14쌍의 형용사 어휘를 설정하고 7단계 SD법으로 이미지 평가를 실시하여, 전기차 충전기 디자인의 평가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활동성, 역량성, 평가성, 색채의 4가지 축으로 분류되었으며, 활동성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용 전기차 충전기디자인의 평가에서 가시적이고 유연한 형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제품 외형에 직선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곡선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화로운 형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좌·우 대칭 형태의 디자인이 효과적이며, 마지막으로 따뜻한 느낌을 주기 위해서는 고채도 난색 계열 색상과 중성색의 GY계열의 유채색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치유형별로는 벽부형 제품이 주거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기차 충전기디자인의 감성분석을 통하여 미래 디자인 방향을 예측하고 정량적인 디자인지표를 제시했다. 또 한 소비자의 요구와 감성을 충족시키는 가정용 충전기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implementing the Green Deal policy aimed at Carbon Neutral. In response, the government strengthens the regulation 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ars and strategically fostering the eco-friendly automobile industry. Various benefits have been highlighted while purchasing the eco-friendly cars which interests and demands are rapid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se increasing demands, the construction for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has been accelerated. At present, various designs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are developed, but their design researche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concentrated on understanding the electric vehicle chargers and has figured out the current state of charging infrastructures. In addition, 14 pairs of adjective vocabularies for 50 images of electric vehicle chargers were established and the video evalu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seven-stage SD metho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valua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ic vehicle charger design. Experiments show that four axes were classified as the activity, the competency, the evaluation, and the color with representing the greatest impact on activity. The evalu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design for households represents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use curve than to use straight lines in order to express visible and flexible shapes. To create harmonious shapes, the left and right symmetry design is effective and, finally, it is effective to apply high and neutral GY colors for expressing a warm feeling. By the type of the installation, wall-mounted products are found to be suitable for residential areas. This study predicts the future design directions and provides the quantitative design indicator through the emotional analysis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er design. It is also meaningful to provide the design directions for home chargers which meet the consumers’ needs and sensi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캠핑용 해머의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김장석(Kim, Jang Seok),진은미(Jin, Eun Mi),김철명(Kim, Cheol Mye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6 No.-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최근 여가활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캠핑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캠핑에서의 여러 가지 작업에 필수적인 도구, 장비도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고 있다. 소비자는 많은 제품을 비교하면서 구매 기준이 높아지고 이를 충족시키는 상품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캠핑용 해머의 디자인에 대한 조사 분석 및 발전방향을 탐구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시판중인 국내외 캠핑해머의 디자인 성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디자인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분석하여 조형, 색채, 재질에서 비롯되는 선호 원인을 분석, 향후 캠핑해머 디자인에 활용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디자인 성향 분석에서 국내 캠핑해머는 스포티, 모던디자인을 강조하는 성향을 보였다. 화려한 컬러와 점잖은 컬러가 공존하며 높은 채도를 부분적으로 적용, 강조 포인트를 주는 경우가 많았다. 국외 캠핑해머는 유선형, 동적인 형태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국내제품에 비해 높은 채도의 과감한 사용으로 더욱 경쾌한 느낌을 주고 있었다. 국내외 대부분 제품에서 높은 채도의 컬러를 부분적으로 적용시켜 제품을 강조하였다. 평균적으로 국내 제품보다 국외 제품이 좀 더 화려했다. 디자인 선호도 평가에서 나타난 선호요인에 의하면 캠핑 해머를 디자인 시 헤드와 바디는 유기적 연결 형태로 디자인 되어야 하며 헤드와 바디의 금속, 그립의 고무로 구성된 재질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색채 면에서 헤드와 바디는 실버, 손잡이는 블랙에 유채색 포인트 컬러를 사용하여 디자인 하는 것이 좋다. 부위별로 보면 헤드의 경우 타격부위와 바디 연결부위, 팩 제거부위가 기능적으로 구분된 형태의 실버 컬러로 디자인 하는 것이 좋으며 금속 재질 이외의 표면재질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바디의 경우 헤드와 일체형의 디자인이거나 분리형이지만 유기적 연결성을 가진 형태로 디자인 되어야 한다. 그리고 스틸 표면재질을 바탕으로 제품 레이블이 각인, 마킹된 형식으로 가는 것이 좋다. 그립의 경우 파지 위치가 표현된 형태 및 아래쪽 끝 부분을 크게 처리한 형태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고무재질을 바탕으로 블랙 베이스 컬러에 유채색 포인트가 들어간 그립을 갖도록 해야 한다. 이와 같은 디자인 트렌드 및 선호요인에 따른 디자인 방향은 향후 캠핑해머 개발에 참고할 사항이 될 것이며 캠핑해머의 사용성에서 요구되는 사용자 환경 디자인의 추가적 연구가 뒷받침된다면 미관과 사용성이 겸비된 캠핑해머 디자인을 도출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people"s life quality enhanced, various wants on recreation appear. Recently, the interest in camping is rising. Many essential tools for the work during the camping are launching in these days. Consumers compare a lot of products when they buy something. And they want to buy the product which fulfills their high standard. So, we were aware of the needs to investigate and analyse on camping hammer design. And decided to explore the way to improve their design. In this thesis, consideration on the camping hammer"s characters had been conducted. And the propensity of camping hammer design had been analysed. After that, evaluated and analysed on their design and found popular factors on sculpture, color and material in order to utilize for the camping hammer design from now on. In the analysis on design propensity, domestic camping hammers have sporty or modern design tendency. Showy color and decent color were coexisted. Many of them had accent color with high chroma. Many of the exotic hammers had curved and dynamic shape. And their bold chroma made breezy feeling. Both most domestic and exotic products had been emphasized with accent color by high chroma. Averagely, exotic products were more showy than domestic products. Following our result of evaluation on design sensitivity, when we design a camping hammer, head and body should designed in connected shape. Metal should be used for head and body"s material. And rubber material should be used for the grip part. In the part of color, Silver color are recommended on the head and body. Chromatic color needed partially based on the Black color for the grip. Partially, in case of the head, compartmental shape such as striking part - body connection part - pack removal part is proper in Silver metallic color. In case of body, integral or organic connectivity shape of body and head is required. And based on the steel material finish, the imprint is needed about the brand. In case of the grip, embossed shape is proper for grip sensation. Such design trend report and design method in sculpture, color and material are would be a reference for further camping hammer design. If additional research added which is on usability for camping hammer, we think better camping hammer can be made which has beauty and usability.

      • KCI등재

        20대 여성소비자의 화장품 용기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김장석(Kim, Jangseok),진은미(Jin, Eunmi),이샘(Lee, Seam)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5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4 No.4

        연구배경 : 화장품 시장의 급속한 확장으로 화장품업계의 경쟁이 과열되는 양상이며, 타 브랜드와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 아이덴티티를 확보하는 것이 주요한 마케팅 요인이 되고 있다. 화장품 시장의 아이덴티티 확보를 위하여, 브랜드의 컨셉을 개발하고 이에 맞는 화장품 품질에 대한 기술개발과 함께 디자인을 통한 감성을 충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방법 : 기초화장품 용기디자인의 현황을 컨셉으로 그룹핑하여 제품분석을 하였으며,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한 후 브랜드 컨셉에 따른 화장품 용기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SD법을 이용한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요인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기 위한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 기초화장품 용기디자인에 대한 감성평가 어휘를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평가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요인분석 결과 고유 값을 1을 기준으로 15개의 어휘가 총 6개의 축으로 분리되었다. Ⅰ인자의 제품 분석결과 대체적으로 직선형 원기둥의 형태로 사용에 편리함을 주는 제품들이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색채와 재질이 유사하여 심플하고 조화로운 형태라고 평가하고 있다. Ⅱ인자의 분석결과 무채색계열의 제품이 현대적인 느낌을 주는 것으로 평가 되고, Ⅲ인자의 분석결과 형태적으로 각진 용기디자인이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줄 수 있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 : 소비자 감성평가에 대한 결과를 컨셉 제품에 적용하려면 각 컨셉별로 다음과 같이 디자인할 것을 제안한다. 기본적인(Basic)컨셉의 디자인은 일반적인 형태에 변화가 없고 무채색 색상과 기능적으로 보관에 편리함이 있는 제품을 제작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전통적인(Classic) 컨셉은 유선형의 형태가 효과적이며, 현재 형태에 대해서는 개선이 필요하다. 현대적인(Modern)컨셉의 제품들은 20대 여성 소비자에게는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형태는 심플한 원기둥형 외형라인으로 디자인하며 색채는 한색의 무채색계열을 적용하여 디자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연적인(natural) 컨셉은 현재 상태로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용기 디자인으로서의 기능적 형태의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화장품 용기디자인 제작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Background : In order to secure identity within the cosmetics marke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rand concept, and satisfy sensibility through design by technical development of cosmetics quality that suits the brand. Methods : Product analysis was conducted by conceptually grouping the status of basic cosmetics container design, design evaluation was implemented using SD law, and a design measure to form identity by analyzing through factor analysis was proposed. Result : As a result of product analysis of person I, products that gave usability with the general use of linear cylinder were evaluated well, and is evaluating that it is a simple and harmonious shape since the color and the material are similar. As a result of analysis of person Ⅱ, achromatic product was evaluated to impress modernistic sensation, a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person Ⅲ, it’s analyzed that morphologically angled container design can give the impression of luxurious image. Conclusion : In order to apply the result of consumer sensibility evaluation to concept products, it is proposed that they be designed like the following by concept. For the design of basic concept, it is effective to produce a product that has no change in general form, achromatic color, and is functionally convenient to store. Streamlined shape is effective in classic concept, and improvements are needed for the current form. Products of modern concept are highly praised by the consumers in their 20s, and it’s necessary to design them in the shape of simple cylinder-like appearance, with color being achromatic in one color. Natural concept did receive relatively positive evaluation in its current state, but it’ll be more effective if the functionality of container design is supplemented.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n elementary data which can be utilized during the production of cosmetics container design.

      • KCI등재

        방폭 인증 기반의 레이저 계측기 디자인 사례 연구 및 분석 평가

        김장석 ( Jang Seok Kim ),양근영 ( Keun Young Ya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국산화가 시급한 레이저 레벨 센서의 특성을 분석하여 보다 나은 인터페이스와 조형성을 갖춘 방폭 인증 기반의 레이저 계측기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방법으로 먼저 레이저 계측기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제품 현황 및 디자인 분류, 그리고 디자인에 관하여 감성평가와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조사결과를 통하여 동일 제품군을 대상으로 현재 레이저 레벨센서 디자인의 문제점과 경향으로 향후 개발 되어질 레이저 레벨 센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형태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위험물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이기 때문에 균형감과 안정적인 형태가 필요하다. 또한 위화감을 조성하는 너무 각진 형태는 피하는 것이 좋다. 둘째, 색채에 대하여 대형 선박이나 플랜트에서 사용하는 제품으로 쉽게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주목성이 높은 컬러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인화성 물질과 관련된 제품이므로 따뜻한 느낌의 컬러 보다는 시원한 느낌을 주는 컬러의 배색이 필요하다. 셋째, 제품 재질은 안전이 강조되는 장소에서 사용하는 제품으로 견고하고 매끄러운 재질감이 요구되므로 전체적으로 강도 높은 재질감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레이저 계측기 디자인에 대한 의견을 질문지 등의 현황분석을 통해 제시하였으며, 향후 보다 구체적인 연구를 통해 디자인의 다양화를 모색하여 우리나라 조선 기자재 산업의 육성과 국제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laser measuring instrument based on explosion protection certification with better interface and plastic aspect b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laser level sensor which is in urgent need for localization. For investigation methods, we used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 on laser measuring instruments, the status and categorization of design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ducts, and analysis and assessment of designs. Through this study for same products group, problems in design and their tendency of present level sensor were made known. And this study reached conclusions which can be helpful for future laser level sensor as follows. First, for form, as the product is closely related to dangerous material, balance and stable form is needed. And it is recommended to avoid form with sharp angle which can make disharmony. Second, for color, as it is used in large ship or plant, it is recommended to use colors which make one easily recognize location. And as the product is related to inflammable, it is recommended to use color with cool feeling than color with warm feeling. Third, for material, as the product is used in a place where safety is emphasized, material with firm and smooth feeling is required. It is known that material with wholly high strength is required. Thus, opinions about design of laser measuring instrument were suggested through status analysis of questionnaire sheets etc. Through further specific study, varied design should be explored so that Korean shipbuilding equipment and materials industry can be fostered and have better position in global competi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