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TM 망에서 다중화기 정보에 의한 Neural UPC에 관한 연구

        김영철,변재영,서현승,Kim, Young-Chul,Pyun, Jae-Young,Seo, Hyun-Seung 대한전자공학회 1999 電子工學會論文誌, C Vol.c36 No.7

        ATM망에서 트래픽 흐름을 제어하고 망 자원 사용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폭주(Congestion)발생에 의한 망 성능 저하를 막고 폭주현상에 대처할 수 있는 적응적인 제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트래픽에 대해 고정된 형태의 제어를 하는 Buffered Leaky Bucket과 적응성과 예측 기능을 갖는 신경회로망(Neural Network)을 이용하여 버퍼의 효율성을 높이고 망의 서비스 품질(QoS)로 구별되는 셀 손실율과 버퍼 지연을 테스트 및 성능 비교를 하였다. 또한 입력 트래픽의 다중화를 위해 사용되는 DWRR과 DWEDF의 셀 스케쥴링 알고리즘이 균등 지연을 만족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셀 스케쥴러로부터 망의 폭주 정보는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Leaky Bucket에서 예측된 트래픽 손실율을 제어하고 손실율 정도에 따라 토큰 발생율과 버퍼 한계값은 제어된다. 이러한 트래픽 손실율 예측은 다음 입력 트래픽에 대한 손실과 버퍼지연을 줄일 수 있도록 제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른 제어방식에도 응용될 수 있다. ATM 트래픽에 대한 신경회로망 학습과 예측 테스트를 위해 확률 랜덤 변수에 의해 발생된 셀 발생과 예측을 모의 실험하였으며, 이때 다양한 트래픽의 QoS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control the flow of traffics in ATM networks and optimize the usage of network resources, an efficient control mechanism is necessary to cope with congestion and prevent the degradation of network performance caused by congestion. In this paper, Buffered Leaky Bucket which applies the same control scheme to a variety of traffics requiring the different QoS(Quality of Service) and Neural Networks lead to the effective buffer utilization and QoS enhancement in aspects of cell loss rate and mean transfer delay. And the cell scheduling algorithms such as DWRR and DWEDF for multiplexing the incoming traffics are enhanced to get the better fair delay. The network congestion information from cell scheduler is used to control the predicted traffic loss rate of Neural Leaky Bucket, and token generation rate and buffer threshold are changed by the predicted values. The prediction of traffic loss rate by neural networks can enhance efficiency in controlling the cell loss rate and cell transfer delay of next incoming cells and also be applied for other traffic controlling schemes. Computer simulation results performed for random cell generation and traffic prediction show that QoSs of the various kinds of traffcis are increased.

      • KCI등재

        항공기 결항과 연쇄 교통사고를 야기한 연안안개 사례 연구

        김영철,Kim, Young Chul 한국항공운항학회 2017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25 No.1

        A heavy foggy event accompanying with complex coastal fog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is heavy foggy event occurred on FEB 11, 2015. Due to reduced visibility with this foggy event induced more than 100times serial traffic accidents over the Young-jong highway, and Flights from 04:30 AM to 10:00 AM were cancelled on Inchon International Airport. This heavy foggy event was occurred in synoptic and mesoscale environments but dense coastal fog were combined with a combination of sea fog, steam fog, and radiation fog. This kind of coastal fog can predicted by accurate analysis of the direction of the air flow, sea surface temperature(SST), and 925hPa isotherms from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charts and real time analysis charts.

      • 치어기 넙치 사료내 ${\beta}-1,3$ 글루칸의 첨가가 성장 및 비특이적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영철,김강웅,이승형,박건준,강용진,배승철,Kim, Young-Chul,Kim, Kang-Woong,Lee, Seung-Hyung,Park, Gun-Jun,Okorie, Okorie Eme,Kang, Yong-Jin,Bai, Sung-Chul C. 한국양식학회 2006 韓國養殖學會誌 Vol.19 No.4

        본 실험은 치어기 넙치에 잇어서 ${\beta}-1,3$ 글루칸을 사료내 첨가시 성장, 비특이적 면역반응 및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료내 ${\beta}-1,3$ 글루칸을 수준별 첨가하여 실시였다. 실험어는 평균무게 3.2 g인 넙치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사료에 ${\beta}-1,3$ 글루칸을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 0.025%, 0.05% 및 0.1%를 각각 첨가하여 총 5개 실험구로 3반복배치하여 6주간 실시하였다. 총 6주간의 성장 실험결과, 면역증강물질인 ${\beta}-1,3$ 글루칸의 첨가에 따르는 사료효율과 단백질전환효율에 있어서 ${\beta}-1,3$ 글루칸 0.1%를 공급한 사료구가 대조구와 다른처리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다(P<0.05). 증체율과 일간성장율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 0.1%를 공급한 사료구가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 0.025%를 첨가한 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beta}-1,3$ 글루칸 0.05%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만도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 0.05%와 0.1%를 첨가한 구가 대조구와 첨가구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헤마토크리트치는 ${\beta}-1,3$ 글루칸 0.05%와 0.1%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와 ${\beta}-1,3$ 글루칸을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혈청내 GOT에 있어서 ${\beta}-1,3$ 글루칸 0.05%와 0.1%를 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비특이적 면역반응 결과에 있어서는 ${\beta}-1,3$ 글루칸을 0.05%와 0.1%를 첨가한 실험구가 혈청의 lysozyme 활성 및 두신 phagocyte의 chemiluminescent(CL) 반응에서 대조구, ${\beta}-1,3$ 글루칸 0.01%와 0.025%를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보체대체활성의 경로에 있어서는 전실험구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공격 실험 결과에서는 ${\beta}-1,3$ 글루칸을 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초기폐사율이 낮음을 확인할수 있었으며, 상기 결과를 토대로, 넙치 치어의 경우 ${\beta}-1,3$ 글루칸을 0.05% 이상 0.1% 미만을 사료에 첨가하는 것이 성장, 사료효율 증진, 항산화능 및 질병저항성에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1,3$ glucan on growth and immune response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the white fish meal based diets for 6 weeks. Five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beta}-1,3$ glucan at 0, 0.01, 0.025, 0.05, 0.1 % (Control, $G_{0.01},\;G_{0.025},\;G_{0.05}\;and\;G_{0.1}$, respectively) of diet on a dry-matter basis. Five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be isonitrogenous and isocaloric to contain 50.0% crude protein and 16.7 kJ available energy $g^{-1}$. Fish averaging $3.2{\pm}0.1\;g\;(mean{\pm}SD)$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each aquarium as triplicate groups of 15 fish. Weight gain (WG, %), specific growth rate (SGR, %), and feed efficiency (FE, %) of fish fed $G_{0.1}$ diet were fou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Control, $G_{0.01},\;G_{0.025}\;and\;G_{0.05}$ diet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ish fed control, $G_{0.01},\;G_{0.025}$. Chemiluminescent responses (CL) of fish fed $G_{0.1}$ die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other diets. Serum lysozyme activities of fish fed $G_{0.05}$ and $G_{0.1}$ diets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control, $G_{0.025}$ and $G_{0.05}$ diets. Fish fed $G_{0.1}$ diet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cumulative mortality than did fish fed control diet throughout the challenge test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ased on growth rate, feed efficiency, non-specific immunity and protection against microbial infections the optimum dietary ${\beta}-1,3$ gulcan could be greater than 0.05% but less than 1.0%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ilvaceus.

      • KCI등재

        Induced systemic resistance and plant growth promotion of a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um, Enterobactor intermedium 60-2G

        김영철,김철홍,김길용,조백호,Kim, Young-Cheol,Kim, Chul-Hong,Kim, Kil-Young,Cho, Baik-Ho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0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5 No.4

        인산가용 미생물인 Enterobacter intermedium 60-2G의 식물생장촉진 능력과 흑성병균인 Cladosporium cucumerinum에 대한 유도전신저항성 능력을 오이와 오이 흑성병균을 모델로 확인하였다. E. intermedium 을 처리한 오이는 물을 처리한 control에 비해 C. cucumerinum에 의한 흑성병의 병징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또한 E. intermedium를 처리한 오이는 식물 생장촉진효과도 보였다. Strain 60-2G은 Fusarium oxysporum와 Magnaporthe grisea을 포함한 여러 식물 병원 곰팡이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인산가용능력을 가진 E. intermedium 60-2G는 식물의 생육을 증진시키는데 관여하는 여러가지 유익한 형질을 가진 아주 유용한 생물적 방제균임을 밝혔다. A phosphate-solubilizing bacterium, Enterobacter intermedium 60-2G, was examined for plant growth-promotion and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using a model system of cucumber and scab disease, caused by Cladosporium cucumerinum. Compared with a nonbacterized control, treatment of cucumber with E. intermedium significantly reduced the severity of scab disease after challenge-inoculation with C. cucumerinum. Treatment of cucumber with E. intermedium also enhanced cucumber growth. The 60-2G strain showed a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ral plant pathogenic fungi including Fusarium soysporum and Magnaporthe grisea. These results suggest the E. intermedium 60-2G is a promising candidate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displaying multiple beneficial properties to promote plant health.

      • SCOPUSKCI등재

        니오비움 함유 복합 금속산화물 촉매의 선택산화반응에 관한 연구

        김영철,김형주,문동주 ( Young Chul Kim,Hyeong Ju Kim,Dong Ju Moon ) 한국공업화학회 1998 공업화학 Vol.9 No.1

        프로판의 아크릴로니트릴로의 가암모니아 산화반응을 Nb₂O_5-V_(0.4)Mo₁Te_(0.1) 혼합촉매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가암모니아 산화반응의 촉매적 활성은 강한 산성을 띠는 니오비움산화물을 몰리브덴계 산화물촉매(V_(0.4)Mo₁Te_(0.1))에 첨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이때 아크릴로니트릴과 프로필렌의 선택율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최대의 활성은 Nb₂O_5-V_(0.4)Mo₁Te_(0.1) 촉매 중 니오비움산화물이 25 wt%가 되었을 때 얻었으며, 니오비움산화물은 프로판의 탈수소과정에 선택적인 촉매임을 알았다. Conversion of propane to acrylonitrile via ammoxidation was studied using physically mixed catalysts composed of Nb₂O_5(10∼30 wt%) and V_(0.4)Mo₁Te_(0.1). Catalytic activities of ammoxidation were improved by adding strong acidic niobium oxide to V_(0.4)Mo₁Te_(0.1), the selectivities to acrylonitrile+propylene being remained constant. The maximum activity was obtained at the mixing ratio 25 wt% niobium oxide in Nb₂O_5-V_(0.4)Mo₁Te_(0.1). Niobium oxide was found to be a selective catalyst for the oxidative dehydrogenation of propane.

      • 동적 버퍼관리 방식의 Dynamic GSMP V3의 구조와 하드웨어 구현

        김영철,이태원,김광옥,Kim, Young-Chul,Lee, Tae-Won,Kim, Kwang-Ok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8 No.8

        In this paper, the architecture of Dynamic GSMP V3(General Switch Management Protocol Version 3), an open interface protocol with resource management functions for efficient IP service on ATM over MPLS, is proposed and implemented in hardware. And we compare and analyze the proposed GSMP with the GSMP under standardization process in terms of CLR (Cell Loss Rate). We design the Slave block of the Dynamic GSMP V3 using SAM-SUNG SoG $0.5{\mu}m$ process, which performs functions for switch connection control in the ATM Switch.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 performanaces between the proposed method and the conventional one, we conducts simulations using the minimum buffer search algorithm with random cell generation. The exponenti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leads to performance enhancement in CLR. 본 논문에서는 ATM 기반 MPLS 망에서 효율적으로 IP 서비스를 전송하기 위한 동적 버퍼관리 방식의 Dynamic GSMP V3(General Management Protocol Version 3)를 구현하였으며, 하드웨어 모델링 구조를 제안하였다. 또한 현재 표준화중인 GSMP와 동적 버퍼관리 방식을 수용한 GSMP를 셀 손실률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ATM 스위치 상에 연결 제어의 성능 향상을 위해 스위치에서 연결설정 및 제어를 수행하는 Dynamic GSMP V3의 Slave 블록을 산성 SoG $0.5{\mu}m$ 공정으로 설계하였다. 기존의 방식과 제안한 방식의 성능 평가를 위해 확률 랜덤 변수에 의해 발생된 셀과 최소 버퍼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의 실험을 하였으며, 이때 셀 손실률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한글 인쇄체 문자인식 전용 신경망 Coprocessor의 구현에 관한 연구

        김영철,이태원,Kim, Young-Chul,Lee, Tae-Won 한국정보처리학회 1998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4 No.1

        본 논문에서는 한글 인쇄체 인식 시스템의 실시간 처리를 위하여 인식 프로세스중 시간이 많이 걸리는 한글 문자 유형 분류 및 자소 인식 단계를 고속 처리할 수 있는 다층구조 신경망을 VLSI 설계 하였으며, 신경망과 호스트 컴퓨터간의 인터페이스와 신경망 제어를 담당하는 코프로세서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를 VHDL 모델링 및 논리합성을 통하여 설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구조와 동작 및 성능을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신경망 coprocessor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구현 인식 시스템의 유형 분류 및 자소 인식률과 대등한 성능을 보인 반면 고속의 인식속도를 보였다. In this paper, the design of a VLSI-based multilayer neural network is presented, which can be used as a dedicated hardware for character-type segmentation and character-element recogniti on consuming large processing time in conventional software-based Hangul printed-character recognition systems. Also the architecture and its design of a neural coprocessor interfacing the neural network with a host computcr and controlling thc neural network are presented. The architecture, behavior, an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neural coprocessor are justified using VHDL modeling and simul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successful rates of character-type segmentation and character-element recognition is competitive to those of software-based Hangul printed-character recognition systems with retaining high-speed.

      • ATM기반 MPLS망에서 VC-Merge 가능한 고속 스위치 구현에 관한 연구

        김영철,이태원,이동원,Kim, Young-Chul,Lee, Tae-Won,Lee, Dong-W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9 No.1

        본 논문에서는 ATM 기반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망에서 라우터의 레이블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망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인 레이블 통합 기능이 탑재된 고속 Crossbar Switch론 구현한다. 차등서비스(Differentiated Service)와 레이블 통합 기능을 동시에 수행 할 수 있는 적합한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코어 LSR(Label Switch Router)의 출력버퍼에서 망 폭주 발생 가능성이 있을 시 EPD(Early Packet Discard) 알고리즘을 통한 적응적 폭주 제어 방법을 사용하므로써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론 막았으며, 제안한 VC(Virtual Channel)-merge 기법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Non VC-merge 기법과의 비교 분석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제안한 VC-merge가능한 스위치는 VHDL로 모델링하여 합성 설계하고, 삼성 0.5m SOG 공정으로 팁을 제작하였다.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high-speed swatch tilth the function for label integration to enhance the expansion of networks using the label space of routers efficiently on MPLS over ATM networks. We propose an appropriate hardware structure to support the VC-merge function and differentiated services simultaneously. In this paper, we use the adaptive congestion control method such as EPD algorithm in carte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network congestion in output buffers of each core LSR. In addition, we just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VC-merge method through simulation and comparison to conventional Non VC-merge methods. The proposed VC-merge capable switch is modeled in VHDL. synthesized, and fabricated using the SAMSUNG 0.5um SOG process.

      • KCI등재

        유사도 평가를 위한 트리 비교 알고리즘

        김영철,유재우,Kim, Young-Chul,Yoo, Chae-Wo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1 No.2

        기존의 트리 비교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노드에 가중치가 있거나 레이블이 있는 트리(장식이 있는 트리)에 대해서 연구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장식이 없는 서로 다른 두개의 트리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평가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구현한다. 본 시스템에서 제시한 트리 유사도 평가 알고리즘은 비교할 두 개의 트리를 언파서에 의해 노드 스트링으로 변환된 후, 유사도 알고리즘에 의해서 평가되며, 0.0-1.0 사이의 유사 값을 돌려준다. 본 논문의 실험 부분에서는 여러 형태의 트리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두 트리 사이에 일치되는 노드와 불일치 되는 노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활용하면, 특정한 프로그램이나 문서의 유사도 및 중복 코드 발견 등에 활용할 수가 있다. In the previous researches, tree comparison methods are almost studied in comparing weighted or labeled tree(decorated tree). But in this paper, we propose a tree comparison and similarity evaluation algorithm can be applied to comparison of two normal trees. The algorithm converts two trees into node string using unparser, evaluates similarity and finally return similarity value from 0.0 to 1.0. In the experiment part of this paper, we visually presented matched nodes and unmatched nodes between two trees. By using this tree similarity algorithm, we can not only evaluate similarity between two specific programs or documents but also detect duplicated code.

      • KCI등재

        초소형 전자 칼럼 설계를 위한 전자 방출원 연구

        김영철,김대욱,안승준,김호섭,장원권,Kim, Young-Chul,Kim, Dae-Wook,Ahn, Seung-Joon,Kim, Ho-Seob,Jang, Won-Kweon 한국광학회 2002 한국광학회지 Vol.13 No.4

        저전압(~1 ㎸)에서 구동되어 수 ㎁의 전류를 얻을 수 있는 초소형 전자 칼럼(microcolumn) 설계를 위한 프로브(probe) 빔의 직경이 최소가 되는 전자 광학계의 조건을 조사하였다. 프로브 빔의 최소 직경은 전자 방출원의 특성에 의존하는데, 동일 조건의 광학계에 대하여 thermal field emitter(TFE)인 경우 ~20 ㎚인 반면 cold field emitter(CFE)인 경우 ~10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We examine the adjustment of the semiconvergent angle and current for the miniaturized micro column working at low voltage but producing maximized current. Our study shows that the minimum electron beam sizes are 10 ㎚ for the cold field emitter (CFE) and 20 ㎚ for the thermal field emitter (TFE) at a given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