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기 및 성인기 사회경제적 위치와 세대 간 사회 이동이 성인기 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제희,김호,신영전,Seo, Jae-Hee,Kim, Ho,Shin, Young-Jeon 대한예방의학회 2010 예방의학회지 Vol.43 No.2

        Objectives: There are at least three conceptual models for the effects of the childhood social environment on adult health: the critical period model, the social mobility model, and the cumulative risk model.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all three different models within the same sett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childhood and adulthood socioeconomic positions and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over the life course on the health in adulthood based both on the critical period model and the social mobility model.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9583 adults aged between 25 and 64 years old and they were the respondents to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2006).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critical period model and the social mobility model out of the life course approaches, to look into the impact of childhood and adulthood socioeconomic positions and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on the health status in adulthood. Results: Household income and occupation out of the adulthood socioeconomic position indicators had an independent influence on the adulthood health status. The childhood socioeconomic position indicators, except for the place of childhood residence, affected the adulthood health status even after adjustment for the adulthood socioeconomic position. The effect of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after adjusting for the adulthood socioeconomic position, but it became insignificant when the childhood socioeconomic position was additionally adjusted for. Conclusions: Adulthood health is indeed affected by both the childhood and adulthood socioeconomic positions as well as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This result shows that a life course approach needs to be adopted when dealing with health issu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어린이를 가르치는 미술교사 되어가기”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교사 3인의 목소리로부터

        서제희 ( Jae Hee Seo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4 예술교육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어린이를 가르치는 현장의 미술교사들이 수업에서 그 역할을 수행해가면서 겪는 어려움과 고민의 이야기를 담은 내러티브 탐구이다. 내러티브 탐구는 경험을 이야기하는 방법론으로 현장의 실천적 지식을 교사들의 이야기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를 가르치는 현장 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의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실천적 지식은 교육 환경, 교수와 관련한 지식, 학습자와의 관계 등 복합적인 요소들이 상호작용하여 현장에서 습득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교수지식과 달리 현장 교사들의 수업 경험으로 얻어지는 실천적 지식은 형식화된 자료로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어린이 교육현장에 있는 교사들 3인의 목소리로부터 수업 경험을 이야기하고 미술교육에 대한 고민과 어린이와 교사의 관계에서 벌어지는 문제들을 들어보았다. 그들은 학습자인 어린이들을 보는 시각의 변화를 겪고 어린이의 마음 상태를 알아주는 과정을 거치면서 어린이 미술을 만났다. 교사들은 어린이를 보는 통찰력, 수업의 결과물에 대한 판단력, 교사의 미감, 미술실 바깥의 삶에 대한 이해력 등을 수업 경험으로 얻을 수 있는 실천적 지식으로 이야기 하였다. 그들의 목소리에서 우리 사회가 함께 생각해 보아야 할 어린이 미술교육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This narrative inquiry presents the issues that teachers have been facing in classroom. This study i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and identifies the meaning of educational experiences using narrative inquiry approach. Since it is inexplicable only by existing theory and perfunctory data, practical knowledge is obtained by experiences in classroom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lso influenced by various elements including environment in combination. This study has started from a question : do we consider that art education can be easily done? In this study, three teachers presents the issues concerning the art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y talk about the process until they understand children, issues concerning public art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and things that had to be changed.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s the issues concerning social parts on child art and the aim of art education.

      • KCI등재

        “자기 연구(self-study)”를 통한 미술교육 연구에의 적용 및 가능성

        서제희(Jae-Hee Seo)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5 미술과 교육 Vol.16 No.1

        최근 교육 연구에서 교사에 대한 관심은 현장과 이론 사이의 괴리를 좁혀줄 수 있는 하나의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교사나 연구자들이 처한 현장을 기초로 한 “자기 연구(self-study)”의 방법을 사용 한 연구물들은 방법론적 논의와 함께 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최근의 국내외 타 학 계의 많은 “자기 연구(self-study)”의 경향들이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연구의 주제와 폭을 넓혀가는 데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관심에 비해 “자기 연구(self-study)”의 방법론적 논의나 수준에 관한 논의는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 연구(self-study)”의 방 법을 올바르게 활용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논의와 함께 “자기 연구 (self-study)” 방법의 몇 가지들 중 미술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연구 방법들을 정리하여 보고자 한다. 미술교육연구에서 “자기 연구(self-study)”를 중심으로 한 “자기 연구(self-study)” 방법의 활용은 교 사를 이해하고 현장에 대한 관심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자기 연구 (self-study)” 방법으로 자문화기술지, 자전적 생애사 연구, 참여적 실행연구, 연행적 접근 방법의 네 가지를 통해 미술교사 연구에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연구 방법을 사용함에 있어 다른 연구기법들과 구분되는 점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올바른 자료 수집과 분석에 대해 살펴보 았다. 마지막으로 “자기 연구(self-study)”를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가장 많이 비판받고 있는 타당성 및 신뢰성 논의를 통해 “자기 연구(self-study)”의 성격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Research using “self-study” has expanded rapidly in discussions regard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leading to the emergence of various research issues and fields, and an enlargement in the depth of research and the range of topics. This article presents a “self-study” for art education in order to us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roperly. I focus on four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 autoethnography, auto life history,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and performative approaches to research. This study also pays attention to differences between positivism and “self-study” techniques, and the proper uses of qualitative research. Throughout this article, I attempt to maintain the nature of “self-study” in discussion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alitative research that are often criticized.

      • KCI등재

        “Wildcat”을 만나다

        서제희(Jae-Hee Seo)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8 미술과 교육 Vol.19 No.2

        본 연구는 시각 이미지를 통해 교육현장의 문화와 제도, 연구자의 체험을 전달하는 예술기반 연구이다. 사진을 주된 자료로 사용하여 사진 이미지를 통해 연구현장을 재현하고 연구자의 시각을 전달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대학과 지역 학교와의 연계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미국 애리조나 대학(University of Arizona)의 예비 미술교사 실습수업인 “Wildcat Art”를 소개하고 우리의 교사 양성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른 사회문화권의 제도와 양상을 살펴보는 연구는 우리 사회의 제도적 개선과 문화적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Wildcat Art”는 예비 미술교사 교육실습 프로그램이자 지역 참여 미술교육 프로그램으로서, 그 수업의 내용은 다문화 교육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실습에서 예비 미술교사들은 교실을 운영하고 수업을 진행하면서 수업의 주체로 변모해가는 성장의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수업 실습과 수업 반성이 순환적으로 반복되면서 다음 수업의 개선과 실천으로 미술교사가 되어가는 경험을 심화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교육실습이 교육현장을 미리 경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교수경험, 실천, 반성의 유기적 연계 속에서 예비 미술교사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미술교사 되기”의 의미를 찾도록 한다. This study is a visual images study on prospective teachers’ teaching practice as arts based research. The division of art & visual culture education at University of Arizona is committed to activate programs that enable arts to be infused in local communities. The Wildcat Art program uses a visual arts curriculum that will giv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make art using a variety of media and approaches. Using the visual method, study attempts to discuss the prospective teachers’ teaching practice in art classes. This study shows the three core issues regard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irst, it is about collaboration through the community and with the university. Next, it deals with a prospective teacher as an educational subject in a classroom. Finally, prospective teacher’s reflection make a change in a classroom. Through this study, we learned that prospective teachers’ teaching practic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becoming an art teacher.

      • KCI등재

        초등 미술교과서에 나타난 학생작품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서제희(Jae-Hee Seo)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6 미술과 교육 Vol.17 No.3

        이 연구는 초등 미술교과서에 수록된 학생작품을 분석하여, 학생작품에 담긴 교육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현행 초등 미술교과서는 다양한 학생작품을 각 단원에서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학생작품들이 교과서 내용을 이해시키기 위한 예시로서 그 역할을 하는지, 혹은 수업에서 다른 의미를 줄 수 있는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많은 학생들은 교과서의 학생 작품을 모범 답안으로 여긴다. 그러나 미술교육이 시각 문화에 관한 다양한 시각과 열린 사고를 지향한다는 것을 상기해 볼 때, 학생 작품은 모범 답안으로서가 아닌 다양한 의미로서 기능하여야 할 것이다. 현행 초등 미술교과서 3-4학년 교과서에 수록된 학생작품은 수업 내용을 직접 제시하기도 하고 다양한 표현 방법을 제시하기도 한다.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교과서의 내용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나, 매우 제한적으로 제시되기도 한다. 이 연구는 학생 작품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첫째, 학생작품은 시각이미지로서, 학생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경험적 자료이다. 경험적 자료는 보다 다양한 의미 전달이 가능하다. 두 번째, 학생작품은 직접적인 제시 방법과 간접적인 제시 방법을 통해 열린 해석을 지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작품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므로 보다 정교한 의미의 재구조화 과정을 거쳐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students’ works contained in the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and to reveal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students’ works. In current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each unit shows diverse students’ works. However,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whether or not the students’ works can be used as simple example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or whether or not they can play different roles in classes. The students’ works contained in current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for grades 3-4 represent clear themes and have characteristics of realistic descriptions and a clean finish. And the materials and the techniques follow the contents of each textbook faithfully but their representations are very limited. In this research,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students’ works were interpreted from the following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irst, the students’ works are visual images and empirical materials that can interact with the students. Empirical materials can transmit more diverse meanings. Second, the students’ works should aim at open interpretation through the direct method of presentation and the indirect method of presentation. Finally, the students’ works are accepted by the students the moment they are chosen in classes. Accordingly, they should be chosen through the restructuring process of more elaborate meanings.

      • KCI등재

        “지층화 된 질서 만들기” : 초등학교 입학 초기 적응과정에 관한 시각 이미지 연구

        서제희(Seo, Jae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2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 J의 초등학교 입학 초기의 생활과 관련한 시각 이미지들을 중심으로 적응과정을 해석하는 질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학교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가 외부의 시스템, 혹은 제도나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들의 적응을 다루 었던 것과 달리, 연구자와 학생 개인의 삶 속에서 내부자적인 관점으로 학교 적응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또한 글로 된 이야기나 서술의 보조 자료로서 시각 이미지의 사용이 아닌, 연구의 중심으로 시각 이미지를 사용함으로써 시각 자료를 연구의 적극적인 소통의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시각 이미지에 나타난 J의 초등학교 적응 과정의 양상은 새로운 공간에 대한 두려움에서 관계 맺기로, 규칙을 통해 스스로 질서를 만들어가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우리 문화에서 초등학교 입학 이후 적응과정의 관습적 의미와 행동이 무엇인지를 성찰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입학 이후 적응과정의 현상들을 ‘사회화’와 ‘지층화’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이해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is a visual images research on the adjustment to the first year in the primary school. The meaning of the adjustment to school is making the stratified Order. The transition from a familiar situation into new or unfamiliar situation to primary school is characterized by fear, relationship and rules. The concept of stratification was used by Deleuze and Guattari’s Thousand plates through the metaphor rhetoric. It analyzed experience of the adjustment to school into interpretive meanings by using visual methods. Using the visual method, study attempts to discuss the adjustment to the fisrt year in the primary school. The visual images study shows the issues regarding the stratification. First, it is the starting to socialization as a competence. Next, it deals with making the self reliance and being organized. Through this study, we learned that the adjustment to the fisrt year in the primary school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becoming a member of society.

      • KCI등재

        내러티브 탐구를 통한 교육적 경험의 성찰

        서제희(Seo, Jae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3

        본 연구는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의 수업을 반성하고 의미를 해석하는 자기수업연구(self-study)이다. 질적 연구의 한 형태로써 자기수업연구는 교사 개인의 수업을 통해 교육경험을 반성 혹은 비판한다. 또한 내러티브 탐구방법(narrative inquiry)을 통해 나의 수업을 성찰하는 과정을 이야기함으로써 ‘교육적 경험’의 의미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아동미술수업에서 계획과 수업, 반성의 순환적인 과정을 겪으면서 나는 교사로서 내가 옳다고 믿는 방향으로 아이들에게 미술을 강요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교사로서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는 것보다 아이들과의 상호작용으로 내가 변화되어가고 깨달아가는 점이 더 많다는 반성을 하게 되었다. 때문에 본 연구는 내가 아이들을 가르친 경험, 즉 나의 교수 경험 뿐만 아니라 아이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얻은 의미들을 반성해 보는 교육적 경험의 성찰이라 할 수 있다. Throughout this self-study, as a teacher - researcher, I reflect on my teaching and attempt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at. As a qualitative research, this self-study is based on my personal experience and identifies the meaning of educational experiences using narrative inquiry approach. Throughout the circular process that includes designing, teaching and reflecting, I came to find myself forcing children to move in one direction only in teacher-centered manner. Also, I realized that I have been transformed by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learned from that far more than they learn from my teaching. This study includes not only reflection on my teaching experience but also reflection on educational experience.

      • KCI등재후보

        미술수업에서 교사의 권위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나의 수업 다시 보기, 우리의 수업 다시 보기

        서제희(Jae-Hee Seo)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0 미술과 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나의 수업을 통해 우리의 문화를 읽는 자전적 탐구이자, 문화기술적 연구이다. 아동미술수업에서 교사의 권위는 수업과정 내내 교실을 지배하고 있었다. 수업의 설계에서, 감상 작품의 선정과 설명에서, 이해시키는 방식에서, 제작을 이끌어내는 과정에서, 결과물에 대한 판단까지 교사의 권위에 의해 아이들의 작품이 탄생되고 있다. 미술수업에서 교사의 권위는 수업관리자로서의 권위, 학습공간의 질서 유지를 위한 귄위와 같은 “드러난 권위”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학습내용과 관련하여 수업 매체 및 기법 선정의 권위, 조형성 판단에 관한 권위, 감상과정에서 지식전달에 관한 권위 등을 “숨겨진 권위”로 분류하여 해석하였다. 미술수업에서 권위의 유형들은 아동들이 수용했다는 것만으로 정당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그 속에 숨겨진 권위의 정당함이 올바른 교육적 의미를 주고 있는 것인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이 행해지는 공간은 교사와 아동간의 권위구조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임을 상기하고 그 권위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는 점이 제기되었다. This paper deals with an autobiographical method and ethnographical research draws upon the author's personal teaching experiences in the art classroom. It is analytical and descriptive. This study reveals that the teacher's authority controls everything in the children's art classroom. It forces the children to accept all the processes in the course formulating a forceful atmosphere in which children assess the artifacts according to the teacher criteria. The study identifies two different types of teacher's authority, namely, explicit and implicity authority. Explicit authority is shown by teachers in order to prevent chaotic situations, and to make children sit down during the class, while implicit authority takes place in selecting material, judging on formative conception, and transmitting knowledge to children. Implicit authority in art class is generally accepted by the children without any resistance. This study, however, suggests that we need to reconsider whether such authority helps teachers to giv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o the children, and whether it is conducive to a positive classroom setting. Also, we need to think about the influence of teacher authority on the assumption that effective pedagogy is based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in the art class.

      • KCI등재

        저소득층의 흡연 행태와 관련 요인

        김잔디 ( Kim Jan Di ),서제희 ( Seo Jae Hee ),신영전 ( Shin Young Jeon ),김창엽 ( Kim Chang Yup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1

        이 연구는 국내 사회경제적 흡연 불평등 완화를 위하여 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의 흡연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한국복지패널 3차 연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 설문조사를 완료한 대상자 중 비저소득층 7,745명과 저소득 층 3,994명, 총 11,739명을 대상으로 성별과 소득수준을 층화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표준화 현재 흡연율은 저소득층의 경우 남자 53.9%, 여자 6.2%로 비저소득층 남자 48.0%, 여자 2.8%로 저소득층에서 뚜렷이 높았고, 현재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저소득과 비저소득층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현재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자의 경우 고령, 경제활동 하지 않음, 주택소유 여부, 좋지 않은 건강상태, 낮은 전반적 만족도였으며, 여자의 경우 이혼, 별거 및 사별과 주택 소유 여부였다(P<0.05). 그러나 비저소득층 남자에서는 낮은 교육수준, 미혼이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저소득층에서는 이혼, 별거 및 사별과 낮은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또한 비저소득층 여자에서는 낮은 교육수준, 미혼, 경제활동 하지 않음, 낮은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저소득층에서는 고령, 가구형태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결론적으로 소득 계층에 따라 흡연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기 때문에 금연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흡연율이 높은 저소득층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금연정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보편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저소득층의 특성에 맞춘 전략이 필요하고, 특히 이 연구에서 저소득층의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자아존중감, 가구형태, 결혼상태 등과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한 성별에 따라 흡연행태와 특성이 다르므로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the factors affecting the smoking behaviors of low-income people differ from those affecting the high-income people in order to abate the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moking. This research used the third wave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undertook the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for a total of 11,739 survey respondents constituting 7,745 high-income people and 3,994 low-income people who were stratified by gender and an income level. The analysis found that the age-standardized smoking rates of low-income is significantly higher(men 53.9%, women 6.2%) than the others(men 48.0%, women 2.8%)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moking behaviors of low-income people differed from those affecting the high-income people. Common factors for men, regardless of an income level, included old age, economic inactivity, house ownership, poor health, and overall low satisfaction with life; common factors for women included divorce, separation, bereavement, and house ownership (P<0.05). However, a low-level of education and unmarried status had significant impacts on high-income male smokers while divorce, separation, bereavement, and low self-esteem had significant effects on low-income male smokers (P<0.05). Moreover, smoking of high-income wome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 low level of education, unmarried status, economic inactivity, and low self-esteem while that of low-income women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old age and household type (P<0.05). Therefore, not only existing universal approaches to all of the smoking people but also targeted strategies for low-income people with a higher smoking rate are requir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anti-smoking policy. In particular, the psychosoci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household type, & marital status need more att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