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성보호법상 성범죄자 취업제한 관련 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잔디(Kim Jan-di)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圓光法學 Vol.38 No.1

        성범죄는 성인에게도 상당한 정신적 피해를 주지만 성장 과정 중에 있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행해진 경우 그 피해는 보다 크다고 하겠다. 이에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청소년성보호법’으로 표기)」에서는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자를 엄중히 처벌함과 동시에 성범죄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에 취업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성범죄자 취업제한제도는 수차례의 개정을 통하여 대상자 및 취업제한 기관을 점차 확대해 왔다. 아동·청소년이 범죄 피해와 같은 부정적인 경험 없이 성장하여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하고, 사회구성원으로서 책무를 다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은 우리의 의무이며, 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반면 아동·청소년의 보호를 목적으로 시행하는 제도라고 하더라도 타인의 자유에 대한 제한이 수반되는 경우 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성보호법에서는 아동·청소년 관련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해당 사건과 관련된 기관을 취업제한기관으로 추가하고 있기 때문에 성범죄자 취업제한의 범위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취업제한기관의 확대가 아동·청소년의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이 있음은 부정할 수 없지만, 무분별한 확대는 오히려 규제의 효용성을 낮출 수 있다. 역설적이게도 아동·청소년의 보호를 위하여 성범죄자 직업제한제도를 합리적으로 축소할 필요가 있다. 즉 불필요한 규정은 삭제하고,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와 직업선택의 자유 제한 간의 비교형량을 통해 통일성 있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동 제도의 합리적인 운용을 도모해야 한다. 이러한 취지로 본고에서는 먼저 성범죄의 현황에 대해 파악한 후, 청소년성보호법상 성범죄자 취업제한규정의 개정 연혁 및 내용에 대해 검토하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성범죄자 취업제한규정의 문제점을 명확히 밝힌 후 해결방안에 관하여 제안하도록 하겠다. Sex crimes do significant psychological damage to grownups as well, but the damage is greater if conducted to children and youth in the growth process. Thus, the “Act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against Sex Offenses”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Act for the Protection of Juvenile Sex”) strictly punishes sex offenders against children and youth and prohibits sex offenders from being employed in institutions related to children and youth for a certain period. The system of restrictions on the sex offender’s employment has gradually expanded the subjects and institutions of restrictions on employment through several revisions. Helping children and youth grow up without negative experiences, such as victimization of crimes, form the right values and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s social members is our obligation, which cannot be emphasized enough. On the other hand, despite being a system implemented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it is necessary to pay close attention if it is attended by restrictions on the freedom of others. Nevertheless, as incidents related to children and youth take place, the Act for the Protection of Juvenile Sex adds institutions related to the relevant incident as agencies of restrictions on employment. Thus, the range of restrictions on the sex offender’s employment gradually expands. The expansion of agencies of restrictions on employment can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which cannot be denied, but indiscriminate enlargement may rather lower the effectiveness of the regulations. Paradoxically,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youth, it is necessary to rationally reduce the system for restrictions on the sex offender’s employmen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elete unnecessary regulations and present uniform standards so that the system can be operated as a reasonable system through balancing between the protection of sexuality of children and youth and restrictions on freedom of career choi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ould determine the situation of sex crimes and review the revision history and content of restrictions on sex offenders’ employment in the Act for the Protection of Juvenile Sex. Lastly, this study would identify the problem of restrictions on sex offenders’ employment and propose solutions.

      • KCI등재후보

        소송대리권를 둘러싼 일본의 논의 동향

        김잔디(Kim, Jan-Di)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0 법률실무연구 Vol.8 No.3

        해방 이후 전문자격사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개별 법률이 제정되어 있다. 하지만 전문자격사 사이의 업무영역 중복, 특정 전문자격 취득으로 인한 다른 전문자격의 자동부여 제도 등으로 인하여 업무영역에 관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법학전문대학원 개원 이후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변리사를 포함한 인접법률전문직종에서 소송대리권 자격을 부여해달라는 요구는 과거부터 있었으며 최근에는 그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을 뿐 아니라 이와 관련된 법률 개정안이 발의되고 있다. 즉 변리사법 개정 법률안과 세무사법 개정 법률안이 발의되고 있으며, 법무사 등은 업무에 대한 소송대리인 자격을 요구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복잡·다양한 분쟁을 법률지식으로만 해결하는 것은 결코 용이하지 않으며, 이러한 해결은 당해 사건과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당사자의 납득을 얻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변리사, 세무사 등 인접법률전문직종 전문가들의 지식과 경험을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에 대해서 반대하는 입장은 많지 않을 것이라 사료된다. 하지만 이러한 자들의 지식을 활용하는 구조와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며, 많은 이해관계가 얽혀 있기 때문에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In Korea, certified specialists are subdivided based on work, and related laws supporting their status are respectively prescribed. However, problems related to scope of work have occurred due to overlap in duties between certified specialists and the system of automatically granting other professional qualifications for acquiring certain professional qualifications. This phenomenon has become more pronounced since the opening of law schools. Specialists in similar legal professions including patent attorneys have been asking to be granted the right to litigation representation. In recent years, their voice demanding the right is increasingly getting louder, and related revised bills of law have been proposed. For example, bills for revising the Patent Attorney Act and the Certified Tax Accountant Act have been proposed respectively, and some professions such as certified judicial scriveners are demanding the status of litigation representative for their job. It is never easy to resolve the complex and diverse disputes arising in our society with legal knowledge alone, and it seems that parties who have a stake in applicable cases might not accept such resolution based solely on legal knowledge. Therefore, it appears that there won’t be many objections to the need for using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of specialists in similar legal professions such as a patent attorney and certified tax accountant. However, it is considerably difficult to decide the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the knowledge of these specialists. Careful review is required since the interests of a lot of people are intertwined.

      • KCI등재후보

        공판단계에서 피해자의 진술권 강화방안

        김잔디(Jan-Di Kim)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法學硏究 Vol.21 No.1

        Korea's criminal system would always ensure to check and mitigate the possible abusive exercise of state punishment power for the protection of the accused. While such priority enabled the basic rights of criminal offenders to be well taken care of, in parallel with that, the victims of their crimes have been forced to remain outsiders in the course of proceedings, often even suffering from alleged secondary harm. However, under the recent influence of victims' rights advocates following increasing recognition of this issue, voices calling for the situation of victims to be fixed and certain rules concerning their legal status to be formulated are growing louder. Among the supporting voices, the issue of the rights of victims to make statement before the court have been particularly prominent. The right to make statement during the trial refers to the one given to criminal victims to reflect their stakes and the say of the issues under trial in such a way to participate actually and actively in the whole criminal proceedings. However, given that under the current law, the use of the right to make statement is very limitedly permitted, and, even if they participate, they are given just a status of a witness, the current institution appears to be not functioning properly, veering far off the original purpose. Thus, it does not seem unreasonable to call for reforming the current situation towards effectively guaranteeing the rights of criminal victims. In sum, the justice system of victim's rights including the right to make statement during trial, despite the wide recognition of its importance as the first step to protect victims' rights and ensure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riminal proceedings, is not working properly. In the face of this reality, there is an urgent need to find out ways to bring the existent institution a huge step closer to the desirable state of due process of law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victims as well as offenders. One suggestion could be to closely look into the situation of Japan as a model, where the system is effectively operated.

      • KCI등재

        저소득층의 흡연 행태와 관련 요인

        김잔디 ( Kim Jan Di ),서제희 ( Seo Jae Hee ),신영전 ( Shin Young Jeon ),창엽 ( Kim Chang Yup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1

        이 연구는 국내 사회경제적 흡연 불평등 완화를 위하여 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의 흡연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복지패널 3차 연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 설문조사를 완료한 대상자 중 비저소득층 7,745명과 저소득 층 3,994명, 총 11,739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소득수준을 층화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표준화 현재 흡연율은 저소득층의 경우 남자 53.9%, 여자 6.2%로 비저소득층 남자 48.0%, 여자 2.8%로 저소득층에서 뚜렷이 높았고, 현재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저소득과 비저소득층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현재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자의 경우 고령, 경제활동 하지 않음, 주택소유 여부, 좋지 않은 건강상태, 낮은 전반적 만족도였으며, 여자의 경우 이혼, 별거 및 사별과 주택 소유 여부였다(P<0.05). 그러나 비저소득층 남자에서는 낮은 교육수준, 미혼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저소득층에서는 이혼, 별거 및 사별과 낮은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또한 비저소득층 여자에서는 낮은 교육수준, 미혼, 경제활동 하지 않음, 낮은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저소득층에서는 고령, 가구형태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결론적으로 소득 계층에 따라 흡연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금연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흡연율이 높은 저소득층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금연정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보편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저소득층의 특성에 맞춘 전략이 필요하고, 특히 이 연구에서 저소득층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자아존중감, 가구형태, 결혼상태 등과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성별에 따라 흡연행태와 특성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factors affecting the smoking behaviors of low-income people differ from those affecting the high-income people in order to abate the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moking. This research used the third wave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undertook the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for a total of 11,739 survey respondents constituting 7,745 high-income people and 3,994 low-income people who were stratified by gender and an income level. The analysis found that the age-standardized smoking rates of low-income is significantly higher(men 53.9%, women 6.2%) than the others(men 48.0%, women 2.8%)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moking behaviors of low-income people differed from those affecting the high-income people. Common factors for men, regardless of an income level, included old age, economic inactivity, house ownership, poor health, and overall low satisfaction with life; common factors for women included divorce, separation, bereavement, and house ownership (P<0.05). However, a low-level of education and unmarried status had significant impacts on high-income male smokers while divorce, separation, bereavement, and low self-esteem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w-income male smokers (P<0.05). Moreover, smoking of high-income wome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 low level of education, unmarried status, economic inactivity, and low self-esteem while that of low-income women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old age and household type (P<0.05). Therefore, not only existing universal approaches to all of the smoking people but also targeted strategies for low-income people with a higher smoking rate are requir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nti-smoking policy. In particular, the psychosoci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household type, & marital status need more atten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정폭력 관련법 체계의 개선에 관하여

        김잔디(Kim, Jan-Di)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2

        우리나라는 가정폭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가해자 대책을 중심으로 한 가정폭력처벌법과 피해자 보호·지원을 중심으로 한 가정폭력방지법을 제정·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가정폭력 관련법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양 법률의 상호 연계성이 약하며, 이는 많은 문제를 유발한다. 가정폭력 가해자를 규율하는 1차적 목적은 가해자 처벌이지만 최종적으로는 가정폭력 피해자를 보호하고, 가정의 평화와 안정 회복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가해자 대책과 피해자 보호는 별개의 문제가 아니며, 다른 관점에서의 접근이지만 궁극적으로는 공통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인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가정폭력에 대한 새로운 법체계를 구상함에 있어 종합적인 법률을 제정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즉 가정폭력처벌법과 가정폭력방지법을 하나로 통합하는 방법으로 가정폭력방지법을 전부 개정하고, 동 법에서 가정폭력 행위자 규율뿐 아니라 피해자 보호·지원에 대한 내용을 담아야 한다. 단일한 법체계하에 경찰의 초기대응과 보호처분 및 피해자보호명령을 통한 가해자규율 및 피해자 보호를 합리적으로 아우를 수 있도록 조정함과 동시에 관련기관의 협력 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Korea has enacted and enforced the Act on Punishment of Domestic Violence based on the measures against offenders and the Act on Prevention of Domestic Violence based on the protection/support for victim, to cope with domestic violence. Since such acts on domestic violence are separated, however, both acts are weakly interconnected. They primarily intend to discipline/punish the offenders, but to ultimately protect the victims and facilitate the peace, stability and recovery of homes. The measures against offenders and the protection for victims are not separate issues, but are eventually methods for achieving a common goal, though they approach domestic violence from different perspective. This paper, therefore, proposed that a comprehensive law should be enacted in embodying a new legal system about domestic violenc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ct, by integrating to two acts, and not only the discipline against domestic violence offenders but also the protection/support for victims should be contained in it. The existing acts should be adjusted to rationally cover both the discipline against offenders and the protection for victims through police officers initial responses, probation and the victim protection order system, under a single legal system, while the system of cooperation with related agencies should be also established.

      • KCI등재

        청소년 범죄 대책으로서의 법교육

        김잔디 ( Jan Di Kim ) 한국법교육학회 2010 법교육연구 Vol.5 No.2

        최근 청소년 범죄사건은 매우 잦아지고 있고, 그 위험수위도 성인범죄 못지 않다. 이것은 물질주의·상업주의, 자극적인 성인문화의 접촉 그리고 입시위주의 학교 풍토로 인한 과도한 경쟁심리 등은 어른들이 조장한 사회가 자아낸 폐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범죄에 대해 쏟아 붓는 차가운 시선, 날카로운 비판과 그들의 처벌에만 초점을 맞춘 논의들은 그들을 더욱더 범죄에서 빠져나올 수 없게 만들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 역시 우리가 만든 사회적 환경의 희생자라는 측면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즉 청소년 범죄의 원인이 반드시 청소년들에게만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이러한 사회적 환경을 조장한 우리들도 같이 그 책임을 떠맡아야 한다. 청소년에게 올바른 법의식과 가치관을 형성하기 위한 법교육을 통하여 도덕성과 법의식 수준을 높이고, 법을 우리생활에 밀착되어 생활하는데 필요한 상식이며 곧 행동의 지표가 될 수 있게 해야한다. 청소년시기에 형성된 법의식과 가치관은 성인의 그것과 직결될 수 있다. 또한 이미 형성된 법의식과 가치관을 바꾸는 것은 매우 어려우므로 법의식과 가치관이 형성되는 청소년시기의 교육은 매우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우리는 청소년시기에 적절한 법교육을 통하여 그들이 올바른 법의식과 가치관을 형성하여, 그들을 올바른 길로 이끌어 주어야만 할 것이다. Recently, juvenile crimes are becoming very frequent and the danger level of such crimes are rivaling that of adult crimes. This phenomenon can be traced to the materialism · commercialism, contact with provocative adult culture, excessive competitiveness due to admission-oriented education, etc. which are harmful consequences of the society encouraged by the adults. Despite this fact, cold stares reaped on juvenile crime, sharp criticism, and discussions focused on penalizing such youths make it more and more difficult for the youths to escape the life of crime. However, we must not overlook the aspect that these youths are also victims of the social environment created by us. In other words, the cause of juvenile crime does not necessarily lie in youths but we must also be held responsible for creating the social environment that fosters juvenile crime. As a part of activity to form the correct legal awareness and values for youths, the level of morality and legal awareness can be increased through education held at school, a place where youths spend the most time, and the law needs to be understood as a common sense necessary to live our lives and consequently, as an indicator of our actions. Legal awareness and values formed during youth can be directly linked to the corresponding personality traits as an adult.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change legal awareness and values of an individual that have already been formed, there is great significance in educating such legal concepts during youth. Therefore, we must provide appropriate legal education during youth to form the correct legal awareness and values and lead the youths to the right path.

      • KCI등재

        스토킹죄의 실행행위 구조에 관하여

        김잔디 ( Kim Jan-di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9 비교형사법연구 Vol.21 No.2

        최근 발생한 스토킹 살인사건 등은 스토킹이 생명을 앗아가는 중대한 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욱이 수개월 동안 스토킹의 피해를 당한 자가 그 고통으로 인하여 스토커를 흉기로 살해한 사건은 스토킹죄에 대한 대응이 충분하지 못함을 여실히 드러내 주며, 스토킹 피해자가 가해자가 된 사실은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이러한 사건들이 극단적인 결말에 이르지 않도록 적절한 법적·제도적 조치를 취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동안 그렇게 하지 못했다. 새로운 범죄 양상에 대응하기 위한 입법은 가해자를 적절하게 처벌하고,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해당 범죄에 관한 면밀한 검토가 전제되지 않는 경우 보다 큰 폐해를 야기할 수 있다. 스토킹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고, 처벌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현시점에서 이러한 요구에 신속히 응하는 것보다 한걸음 뒤로 물러나서 보다 넓은 관점에서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특히 스토킹의 개별적 행위는 일상에서 흔히 이뤄지는 것들이며 이러한 행위가 상대방의 명시적 의사에 반하여 반복된 경우 바로 스토킹죄로 처벌하는 것은 의사표현의 권리를 막는 것이며 이는 형법의 보장적 기능 관점에서 행위 자체의 위법성이 크지 않으므로 입법에 있어서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경범죄 처벌법의 지속적 괴롭힘죄 규정과 스토킹죄 처벌 관련 법률안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스토킹죄의 개념·구성요건 및 실행행위 구조의 특수성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특히 스토킹의 특수성을 도출하기 위해 언급된 점진범은 완전하지 못한 개념으로 검토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 있지만 이러한 과정은 스토킹죄의 불명확한 부분을 명확하고 구체화시키는데 유익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Recent stalking murders show that stalking is likely to lead to a life-threatening crime. Moreover, it is clear that proper responses to stalking crimes have not been prepared yet, as seen in a murder case in which a stalking victim suffering a persistent month-long harrassment stabbed the stalker to death with a murder weapon. Unfortunately, the stalking victim found himself/herself as an attacker. Although we had to take appropriate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prevent these incidents from ending up as an extreme tragedy, we have failed to do so. Establishing and enforcing laws to respond to new patterns of crime is required to lawfully punish perpetrators and protect victims. However, if an in-depth examination of crimes is not assumed, it can cause greater harm.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where social attention is being shed on stalking with a growing demand for punishment for stalking, we must step back and review the issue from broader perspectives rather than responding quickly to these demands. In particular, In particular, the individual acts of stalking are common in daily life, and if such acts are repeated against the explicit intention of the other party and punished for stalking without any consideration is a violation of the right to express their opinion. Furthermore, as this implies that the illegality of the act itself is not significant in terms of the guaranteeing function of the Criminal Law, a thought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in the legislation process. Thus, this writing will deal with an analysis into the provisions of persistent bullying in the Minor Offenses Act as well as the Act on the Punishment for Stalking Crimes. The analysis findings will be based to look into the concept and elements, as well as the peculiarity of the structure of a criminal act. Most of all, the term 'progressive crime' mentioned to draw the peculiarity of stalking - remaining incomplete in its concept - has yet to be reviewed in many aspects, but this process is considered to bring benefits in clarifying and detailing unclear parts of stalking crimes.

      • KCI등재

        배우자폭력,아동학대 피해자 보호방안 -미국의 Greenbook 정책을 중심으로-

        김잔디 ( Jan Di Kim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一鑑法學 Vol.0 No.23

        A type of group known as family is one of the most basic foundations for a society,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erms of education, raising children, and as a place of rest. However, when there is violence at home, these functions are impeded, resulting in a negative impact on society. Domestic violence can be understood as all forms of violence that occur at home between members of the family including the more typical kinds: spousal violence, child abuse, and elderly abuse.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violence at home, spousal violence and child abuse are thought to be the most serious by this author, which occur frequently. From the early 1980s, when domestic violence started to become an issue, to today, domestic violence has been on an increasing trend,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various infrastructures in place for protecting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punishing those responsible and despite increasing awareness that domestic violence is a social crime. This paper examines the US`s Greenbook policy, which is serving as a good example for devising ways for actively and efficiently tackling domestic violence. Furthermore, based on the policy, ways to overcome the issues regarding protection of current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re examined, as well as appropriate, active measures to combat domestic violence.

      • KCI등재

        국민참여재판에서 배심원의 권한과 의무

        김잔디 ( Jan Di Kim ) 한국법교육학회 2008 법교육연구 Vol.3 No.2

        2008년 1월부터 시행된 국민참여재판은 단순히 재판의 형식의 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법의 민주적 정당성과 사법에서의 시민적 감각, 가치를 반영함으로써 사법에 대한 신뢰를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재판시에 벌어지는 법이론과 법현실의 간극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또한 판사·검사·변호사 등의 법조인들의 유착과 담합에 의한 의혹을 제거하기 위하여 등 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취지에서 시작된 제도라고 하더라도 참여사법의 주인공이 될 국민들의 의식에 변화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단지 무용지물일 뿐이다. 우리는 국민참여재판이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우선 국민들의 제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폭넓은 지지아래, 주체적으로 참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국민에 의한 사법’은 ‘그들의 손’이 아닌 ‘우리의 손’으로 만드는 것이다. 즉 일반국민들이 사법의 주체로서 재판과정에 참여하여 재판의 판결에 국민의 건전한 사회상식이 반영되도록 하여 형사사법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지지를 심화할 때 공고한 국민적 기반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articipation trial that has first began in Jan 2008 is not only a simple change of the form of trial but it implements the judiciary value, civil sense as well as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which ultimately strengthens the trust in law. Also, it is a tool introduced to resolve the gap between the rule of law and the actuality of law as well as to eliminate the suspicions from collusions and illegal agreements from a judge, public prosecutors, lawyers and other legal experts. However, although this policy was introduced in a good will, if it does not bear the changes in consciousness of citizens, who are the main characters of participatory law, then this policy will become a useless deadwood. We, in order to allow the-participation trial to fully exercise its duty, need to allow for self-determined actions with the support of through and broad understanding of the system of people. `Law for and of people` should be made with `Our Hands` but not ‘Their Hands.` In other words, as we allow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procedures of a trial as a core of the law, it would be possible to apply sound worldly knowledge of people into the decision of a trial. As a result, once the citizens` understanding and support for criminal law are deepened, they will acquire firm civil bedro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