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中日韓における形態素「~族」の比較研究

        금주(金錦珠)(Jin, Jin-Zhu) 한일일어일문학회 2012 한일어문논집 Vol.16 No.-

        형태소 “족”은 “공통적인 특성을 가진 특정 사람”을 가리키는 의미에서 한중일 세 나라 언어로 공통된다. 본고에서는 형태소 “족”의 어의 “족”어의 중일한 비교 대조를 시도했다. 중국의 “족”어는 일본어와 한국어에 비해 외래어가 극소하고 그 95%가 한자로 표기되어 있다 특히“일족”라는 파생어를 생성하고있는 것도 한국어, 일본어와는 다르다. 일본어에 있어서 “족”어는 중국어와 한국어에 비해 당시의 인기 소설이나 잡지, 텔레비전 드라마의 제목에서 온 것이 많다. 또한 “족”어은 종종 마이너스의 어감을 띠고 있다. 일본에서는 “족”은 “계”로 대체되는 현상이 눈에 띄고, 일본어의 “족”어의 생성 메커니즘은 한중에 비해 쇠퇴의 길로 들어섰다 중국어와 일본어에 비해 한국어의 “족”어는 동물 이름으로 명명된 것이 많다. 또한 외래어 수용시“단축 + 합성” 형식의 다용, 한국산 영어가 범람함으로 말미암아 난해한 말이 많다. “족”어에는 한중일의 동의어가 많지만 그것은 인터넷의 보급이 “족”어의 전파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이나 공통적인 생각, 행동 양식을 보이고 있는 이른바 “신·신 인류”가 세나라에 존재하는것에 기인하고 있다.

      • KCI등재

        다섯 가지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활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성애(Sung-Ae Kim),진(Jin Kim),우미경(Mee-Kyung Woo),곽충실(Chung Shil Kwak),이미숙(Mee Soo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4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극동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톳, 다시마, 미역, 파래, 김을 대상으로 각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을 Ames test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발 억제능을 검색하고, MTT assay를 이용하여 HeLa cell, MCF-7 cell과 SNU-638 cell에 대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종의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2-anthramine에 대한 간접작용 돌연변이능 억제효과를 S. Typhimurium TA 98에서 측정한 결과, 톳(100%), 다시마(94.2%)가 3.5 ㎎/plate에서, 파래(68.5%)가 4.5 ㎎/plate에서 효과적인 돌연변이 억제능을 나타냈고, S. Typhimurium TA 100에서는 파래(100%), 톳 (100%), 다시마(94.1%)가 각각 1.5 ㎎/plate, 2.5 ㎎/plate, 4.5 ㎎/plate의 농도에서 최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반면 미역과 김은 간접작용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작용 항돌연변이능을 S. Typhimurium TA 98로 측정한 결과, 톳, 미역과 파래 모두 4.5 ㎎/plate의 농도에서 각각 83%, 73%, 73%의 저해율을 보여 2-nitroflouorene의 돌연변이능에 대한 저해율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 Typhimurium TA 100에서 sodium azide의 돌연변이능에 대한 저해효과가 가장 큰 해조류는 톳, 다시마와 파래로 세 가지 해조류 모두 3.5 ㎎/plate의 농도에서 100% 저해율을 보였다. 반면, S. Typhimurium TA 98에서 미역과 김은 4.5 ㎎/plate의 농도에서 각각 73%, 50% 정도의 저해율을 나타냈고, S. Typhimurium TA 100에서는 0% 저해율을 보여 직접작용 돌연변이에 대한 저해 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MTT assay를 이용하여 HeLa cell과 MCF-7 cell, SNU-638 cell에 대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 5종 해조류의 에탄올 추출물 모두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HeLa cell의 성장을 90% 이상 저해한 해조류는 톳, 다시마, 미역, 파래였고, 그 효과를 건조무게로 비교하면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의 순이었다. 김은 56% 저해율을 나타냈다. MCF-7 cell에 대한 세포 성장억제 효과 역시 90% 이상 저해율을 나타낸 해조류는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의 순이었고, 김은 50%의 저해율을 나타냈다. SNU-638 cell에 대한 세포 성장억제 정도는 HeLa cell이나 MCF-7 cell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보다는 다소 낮았다. 저해율이 70% 이상인 해조류는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이었고, 김은 68%로 나타나 해조류 간에 차이는 적었다. 이상에서 Ames test와 MTT assay를 통해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검색한 결과, 톳, 파래와 다시마는 항돌연변이 효과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암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는 각 시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5종의 해조류 모두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해조류가 개발 가능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식품 소재임을 확인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갈조류, 녹조류, 홍조류 등의 해조류에 함유된 암예방 또는 항암작용을 가진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The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5 seaweeds on the mutagenic and cytotoxic damage were evaluated. They were separately extracted using ethanol from dried samples at room temperature, and freezedried. The inhibition effect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by Ames test and cancer cell inhibitory effect in HeLa cell, MCF-7 cell and SNU-638 cell by MTT assay were assayed. Seaweed fusiforme, sea tangle and green laver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 against 2-nitrofluorene, sodium azide- or 2-anthramine-induced mutagenicities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and TA 100 at the level of 2.5 mg ethanol extract per plate. Cancer cell inhibitory effect was shown with all of the seaweed extracts. Green laver, sea mustard, sea tangle and seaweed fusiforme showed strong cytotoxicity against HeLa and MCF-7 cells, with inhibiting by 92~93% and 89~92%, respectively. These data show that 5 seaweeds tested in this study might be potent functional foods for cancer prevention, and consumption of these seaweeds in adequate amount is recommended.

      • KCI등재

        농구선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경기시 생리적 운동강도의 분석

        기진(Kim Ki-Jin),오근훈(Oh Keun-Hun) 한국체육과학회 200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of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during the basketball game for the effective training program of basketball players to improve performance. Subjects were consisted of 10 high school basketball players. Maximal heart rates and peak values of blood lactate concentration were estimated by graded maximal testing, and the change of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nd the ratio of maximal and anaerobic lactate threshold were measured during the basketball game. In graded maximal testing,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maximal heart rate was 182.9±8.47 beats/min. Blood lactate concentration corresponding to lactate threshold was 2.37±0.66 mM, and peak value was 8.85±1.34 mM. In the change of heart rate during the game, the ranges of change by ratio based on the lactate threshold showed from 93.04±5.93 % to 101.00±6.78 %, and those by maximal heart rate showed from 71.92±9.21 % to 84.16±5.20 %. The concentration of blood lactate during the basketball game was higher level than before the basketball game,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blood lactate after 10 minutes in the second half time was lower level than before the basketball game, because of performing lower intensity of exercise due to drop the physical fitness in the second half time than in the first half time. In these results, it was demanded the multiple consideration of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check for the analysis of precise exercise intensity in basketball game, and lactate threshold could be suggested the optimal training intensity for the enhancement of cardiorespiratory function in basketball players.

      • 헬리콥터용 터보샤프트엔진 2단 축류압축기 개량설계

        진한(Jin-Han Kim),춘택(Chun-Taek Kim),이대성(Dae-Sung Lee) 한국유체기계학회 1998 유체기계 연구개발 발표회 논문집 Vol.- No.-

        This paper introduces the part of efforts to develop a derivative type turbo-shaft engine from an existing baseline engine for multi-purpose helicopters targeting at 4000㎏ of take-off weight for 10-12 passengers. As a first step in meeting the development goal of increasing the output power to 840hp from 720hp with minimum modification, two stage axial compressor was redesigned to obtain the higher pressure ratio by removing the inlet guide vane and increasing the chord length. As a result, two stage axial compressors were designed to have the flow rate of 3.04 ㎏/s, the pressure ratio of 2.01 and the adiabatic efficiency of 85%. Its performance tests were carried out and verification of test results and redesign are under progress. Aerodynamic and structural analyses of the preliminary design are mainly described in this paper.

      • KCI등재

        여자대학생의 구두 굽 높이가 보행의 생체역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해진(Kim, Hae-Jin),갑선(Kim, Kab-S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6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15명의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두 굽 높이(맨발, 3 cm, 7 cm, 9 cm)에 따라 보행동작 변인들이 어떠한 차이를 비교분석 함으로써 함으로써 인체 보행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위해 생체역학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두 굽 높이에 따른 보행시 지지기와 체공기 소요시간, 보폭과 활보장, 인체중심변위, 몸통기울기 및 하지관절각도 및 지면반력변인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구두 굽 높이에 따른 보행 시 지지기와 체공기의 소요시간, 보폭과 활보장의 거리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활보장은 맨발과 3 cm가 7 cm와 9 cm에서 활보장 보다 길게 나타나고 있어 비교적 굽이 낮은 신발에서 하지의 움직임이 보다 안정된 형태를 보였다. 구두 굽 높이가 증가할수록 좌우변위와 상하변위에서 보행의 흔들림이 나타났으며 지지기 시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있어 힐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동적 안정성이 저하되었다. 인체 각도 중 왼쪽과 오른쪽 발목관절의 각도 변화에서도 구두 굽이 높을수록 각도가 유의하게 커져 , 지지기 시 발의 앞쪽에 힘이 실려 불안정한 상태를 유발하였다. 좌우 지면반력은 왼발Fx1과 왼발Fx2에서, 전후 지면반력은 왼발Fy1, 오른발Fy1에서, 상하 지면반력은 오른발의 Fz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구두 굽 높이가 증가할수록 상하 지면반력의 값이 다소 커지는 것으로 나타나 인체 보행시 안정성을 저하시켰다. 이와 같이 인체보행시 안정성과 효율성을 충족시켜주고 상해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구두 굽의 높이는 3 cm 정도가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uggest basic materials about efficient and stability of gait patter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data on shoes with different heel heights(bare feet, 3cm, 7cm, 9cm) while walking on surface.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15 college women mean height: 162.8cm, mean body mass: 53.1kg, mean foot size: 238.0cm, mean age: 20.3yrs) made a gait test on the force plate with bare foot, 3, 7, and 9 cm shoes, which was videotaped by four video cameras.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3D image analysi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Result: For the necessary stance time in walking according to different heel heights, the bare feet was longer in stance time and shorter in swing time than 3, 7, and 9 cm heel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X(mediolateral) axis of the displacement in the center of gravity in the human bod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3 phase. The right and left displacement of X axis was large and tended to be smaller when the heel height was increased. The lean of trunk, hip joint, knee joint angle, in walking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ifferent heel heights The right and left ankle ang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the bare feet showed the smallest angle, the highest heel showed the largest angle. In other words, as a heel became higher, the ankle angle was increased. For the ground reaction force of Med/Lat variable in walk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Fx1 and Fx2. For the ground reaction force of Fore/Aft variable in walk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Fy1 and Fy2. For the ground reaction force of vertical variable in walkin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ight Fz1. As the heel height became higher, the force of right Fz1(the restraining period) became increased.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eel height has a detrimental effect on college women stability function. A critical heel height for producing stability showed about 3 c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