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네시아 WTO 무역분쟁 연구: 통상정책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윤화 ( Kim Yun-hwa ),나희량 ( Ra Heeryang ) 국제지역학회 2017 국제지역연구 Vol.21 No.3

        본 논문에서는 최근 WTO 분쟁제도의 활용이 급증한 인도네시아의 분쟁에 초점을 맞추어 그 현황과 주요 제소, 피소사례에 대한 법적쟁점 및 판결내용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토대로 인도네시아의 WTO 분쟁이 갖는 특성과 통상정책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인도네시아의 WTO 분쟁은 수출주도형 성장전략과 보호무역 정책의 동시적 발현이라는 인도네시아의 정책적 특수성에 기인하여 발생,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2014년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조꼬위 정부의 출범 이후, 인도네시아는 자원민족주의 노선을 강화하고 있고 외국인투자에 대한 자유주의적 규제완화 정책을 실시하는 한편 반시장적이고 보호주의적 규제를 동시에 시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인도네시아 관련 WTO 분쟁은 지속적으로 증가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아세안경제공동체출범 등으로 한층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인도네시아와의 무역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WTO 분쟁 등 무역마찰의 여지를 최소화기 위한 정책적 필요와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WTO trade disput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disputes of Indonesia, where the use of the WTO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has increased rapidly. It will also examine the legal issues and judgments of major cases involving Indonesia, analyzing the economic and political peculiarities that have led to an upsurge in Indonesian disputes. This increase in the Indonesian disputes can be attributed to Indonesia`s distinct national characteristics which enact the contradictory policies of export led growth and protectionist trade. The increased export of manufactured goods emanating from the implementation of an export-oriented policy has a direct correlation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ases filed with the WTO. Therefore, Korean government and firms need to monitor continuously the ever changing Indonesian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to prevent damages caused by disputes and avoid unnecessary conflict in the future.

      • KCI등재

        대구,경북지역 초등학교 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의 제조,가공단계별 미생물 평가

        김윤화 ( Yun Hwa Kim ),류경 ( Kyung Ryu ),이연경 ( Yeon Kyung Lee ) 대한영양사협회 2009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food ingredients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during processing. For this purpose, fifteen food ingredients and twelve factories were chosen in the provinces of Daegu and Gyeongbuk.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 counts were reduced in the ingredients after washing, but they increased after packing. After packing, the following levels of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s were detected, respectively: peeled bellflower roots (1.2~3.6×10(6), 3.1~4.6×10(5) CFU/g), blanched vegetables (5.6×10(3)~2.0×10(5), <5~1.5×10(4) CFU/g), soybean curd (<5~5.4×10(3), <5~2.2×10(3) CFU/g), buckwheat starch jelly (<5, <5 CFU/g), soybean sprouts (1.2×10(6)~1.8×10(7), 2.4×10(5)~4.3×10(6) CFU/g), mackerel (2.2×10(2), 1.3×10(2) CFU/g), chicken (3.8×10(4), 6.7×10(2) CFU/g), pork (6.7×10(2), <5 CFU/g), and beef (9.4×10(2)~5.2×10(4), <5~2.1×10(3) CFU/g). Generally,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 food ingredients was better during the processing stage than during the other stages, with the exception of packing.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and Bacillus cereus were detected in small amounts on the peeled bellflower roots, chicken, and pork,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eled bellflower roots, chicken, and pork need to be sanitized at the washing stage and cross contamination must be prevented at the packing stage.

      • KCI등재

        대구ㆍ경북지역 학교급식 식재료 납품업체 생산직원의 위생관리 실태조사

        김윤화(Yun-Hwa Kim),이연경(Yeon-Ky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2

        본 연구는 학교급식 식재료의 위생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식재료 생산?가공업체의 생산직원 221명을 대상으로 위생지식을 조사하고, 위생관리 수행수준, 위생관리 현황을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생산직원의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평균은 4.63/5.0점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위생 지식수준은 4.63/9.0점으로 낮았다. HACCP 인증업체 직원의 위생교육 횟수, 만족도, 위생관리 태도 등이 비인증업체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5), HACCP 비인증업체에서의 시설설비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었다. 또한 위생관리 수행영역에서 작업대와 작업장의 매일 청소 및 철저한 소독, 냉장고와 냉동실의 청결유지, 작업장의 온도확인, 작업 중 교차오염 방지, 작업 중 작업도구의 철저한 소독, 작업장 출입 시 신발소독 및 에어샤워, 작업복의 매일 세척의 항목은 HACCP 비인증업체에서 유의하게 잘 지켜지지 않아 위생교육 및 평상시작업관리 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는 항목이었다. 생산직원들이 학교급식 식재료를 생산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위생관리와 납품시간 맞추기였고, 위생교육의 불만족한 이유는 일방적인 강의 때문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생산?가공업체에서는 교육대상자의 요구에 맞추어 위생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일방적인 강의형식의 교육보다는 활동자료나 교육매체를 활용한 보다 능동적이고 흥미로운 위생교육을 실시하여 교육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y workers' knowledge of sanitation management of school foodstuffs and sanitation practices. A questionnaire that identified employees' food safety sanitation management knowledge and practices was developed based on a review of literature. Subjects consisted of 221 factory workers employed at 34 factories in the Daegu and Gyeongbuk areas. Almost half of the factory workers were 40~49 years of age (45.7%), 34.8% had 1~3 years of work experience, 62.4% of the respondents received food safety education 1~2 times a month and 75.1% of the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sanitation education. However, the total score for factory worker sanitation knowledge was low: 4.63/9. Sanitation performance was self-evaluated using a Likert 5-point scale. The total mean score for the factory workers' sanitation performance was 4.63/5. Satisfaction level and the amount of sanitation education, application of sanitation knowledge, attitude regarding sanitation management, an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 among workers employed in a HACCP certification facility (p<0.05). The difficulties were found to be sanitation management and the time to deliver food to schools. To instill a sense of duty and pride among workers and to ensure that the food suppliers provide best-quality school foodstuffs safely, school dietitians and factory managers must actively educate workers in safe food handling and sanitation.

      • SCOPUSKCI등재

        중학생의 간접적 비만판정과 에너지섭취 및 소비량과의 관계

        김윤화(Yun-Hwa Kim),장현숙(Hyun-Sook J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2

        에너지 섭취량은 남학생이 권장량의 89.7%, 여학생이 100% 섭취하고 있었다. 남학생의 열량 섭취량이 권장량 및 활동량에 비해 많은 양이 부족하게 섭취되고 있었다. 반면, 여학생은 섭취열량, 권장량, 활동량 간의 균형이 잘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권장량에 비해 남학생은 총열량, 칼슘, 철의 섭취량이 약간 부족하였고, 여학생은 철의 섭취량이 미달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부분에 대한 영양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영양소의 섭취상태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의 열량에 대한 구성비는 남학생이 64 : 16 : 20, 여학생이 62 : 16 : 22로 나타나 이상적인 섭취비율과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신장은 남학생이 160.0㎝, 여학생이 155.5㎝였고, 평균 체중은 남학생이 49.4㎏, 여학생이 48.9㎏으로 구미지역 중학생들의 발육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완위 둘레는 남학생이 23.1㎝ 여학생이 22.6㎝로 평균적인 발육상태를 보였다. Caliper로 측정한 상박부 전ㆍ후면, 좌측 견갑골, 장골절, 종아리 부위의 피하지방 두께는 남학생이 7.3㎜, 13.9㎜, 11.4㎜, 15.4㎜, 21.2㎜ 여학생이 11.2㎜, 18.4㎜, 16.7㎜, 18.4㎜, 21.6㎜로 나타났다. 비만으로 판정된 학생은 RBW는 남학생 5%, 여학생 6%, BMI는 남학생 4%, 여학생 10%였고, RI는 남학생 7%, 여학생 13%로 나타났으며, OI는 남학생 4%, 여학생 9%로 나타나 체격지수에 의한 비만판정에는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높은 비만율을 보였다. 상박부후면의 피부두겹 두께에 의한 비만판정은 남학생이 16㎜, 여학생이 20㎜ 이상으로 이에 해당하는 남학생은 43명(24%), 여학생은 66(34%)명으로 나타나 체격지수에 의한 비만 보다 훨씬 높게 평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Slaughter의 방법으로 비만으로 판정된 학생은 남학생이 105명(59%), 여학생이 58명(30%)으로 판정되었다. BMI를 이용한 Deurenberg의 방법에 의한 비만학생은 남학생이 27명(15%) 여학생이 13명(7%)으로 판정되었다. Siri의 방법에 의한 비만학생은 남학생 24명(14%), 여학생 2명(1%)으로 판정되었다. 체격지수와 부위별 피지후와의 상관관계에서 RBW는 네부위의 합과 가장 높은 관련 (.6776)을 보였고, BMI(.7542), RI(.7669), OI(.7675), %fatⅡ(.8007)는 모두 견갑골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371 Kumi-city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ans of this study were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questionnaires about nutrient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height, weight, arm circumference and skinfold thickness(biceps, triceps, subscapular, supraliac, calf).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Energy, calcium, iron intake for boys were lower than RDA. Iron intake was low in girls. Energy intake is lower than energy expenditure and RDA for boys. Energy intake, energy expenditure and RDA for girls were balanced. The average height, weight and arm circumference of boys were respectively 160.0㎝, 49.4㎏, 23.1㎝ and those of girls were respectively 155.9㎝, 48.9㎏, 22.6㎝. Prevalence of obesity was respectively 5%, 4%, 7%, 4%, 59%, 15%, 14%, 24% for boys and 6%, 10%, 13%, 9%, 30%, 7%, 1%, 3496 for girls by RBW, BMI, RI, OI, %Fat Ⅰ, %FatⅡ, %FatⅢ, triceps. Correlation between subscapular skinfold thickness and BMI, RI, OI and %FatⅡ showed high.

      • KCI등재

        암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관리 인식과 역량 유형

        김윤화(Yun Hwa Kim)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5

        본 연구는 암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이거나 치료가 완료되어 관리를 하고 있는 대구 · 경북 지역 30대 이상 암 생존자 233명을 대상으로 식생활 안전관리 인식과 역량, 행동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중관리의 중요성 인식 요인의 평균점수가 3.83/5.00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교육 요구 (3.79점), 건강하지 않은 식생활 (역, 3.64점) 순으로 높은 반면, 지식 습득의 어려움 (역, 2.30점) 요인의 평균점수가 가장 낮았고, 만성질환 불안 (2.64점), 지식 인식(2.74점), 균형식 (2.93점) 순으로 낮았다. 둘째, 남성, 60대, 경제적 상태와 영양보충제 섭취가 상대적으로 낮은 암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관리 평균점수가 낮았고, 50대와 암 진단 3-5년 된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에 관한 강박관념과 건강기능성 추구 요인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셋째, 식생활 안전관리 역량 중 건강관리 및 조리 역량이 높은 집단은 균형식과 건강기능성 추구 요인의 평균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세 역량이 모두 낮은 집단은 이들 요인들이 평균점수가 낮았다. 넷째, 균형식 요인은 건강하지 않은 식생활(역)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건강관리 역량 요인은 만성질환 불안, 식품안전 불안, 건강하지 않은 식생활(역) 요인을 제외한 요인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암 재활 및 재발방지를 위해 암 생존자의 식생활 안전관리 유형과 인식, 및 행동을 살펴보았다. 현재의 암을 치료하고, 미래의 재발과 전이, 만성질환을 예방하여 지속가능한 건강관리를 위한 식생활 관리를 위해 암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보다 적극적인 식생활 안전관리 역량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Although the number of cancer survivors is increasing because of early diagnosis and better treatment, they are worried about relapses and metastasis. This study examined the dietary safety management awareness, capacity, and behavior of cancer survivo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33 cancer survivor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using a self-administered 5-Likert questionnaire from March to May 2018. Frequency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each factor was as follows: importance of weight management (3.83), education requirement (3.79), unhealthy diet (reverse, 3.64), food safety anxiety (3.34), lack of awareness of over and malnutrition (reverse, 3.26), obsession (3.23), cooking capacity (3.16), health-function pursuit (3.04), balanced diet (2.93), and chronic disease anxiety (2.64). The average dietary safety competency factors were significantly lower among the male survivors, aged 60-80 years, lower economic condition, and less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Female survivors comprised the highest proportion with high health management and cooking capacity, while men had the lowest of all the factors (p < 0.001). The group that was low in all three capacity factors had a significantly lower average score of difficulty in acquiring knowledge (reverse), lack of awareness of over- and malnutrition (reverse), importance of weight management, education requirement, knowledge, balanced diet, and health-functional pursuit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 < 0.001). Conclusion: To effectively manage health, dietary safety management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and actively conducted according to sex, age, cancer diagnosis time, economic status,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and the capacity cluster of cancer surviv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