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결혼 한국남성의 결혼생활 어려움과 적응전략

        김유순(Yu Soon Kim),오영숙(Young Sook Oh),안현화(Hyon Hwa Ah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0 No.4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결혼이주여성과 국제결혼한 한국남성들이 결혼생활에서 사용하는 적응전략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데에 있다. 참여자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의 결혼생활 어려움과 결혼 적응전략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반 구조화된 심층 인터뷰를 활용하였으며 11명의 결혼이주여성의 남편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참여자들은 문화/식생활 차이, 언어소통 문제, 자녀교육, 성격차이/부부관계 문제, 경제적 문제, 확대가족과의 문제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결혼생활 적응전략으로 문화차이를 이해하고 타협함, 아내의 한국어 습득을 지원함, 가장으로서의 책임감과 아내를 배려함, 확대가족과의 관계에서 지원 및 중재 등의 방법을 사용함, 아내에게 감사/애정 표현함, 자녀에 대한 책임감과 열성을 가지는 방법들을 사용하고 있었다. 이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결혼생활에서의 한국남성의 적응전략에 관심을 둠으로써 이들의 긍정적인 모습을 포함한 결혼생활 적응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Korean men` s strategies for marital adjustment in their international marriages. We explored the adversities and adjustment strategies in their marital liv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 Korean men who perceived that they had successfully maintained their international marriages. The adversities were (a) differences of culture/food (b) communication problems (c) child education problems (d) marital relationship problems (e) financial problems, (f) problems with in-laws. Their strategies for overcoming the adversities in their marriages were (a) efforts to understand the cultural differences (b) negotiating on food (c) helping wife to learn Korean language (d) doing one` s best for bringing up and educating one` s children (e) mediator role to the members of family of origin in behalf of one` s wife/being nice to the members of wife` s family of origin (f) helping house chores (g) efforts for keep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w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we focused on the strength of Korean men of international marriages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studies. We employed in- depth interviews and constant comparison method, which ar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 KCI등재

        디아스포라 문학에 발현된 생존전략

        김유순(Yu-soon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8

        이 연구는 탈경계적 지점에서 생산된 ‘흩어진 자들의 문학’, 즉 디아스포라 문학이 생경한 문화에 노출되었을 때 일어나는 문화변용과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생존전략을 보이느냐에 주목하였다. 우선, 이산 문학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꾀함으로써, 이산의 현장에서 머뭇거리는 ‘약소자의 문학’이 아니라, 치열하게 ‘살아남은 자’로서, 신산한 상황을 생성의 세계로 전환시킨 ‘강자의 문학’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는 논의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이산체험과 이산담론으로서의 글쓰기의 경계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생존전략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이창래와 차학경, 최인훈을 호명하였다. 이로써 혼종적 인물을 통한 동조의 징후 및 귀향의 미완성을 포착하고, 이어서 비극적 해체와 결여를 매개로 한 저항의 징후를 그로테스크의 전형에 비추어 봄과 동시에, 이산 담론 안에서 작동하는 전략적 글쓰기의 전환 및 귀향의 완성에 천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reasoning of the remainder is revealed over the course of acculturation, during which oneʹs persistent strategies survives either as a form of assimilation or marginalization. This is evidenced by ‘the Literature of the Scattered,’ diaspora literature that evolved during the de‐bordering phase. This study challenges the current perception of diaspora literature as ‘the literature of the underdog’ laying a foundation critical for further discussion. It underscores the need to incorporate the literary production of the diaspora into the internal trend of Korean literature, transforming it to the ‘the literature of the topdog.’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varying degrees of assimilation from complete to partial, through the works of Lee Chang Rae, by designating the boundary of the adaptation of Diaspora literature. Contrarily, the works of Cha Hak Kyung captures the process of marginalization, which manifests itself in the typical grotesque dismantling tragedy, absence, the grotesque of deformity, and complexity, as a byproduct of unfamiliarity and discomfort. Through the works of Choi In Hoon, however, by conversion of a genre, which is from novel to drama, the completion of homecoming and molding of discourse in Diaspora literature is revealed. It is deemed to be the desperate survival strategies of the remainder.

      • 실제이익조정활동이 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정교(Jung-Kyo Kim),유순미(Soon-Mi Yu),현진(Hyeon-Jin Kim) 한국산업경영학회 2010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2

        최근 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AEM)과 더불어 실제영업활동을 통한 이익조정(REM)이 또 다른 이익조정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는 연구가 활발하게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AEM과 REM이 정보위험(information risk)을 증가시켜 이에 대한 위험프리미엄으로 자기자본비용이 증가하는 지를 조사하고 REM의 경우 AEM에 비해 외부의 감시∙감독의 어려움 및 미래성과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더 큰 자기자본비용을 가져오는 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AEM과 REM은 자기자본비용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AEM 뿐만 아니라 REM도 투자자의 정보비대칭성을 야기시켜 결국 자기자본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제이익조정 중에서도 비정상영업현금흐름과 비정상제조원가가 자기자본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자본비용에 대한 영향에 있어 REM은 AEM에 비해 더 크고 유의적인 양(+)의 계수값을 보임으로써 외부투자자들은 AEM보다 REM에 좀 더 심각하게 패널티를 부과하여 보다 높은 요구수익율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의무적 도입이 이익관리 유형에 미치는 영향

        정교(Kim Jeong-Kyo),현진(Kim Hyun-Jin),유순미(Yu Soon-Mi) 한국국제회계학회 2011 국제회계연구 Vol.0 No.39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와 2000년도 초반 회계부정사건을 경험하면서 회계투명성이 부각된 결과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2001년 「기업구조조정촉진법」을 통해 내부회계관리제도를 한시적으로 도입하였다. 2003년 12월에 그 내용이 강화되어 「주식회사외부감사에 관한 법률로 이관되어 2004년 4월 1일 이후 개시하는 사업연도부터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의무적으로 적용하도록 규정하였다. 내부회계관리제도와 관련된 국내외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주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과 회계정보의 신뢰성 간의 관계와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이 존재하는 기업의 특성에 관한 것이었다. 특히 회계정보의 신뢰성과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발생액을 이용한 이익관리는 이후 발생액의 반전현상이 존재하고 외부이해관계자에게 탐지될 가능성이 높으며 감사인의 허용여부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이익관리유인을 가진 경영자는 발생액 이익관리보다는 실제 기업활동을 통한 이익관리(실제이익관리)를 더 선호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부회계관리제도 의무도입 이후 이익관리유형으로 기존의 발생액 이익관리가 감소하고 실제이익관리가 증가하는가를 검증한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의무적 도입 이후 발생액 이익관리는 감소하고 실제이익관리는 증가한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내부회계 관리제도에 중대한 취약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경영자나 외부감사인은 내부회계관리제도를 형식적으로 운영하고 평가할 가능성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 존재 유무에 관계없이 전반적인 기업에 대하여 이익관리 뿐만 아니라 실제 활동을 통한 이익관리를 함께 고려하여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실효성을 검증하였으며 내부회계관리제도와 관련한 외감법과 SOX법을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제도적인 보완책의 필요성을 시사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ternal control over financial reporting(ICFR) on earnings management methods in Korea. To be concrete our objective is to investigate whether after the adoption ICFR corporations replaced some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AEM) with Real Activities-based earnings management(REM) which is not only likely to be harder to detect but also likely to be more costly to the firms. Because ICFR imposes the sanctions on managers and the adverse publicity and legal cost on firms that were accused of questionable or even fraudulent reporting practices. To measure AEM we use a cross-sectional model of discretionary accruals and our primary model is the Jones-CF-Rev model as described in Pae(2005). On the other hand We consider three REM proxies the abnormal levels of cash flow from operations production costs and discretionary expenditures as described in Roychowdhury(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inconsistent with research hypothesis because of the review required ICFR in Korea therefore firms and auditors are likely to inspect ICFR as mere formality.

      • KCI등재

        감사품질이 기업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Earnings Management)

        정교(Kim Jung-Kyo),유순미(Yu Soon-Mi),경옥(Kim Gyeong-Ok) 한국국제회계학회 2011 국제회계연구 Vol.0 No.38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품질이 기업의 이익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감사품질의 대리변수로 감사인 규모(Big4 여부)와 산업전문성, 감사인 교체를 이용하였다. 또한 이익조정동기가 있는 기업에서 더욱더 이익조정을 억제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것은 이익조정동기가 있는 기업에 대해 이익조정동기가 없는 기업보다 보다 확대된 입증감사절차를 수행할 것이며 이때 높은 품질의 감사인은 재무제표의 부정이나 오류를 발견할 가능성과 이를 외부에 보고할 가능성이 높아 결과적으로 보다 낮은 재량적 발생액을 가져올 수 있다. 분석 결과, 감사품질이 높은 감사인으로부터 외부감사를 받은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이 그렇지 않은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높은 감사품질이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행위를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이러한 결과는 이익조정동기를 고려한 분석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났다. 즉, 적자회피 또는 이익감소회피 유인이 있는 기업에서 높은 감사품질 기업과 낮은 감사품질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의 차이는 더 크게 나타났다. 이것은 높은 감사품질을 가진 감사인은 이익조정동기가 있는 기업에 대해 더욱 확대된 감사를 통하여 경영자의 이익조정행위를 제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곧 투자자나 기업의 외부이해관계자가 투자의사결정 및 기업가치 평가시 감사품질의 차이에 대해 이익조정동기가 없는 기업보다 이익조정 동기가 있는 기업에서 더욱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audit quality and earnings management. Consistent with prior research, we treat audit quality as a dichotomous variable and assume that Big 4 auditors are of higher quality than Non-Big 4 auditors(industry expertise(specialization) auditors are of higher quality than non-industry expertise auditors. We employ discretionary accruals to capture earning management and discretionary accruals are estimated by a cross-sectional model of Kothari et al.(2005). Prior literature suggests that auditors are more likely to restrict management’s accounting choices that increase earnings (as opposed to decrease earnings) and that auditors are more likely to be sued when they are associated with financial statements that overstate earnings (as compared to understate earnings). Therefore, we hypothesize that clients of lower quality auditors report discretionary accruals that increase income relatively more than the discretionary accruals reported by clients of higher quality auditors. This hypothesis is supported by evidence from a sample of 10,754 firm years. And also we found that higher-quality audit would be more effective in deterring accounting manipulation than the lower one if the earnings manipulation incentive exists at the first place.

      • KCI등재
      • KCI등재

        감리지적 예측확률로 측정한 감사품질이 재량적 발생액에 미치는 영향

        현진(Kim, Hyun Jin),정교(Kim, Jung Kyo),유순미(Yu, Soon Mi) 한국국제회계학회 2013 국제회계연구 Vol.0 No.47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회계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감사품질과 회계정보의 신뢰성에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다. 많은 선행연구에서는 다양한 감사품질의 대용치를 이용하여 감사품질과 회계정보의 신뢰성 사이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Becker et al.(1998)는 Big6 감사인의 피감사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현저하게 낮음을 발견하였다. 그들은 이러한 결과는 감사품질이 높은 감사인(Big6 감사인)이 그렇지 않은 감사인보다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위를 제한함에 있어 더 효과적으로 감시하기 때문이라 주장하였다. 한편 Park and Shim(2002)는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감사인 유형이 재량적 발생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Big6 감사인이 Non-Big6 감사인 보다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관리를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결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산업전문감사인 여부와 재량적 발생액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역시 양자 간의 유의한 관련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감사품질의 최선의 대용치에 대한 상반된 실증적 증거가 발견되고 있으므로 감사품질에 대한 새로운 대용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새로운 감사품질의 대용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감사인 및 피감사기업의 특성변수를 이용하여 감리지적확률을 추정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감리지적 여부를 더미변수로 하는 종속변수와 감사인 특성변수를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예측확률을 산출한다. 추가적으로 개별적인 감사환경을 통제하기 위하여 피감사인 특성변수 또한 설명변수에 포함한다. 그런 다음 감사품질과 재량적 발생액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감사품질은 감리지적 예측확률로 측정하고 재랑적 발생액은 수정 Jones 모형에 영업현금흐름과 전기 총발생액을 추가한 Pae(2005)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다. 분석결과, 공인회계사 수가 많고 시장점유율이 높으며 교육훈련비 지출이 많은 회계법인의 피감사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감리지적 확률이 더 낮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감사인의 경력이 길고 소유집중도가 높은 회계법인의 피감사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감리지적 확률이 더 높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감사품질이 높을수록(감리지적 예측확률이 낮을수록) 재량적 발생액이 낮게 나타나 회계정보의 신뢰성이 더 높음을 발견하였다.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the public begins to pay attention to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For this reason, the relation between audit quality and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has been examined in lots of prior literatures. They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udit quality and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using various proxies for audit quality. Becker et al.(1998) found that the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is significantly lower for Big 6 clients than non-Big 6 clients. Their findings suggest that high audit quality proxied by Big 6 auditors is related with effective monitoring, which limits manager"s ability to make opportunistic accrual choices. Park and Shim(2002), however, examined the effects of auditor type on discretionary accruals using Korean data. They found that Big 6 auditors were not more effective in constraining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than non-Big 6 auditors. In addition, the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dustry-specialized auditors on discretionary accruals, but they did not find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industry-specialized auditors and discretionary accruals. In the context of mixed evidence about the best proxy of audit quality, researchers need to develop new proxies for audit quality. To develop new proxy for audit quality, I estimate the probability for enforcement actions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FSS) using both auditor"s and client"s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in logistic regression a dependent variable is a dummy variable that is given 1 if the client is enforced by FSS during a fiscal period, and 0 otherwise. Explanatory variables are audito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client"s characteristic variables are also included to control client‘s individual audit environments. I next examine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discretionary accruals. I measure audit quality using prediction probability of enforcement actions by the FSS and employ Pae(2005) model to measure discretionary accruals that includes operating cashflows and lagged total accruals in Jones(1991)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 find that clients of auditor with more CPAs and greater market share, more education & training expenditure are less likely to be enforced by the FSS, but I find that clients of auditors with longer CPA"s career and higher ownership concentration are more likely to be criticized by FSS. Second, I find that clients of auditors with higher audit quality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discretionary accruals and are thus more likely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regulators, auditors, managers, and researchers. First, these findings will help the clients and regulators to predict quality of auditors and contribute to improve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Second,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auditor"s characteristics are fundamental element in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audit. Third, these findings suggest a new proxy to measure audit quality for other researchers.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Specially, we rely on the disclosure of FSS for the actual presence of audit failure. To the extent that there is a systematic bias in choice to identify and disclosure audit failure, our sample may not represent the true underlying population of firms with lower-quality auditor.

      • KCI등재후보

        부부권력, 변화주장,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년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이명신 ( Lee Myung Shin ),김유순 ( Kim Yu Soo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3 No.2

        서울과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중년부부 230쌍(460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통해, 4가지 부부권력(경제력, 정의력, 지위권력, 개인적 권력), 3영역의 변화주장(부부관계, 배우자행동, 시가·처가문제), 4가지 갈등해결전략(자신-문제해결, 배우자-문제해결, 자신-언어적 공격, 배우자-언어적 공격)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변인이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하에, 남편과 부인의 모델을 별도로 개발하여 비교하였다. 조사결과, 남편과 부인 모델에서 다음의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1) `개인적 권력`이 증가될수록 2) `배우자-문제해결`이 높을수록, `결혼만족`이 증가되었다. 3)`자신-문제해결`은 남편과 부인의`결혼만족`에 상반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문제해결`의 사용은 남편의 `결혼만족`을 증가시키지만, 부인의 `결혼만족`을 감소시켰다. 차이점으로는 남편의 경우 1) `정의력`이 높을수록, 2) `부부관계 변화주장`이 높을수록, 3) `배우자-언어적 공격`이 높을수록, `결혼만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의 경우`지위권력`이 높을수록 `결혼만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ffects of 4 kinds of marital power(economic power, definitional power, positional power, personal power), 3 areas of influence for change(marital relationship, spousal behavior, in-law problems), 4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I-problem solving, spouse-problem solving, I-verbal aggression, spouse-verbal aggression), on marital satisfaction between husbands and wives,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230 dual-earner couples from Seoul and Kyungnam Province. Results of comparisons of male and female models showed 3 common relationships: 1) A higher level of personal power increased marital satisfaction; 2) A higher level of spouse-problem solving strategy(S-PSS) increased marital satisfaction; 3) I-problem solving strategy(I-P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marital relationship, but the direction was opposite for husbands and wives. A higher level of I-PSS increase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but decreased wives` marital satisfaction. For husbands, a higher level of definitional power, a higher level of influence for change in marital relationship, and a higher level of spouse-verbal aggression decrease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For wives, a higher level of positional power in the family decreased wives`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보호고용 정신지체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주동기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배경희(Bae Kyung-Hee),김유순(Kim Yu-S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4

        본 연구는 현재 보호고용 중인 정신지체인의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는 어떠한지, 이들의 주된 음주 동기는 무엇이며, 음주행위에 가장 영향을 끼치는 음주 동기는 무엇인지 등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br/> 본 연구에 참석한 정신지체인 97명의 직무스트레스 총점은 2.66(SD=.58)으로 ‘보통’ 보다 약간 낮은수치를 보여주었다. 직무스트레스를 세부 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 금전적 보상관련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주동기에 있어서는 가장 주된 음주 동기는 사교동기(M=1.9175)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주행위를 살펴보았을 때, 음주빈도에서는 1년에 3-4회 음주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1회 음주량으로는 맥주 500cc 2잔 정도가 가장 많았다. 음주행위에서 음주빈도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요인들로는 대처동기(beta=.497), 연령(beta=-.312), 금전적 보상 관련 스트레스(beta=.225)로 대처동기로 인해 음주할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직장에서 금전적 보상 관련 스트레스를 많이 느낄수록 음주빈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음주량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요인들은 고양동기(beta=.718), 함께 음주하는 사람(beta=-.296), 양적역할과다(beta=-.299) 관련 스트레스로 정서적 고양을 목적으로 음주할수록, 혼자 음주하는 경우에, 그리고 직장에서 양적역할과다 관련 스트레스를 적게 느낄수록 음주량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Effects of job stress and drinking motivations on the drinking behavior of Korea's mentally challenged in sheltered employm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vestigate job stress, drinking motivation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drinking behavior of Korea's mentally challenged. The 97 subjects' average job stress level was slightly below average. The subjects were found to experience salary-related stress the most out of the five sub-areas of job stress. The strongest motivations of drinking was the social motivation. In terms of drinking behavior, the most common drinking<br/> frequency was 3-4 times a year. The most common drinking amount was two 500cc mugs of beer. Th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the variance of the frequency of drinking was motivations to cope with, age, and salary-related stress. The mentally challenged drink more often when they have coping motivations and salary-related stress, and when they are younger. Th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the variance of the amount of drinking was motivations to emotional uplifting, drinking colleagues, stress from role overload. The mentally challenged drink more when they have motivations to emotionally uplift themselves and less role overload-related<br/> stress and as they drink al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