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Investigation of Glyceollin I’s Inhibitory Effect on The Mammalian Adenylyl Cyclase

        Dong-Chan Kim(동찬),Nam Doo Kim(남두),Sung In Kim(성인),Chul-Soo Jang(장철수),Chang Oh Kweon(권창오),Byung Weon Kim(병원),Jae-Ki Ryu(류재기),Hyun-kyung Kim(현경),Suk Jun Lee(이석준),Seungho Lee(이승호),Dongjin Kim(동진)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5

        글리세올린 I 은 다양한 피부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한 물질로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피부 멜라닌 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는 포유류의 아데니닐 고리화 효소(이하 mAC)에 대한 직접적인 결합 형태와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연구 보고된 사례가 없었다. 글리세올린 I 의 mAC 활성 부위에 대한 결합 작용 기작을 규명하기 위하여 우선 글리세올린 I과 SQ22,536 (mAC에 결합하여 mAC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이미 잘 알려진 단일 화합 물질)의 mAC에 대한 결합 친화도와 결합 형태를 비교 분석 하였다. 글리세올린 I은 mAC의 활성부위에 존재하는 Asp 1018, Trp 1020, Asn 1025와 각각 3개의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SQ22,536은 mAC 활성부위의 Asp 1018, Asn 1025와 2개의 수소결합을 형성하여 글리세올린 I이 상대적으로 우월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글리세올린 I은 또한 포스콜린(forskolin)에 의해서 유도되는 세포내 멜라닌 형성 2차 신호전달 물질인 cyclic AMP의 생성과 이로인해 유발되는 단백질 인산화 효소 A의 인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멜라노마 세포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글리세올린 I 을 장시간 세포에 투여하여도 세포의 생존률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통하여 규명된 글리세올린 I의 mAC 활성 억제 효능 및 멜라닌 생성 신호전달 기작을 조절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향후 흑색종과 같은 다양한 피부 질환 치료제 개발 및 미백화장품 핵심 물질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lyceollin I has gained attention as a useful therapy for various dermatological diseases. However, the binding property of glyceollin I to the mammalian adenylyl cyclase (hereafter mAC), a critical target enzyme for the down-regulation of skin melanogenesis, has not been fully explored. To clarify the action mechanism between glyceollin I and mAC, we first investigated the molecular docking property of glyceollin I to mAC and compared with that of SQ22,536, a well-known mAC inhibitor, to mAC. Glyceollin I showed superiority by forming three hydrogen bonds with Asp 1018, Trp 1020, and Asn 1025, which exist in the catalytic site of mAC. However, SQ22,536 formed only two hydrogen bonds with Asp 1018 and Asn 1025. Secondly, we confirmed that glyceollin I effectively inhibits the formation of forskolin-induced cAMP and the phosphorylation of PKA from a cell-based assay. Long term treatment with glyceollin I had little effect on the cell viabilit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lso suggest that glyceollin I may be extended to be used as an effective inhibitor of hyperpigmentation.

      • 보길도 격자봉 능선부에 분포하는 회양목군락의 식생구조 특성

        진민화 ( Min-hwa Jin ),이수동 ( Soo-dong Lee ),조봉교 ( Bong-gyo Cho ),오충현 ( Chung-hyeon Oh ),배순형 ( Soon-hyoung Bae ),한 ( Ha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우리나라에서 회양목의 천연분포는 소백산, 단양, 삼척 등 북위 40° 부근까지인 것으로 확인되었는데(Kim, 1980), 세부적으로는 제주도, 전남 보길도, 경북 주왕산, 충북 단양, 강원도 영월 등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낙엽활엽관목으로 수고 7m까지 자란다고 알려져 있다(Lee and Oh, 1970; Lee, 1993; Lee et al, 2020; Lee, 2003). 충북 단양에 자생하는 회양목의 토양환경을 분석한 결과 pH 7.8~8.4로 높은 석회암지대에서 생육이 양호한 것으로 밝힌 바 있으나(Kim, 2003), 4 내외의 낮은 pH에서도 내성을 가진다고 하였다(Lee et al., 2012). 연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회양목의 분포는 토양의 물리성 및 화학성, 지형구조, 교란, 다른 수종과의 경쟁 등 여러 환경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회양목의 자생지는 석회암 지대를 제외하면 지역적으로 뿐만 아니라 능선부, 암반지대 등 척박한 일부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포지의 지형 및 토양 환경 뿐만 아니라 다른 종과의 관계 등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보호 및 복원을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에 속한 보길도는 상록활엽수가 분포할 수 있는 난온대로 섬 전체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포함된다. 본 연구는 큰길재에서 격자봉을 거쳐 망월봉으로 연결되는 능선부를 대상으로 회양목이 출현하는 식물군락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북서향과 남서향의 능선에 따라 26개소의 방형구를 설치하였다. TWINSPAN과 DCA분석에 의해 군락을 분류한 결과, 표징종인 소사나무, 팥배나무, 붉가시나무와 식별종인 육박나무, 새비나무, 괴불나무, 마삭줄 등에 의해 소사나무-낙엽활엽수군락, 소사나무군락, 소사나무-회양목군락, 소사나무-상록활엽수군락, 붉가시나무군락, 황칠나무군락 6개로 분류되었다. 군락별 특성을 살펴보면, 소사나무-낙엽활엽수군락은 교목층에 소사나무, 팥배나무, 이팝나무가, 아교목에서는 소사나무, 동백나무, 제주광나무가, 관목층에서는 동백나무, 회양목이 우점종으로 경쟁상태이었다. 소사나무군락의 교목층에서는 소사나무의 우점도가 높았고, 하층에서는 동백나무, 회양목, 길마가지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소사나무-회양목군락의 교목층에서는 소사나무가 우점종이었고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회양목이 우점종으로 소사나무, 동백나무 등의 세력이 우세하였다. 소사나무-상록활엽수군락의 교목층은 소사나무의 세력이 우세한 반면, 하층에서는 광나무, 동백나무, 회양목 등이 우점종이었다. 붉가시나무군락의 교목층은 붉가시나무가, 아교목층은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회양목의 세력은 미미하였다. 황칠나무군락은 교목층에서 황칠나무, 붉가시나무, 소사나무 등이 경쟁상태이었고 하층에서는 회양목, 광나무, 동백나무 등이 경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길도 격자봉 일대에 출현하는 회양목은 능선부와 암반이 분포하는 척박한 지역에 주로 분포하였다. 식생의 특성을 살펴보면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대부분 조사구에서 아교목층 또는 관목층에 출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교목층에 출현하는 소사나무, 붉가시나무 등이 우점하는 현 상태를 유지하겠으나 회양목의 경우 붉가시나무 등 상록활엽수 극상림에서는 세력이 약화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환경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토양 pH는 3.78~5.3, 유기물 함량은 3% 미만, 물리적 특성은 사양토로 다소 척박한 환경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석회암 지대에 분포한다는 것과 차이는 있었으나 산성토양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다라는 연구 결과도 있어(Kim, 1980; Lee et al., 2012) 분포에는 영향을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과적으로 식물종의 분포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능선이 등산로로 활용되고 있어 관리는 필요하였다.

      • KCI등재

        불소계 플라즈마에 노출된 YAG 세라믹스의 식각거동 및 XPS 분석

        경범,대민,이정기,오윤석,형태,형순,이성민,Kim, Kyeong-Beom,Kim, Dae-Min,Lee, Jung-Ki,Oh, Yoon-Suk,Kim, Hyung-Tae,Kim, Hyung-Sun,Lee, Sung-Min 한국세라믹학회 2009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6 No.5

        Chemical composition and status of chemical bonding of the YAG($Y_3Al_5O_{12}$) ceramics after the exposure to fluorine plasma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with the analysis on its erosion behavior. On the surface, F showed the maximum content, decreasing with depth, meanwhile the cation composition remained almost constant,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The peaks due to Y in the reaction layer consisted of two kinds, showing the Y-O and Y-F bonds. These surface modifications under fluorine plasma seem to promote the erosion of the YAG ceramics. Excess addition of $Al_2O_3$ or $Y_2O_3$ into stoichiometric YAG produced 2nd phases of $Al_2O_3$ and $YAlO_3$, respectively, resulting in the slight difference in the local erosion rates. But, the overall average erosion rate was not sensitive to such excess additions of $Al_2O_3$ or $Y_2O_3$.

      • KCI등재

        소리상표의 출원 및 등록적격 심사를 둘러싼 제 문제

        원오(Kim Won-Oh),이나라(Lee Na-Ra)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연구 Vol.50 No.1

        사회적 기술적 환경변화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입법적 환경변화가 소리상표(sound mark)제도의 도입과 시행을 촉구하고 있다. 2007년 타결된 '한미 FTA 협정문에서 소리상표와 냄새상표를 보호하여야 할 의무가 발생하였고, 2009년 타결된 한-EU FTA에서 준수노력 의무가 발생한 '싱가폴상표법개정조약’에서도 소리와 냄새를 등록가능 한 표장으로 확대하고 있다. 한미 FTA 비준을 앞두고 있는 우리는 조만간 소리상표제도 시행이 불가피해 져 있는 상황이다. 이를 위해 기본적 입법안이 마련되어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심사실무상의 준비는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고는 비시각적 상표 중에서 상대적으로 널리 인정되고 있는 소리상표의 상표로서의 본질과 특징을 우선 고찰해 보고 국제적인 보호환경 추세 속에서 우리 상표제도에로의 편입 배경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미 소리를 상표로서 인정해온 주요 국가들의 심사동향 및 판례를 살펴봄으로써 곧 도입시행을 앞두고 있는 우리 소리상표제도의 운영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특히 그동안 비시각적인 상표의 경우 난점으로 여겨져왔던 출원시 상표의 특정, 식별력구비여부 등의 심사, 유사판단기준, 공시방법, 등록 후 효력 등에 관하여 정리해 보았다. 요컨대, 우리 보다 앞서 미국과 유럽의 주요 국가들은 소리상표도 명확하게 표현되고 자타상품 식별력을 가진다면 전통적인 상표와 같이 상표로서 인정하고 보호해 주고 있으며 다양한 심사관행과 기준들이 나름대로 정립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도 소리상표의 사용개념 및 표현의 불명확성 문제 등이 여전히 이슈로 남아있는 상황이어서 소리상표의 출원과 심사 및 관리운용이 결코 간단한 문제는 아닐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소리 표장은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전통적인 상표와 달리 소리 그 자체는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없고 상표로서의 기능과 작용 메커니즘이 전통적인 상표와 차이가 있는 바, 소리 표장은 청각에 의해 인식되고, 강하게 인상에 남는 경우나 칭호를 반복할 경우는 상표로서 인식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듣고 흘려버려지므로 상표로서의 인식은 잠재의식에 기반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소리상표의 시행에 앞서 소리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특정 하는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상표법 시행령을 개정하여야 하며, 객관적으로 소리의 유부를 판단하는 다양한 기준들에 관한 심사기준도 정립하여 나가야 한다. 이 밖에도 소리상표의 식별력판단과 기능성요건 판단 및 소리상표의 공시방법, 소리표장의 사용과 효력에 대한 판단 기준, 저작권과의 관계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을 보다 면밀히 검토하여 소리표장이 시행될 경우 시행착오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Business entities should be able to use sound as a source identifier and a means to distinguish goods or services from others in the marketplace. Additionally, at the same time a useful sound should be distinctive enough to be used to uniquely identify itself and its products or services to consumers. In recent times, new types of marks, such as sound have been increasingly used as trade marks in the marketplace. A sound mark is so-called a non-conventional trademark where products and services is used to perform the trademark function of uniquely the commercial origin. While it is imperative to protect of sound marks in Korea under the demand of the U.S.-Korea Free Trade Agreement and the 'SINGAPORE Treaty on the Law of Trademarks'. Korea has to amend the Trademarks Act, recognizing a sound as an independent trademark. This article is dedicated to examine the rules and practices for the protection of sound trademarks in several countries. And, through the practices of foreign, trademark enforcement at the sound, the sound of a particular brand, and application problems, identify possible problems will help. For registering a sound device as a trademarks, the sound should be described in as much detail as possible. Among them, musical notation will be accepted as a means of graphically representing sound marks. If the musical instrument used to produce a sound forms part of the mark then this should be stated. Thorough this studying and following up the rules and practices of these countries would be very helpful for a successful administration of the sound trademarks system in Korea.

      • KCI등재

        이공계 강의평가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통한 강의평가제도 개선방안

        학일(Hakil Kim),성숙(Sungsook Kim),권오양(Oh-Yang Kwon),이천(Cheon Lee),노경호(Kyung-Ho Row) 한국공학교육학회 2007 공학교육연구 Vol.10 No.4

        An evaluation system of teaching is one of authentic assessment tool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ultivate the class evaluation system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class evaluation. E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idity evidence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class evalua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acquired from 49,127 student’s evaluation responses of 471 courses offered in colleges of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t a university in Korea. The reliabilities are quite good for every construct by producing an index value from 0.92 to 0.98. The results provides a guideline for an appropriate measurement model to report the information, to clarify quality and appropriateness of instrument items, to make recommendations for which items should be left or merged in the revised instrument. A special suggestion for improving student s evaluation of each course is to prepare a well-designed instruction for students explaining why and how to evaluate the course in order to produce reliable and valid results. 대학의 강의평가는 수업효과성에 대한 진단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교수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며 학생이 수강 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활용범위가 확대될 수록 강의평가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강의평가 제도 자체에 대한 측정학적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대학의 강의평가 결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강의평가제도의 순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결과에 대한 문항반응 유형 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국내 대학교 이공계 개설강의 중 471개 과목의 385명 교수에 대한 총 49,127 명 학생의 강의평가 결과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강의평가의 유형별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전공별 또는 수업유형별로 평가문항 군에서 문항을 선택하도록 개선할 것을 제안하고, 둘째, 평가결과점수 상하위 10% 해당하는 강의의 특성을 분석하여 결과활용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료 내 파프리카 함량에 따른 당년생 및 1년생 비단잉어 (Cyprinus carpio var. koi) 홍백 표피의 체색 변화

        김이오 ( Yi Oh Kim ),방인철 ( In Chul Bang ),이상민 ( Sang Min Lee ) 한국수산과학회 201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46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ary paprika on the skin coloration of red- and white-colored fancy carp Cyprinus carpio var. koi, in two age groups: 0-age (7.4±0.1 g/fish) and 1-age (164±2.9 g/fish). Three isonitrogenous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0, 5, and 10% paprika (Con, P5 and P10, respectively). Three replicate groups of 0-age fish and two replicate groups of 1-age fish were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for 9 weeks. Survival,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ietary paprika level (P>0.05) at both fish sizes. The dietary paprika level influenced the redness (a*),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of fish skin. The L* value of the skin of the fish fed the P5 and P10 diets tended to decrease with feeding period. The skin a* value of 0-age fish (small) fed the diets containing paprika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feeding period and was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after 3 weeks (P<0.05). However, the a* value of 1-age fish (large) fed the diets containing paprika tended to increase slightly with feeding perio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skin total carotenoid leve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fish of both sizes fed the P5 and P10 diets compared to fish fed the control diet. Therefore, 5% paprika powder in the diet increases the skin redness of red- and white-colored fancy carp, especially in small fish.

      • KCI등재
      • KCI등재

        싸리버섯 추출물의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기화 ( Ki-hwa Kim ),한소라 ( So-ra Han ),별이 ( Byeol-lee Kim ),정상희 ( Sang-hee Jung ),오태진 ( Tae-jin Oh ) 한국치위생학회 2017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7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amaria botrytis (Fr.) extracts against oral pathogens. Methods: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amaria botrytis (Fr.) extracts were evaluated against oral pathogens by the disc diffusion assay, and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ethyl acetate extracts were determined by broth dilution method. The strains used in this study were Staphylococcus aureus,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anguinis, Streptococcus sobrinus, Streptococcus anginosus, Streptococcus ratti, Streptococcus criceti, Actinomyces israelii, Actinomyces viscosus and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Results: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Ramaria botrytis (Fr.) eff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oral bacteria compared with acetone or ethanol extract. The ethyl acetate extract exhibited MIC values ranging from 3.75 to 15.00 mg/ml, and i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oth Gram-positive and negative oral bacteria. Conclusions: The ethyl acetate extracts from Ramaria botrytis (Fr.)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en oral bacteria. Thus, the extract of Ramaria botrytis (Fr.) may be consider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microbial agent for the prevention of oral pathog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