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정사면체 구조를 갖는 Cu (II) 및 Co (II) 착화물들의 아쿠오화반응에 관한 연구

        김영인,최성락,김정숙,김해경,Kim, Young-Inn,Choi, Sung-Nak,Kim, Jung-Sook,Kim, Hae-Kyung 대한화학회 1988 대한화학회지 Vol.32 No.2

        $Co(sp)X_2P$(sp=sparteine, $C_{15}H_{26}N_2$, X=Cl, Br)과 Cu(sp)$X_2$의 아쿠오화반응이 메카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pH~5인 조건에서 속도론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Co(sp)$Cl_2$ 및 $Co(sp)Br_2$는 halide 이온들에 의해 촉매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Cu(sp)Cl_2$ 및 $Cu(sp)Br_2$에 비해 매우 빠르게 아쿠오화가 진행되었다. $Cu(sp)Cl_2$ 및 $Cu(sp)Br_2$는 halide cyanide의 존재에 의해 반응속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pH = 2~5인 범위에서 pH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속도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실험결과, $Co(sp)X_2$의 아쿠오화반응이 D-메카니즘으로 진행되는 반면 $Cu(sp)X_2$의 경우는 $I_d$ 메카니즘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The rates of aquation of sparteine cobalt(II) halide and sparteine copper(II) halide were investigated in the citrate buffer solutions. The aquation of cobalt(II) complexes proceeds via D-mechanism and the catalytic effect of halide ions is not observed. The aquation of copper(II) complexes proceeds via $I_d$-mechanism and is catalyzed by the presence of cyanide and halide ions, and the aquation rate is pH dependent. The different mechanistic behavior of cobalt(II) complexes from corresponding copper(II) complexes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weakness of Co-N bond in the coordination sphere.

      • 빙축열조 내부의 열적유동 특성 해석

        김영인,홍희기,배철호,김영일,윤호식,Kim, Y.I.,Hong, H.K.,Bai, C.H.,Kim, Y.I.,Yoon, H.S. 대한설비공학회 1988 설비저널 Vol.17 No.4

        Among several methods to solve the unbalanced electric power load, the Ice Storage System (ISS) for the air conditioning is relatively easy to realize and gives big effect on balancing the electric power load.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the practical ISS for the air conditioning through the design, manufacturing and performance test of the experimental ISS (size $0.335m^3$, cold storage capacity 14200 kcal, IPF 0.4). Thermal fluid motion inside the ice storage tank during cooling storage and cooling release are studied. The data are analyzed by the dispersion analysis and optimal design conditions are derived from the result.

      • SCOPUSKCI등재

        Lanthanides-Benzoylformate 착물 형성에 관한 열역학적 연구

        김영인,박선금,Young-Inn Kim,Sun-Geum Park 대한화학회 1993 대한화학회지 Vol.37 No.4

        수용액 내에서 란탄(Ⅲ)-benzoylformate 착물 형성 반응의 열역학적 파라메타들(${\Delta}$G, ${\Delta}$H 및 ${\Delta}$S)을 pH 및 엔탈피 적정 방법을 사용하여 이온세기 $0.1M NaClO_4$, 25$^{\circ}C$ 조건하에서 구하였다. 란탄-benzoylformate 착물의 안정도 상수(1:1) 값으로부터 benzoylformate가 두자리 리간드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열역학적 실험 결과는 카르복실기와 함께 케톤기 산소원자가 결합에 참여하여 킬레이트를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는 benzoylformate 리간드 내에 존재하는 벤젠고리의 공액 효과에 의해 케톤기의 산소원자의 전하량이 증가된 결과로 해석되었다. 착물의 안정도는 엔트로피 효과 뿐 아니라, 금속-산소결합 형성에 따른 엔탈피 효과에도 기인하였다.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Delta}$G, ${\Delta}$H and ${\Delta}$S) of lanthanides(III)-benzoylformate complexes in aqueous solution have been determined in the ionic medium of 0.1M $NaClO_4$ at 25$^{\circ}C$, using pH and enthalpy titration method. The stability constants of the lanthanide(III)-benzoylformate complexes (1 : 1) agree well with the general relationships for the bidentate ligands (e.g., log${\beta}_1$ vs. p$K_a$). Thermodynamic evidences show that the oxygen atom in ketone group is coordinated along with the carboxylate group. It is ascribed to the increasing charge density on the oxygen atom in ketone group due to the conjugation effect in the benzoylformate ligand. Thermodynamic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complexes are stabilized by the enthalpy effect caused by the ionic interaction of metal-oxygen bond as well as the entropy effect.

      • SCOPUSKCI등재
      • 신경병성 통증의 치료

        김영인,Kim, Yeong-I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1999 정신신체의학 Vol.7 No.2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한 다양한 기전에 의해서 신경병성 통증이 생길 수 있다. 특정한 질병과 관련된 기전에 의해서 생기는 경우는 거의 없고, 진단과는 상관없이 한 환자에서 여러 가지 기전이 동시에 관여하여 생긴다. 신경병성 통증은 신경학적 검사와 환자의 문진으로부터 쉽게 진단할 수 있으나 치료는 아직 만족할 만하지 못하다. 신경병성 통증의 치료가 어렵다 하더라도 의사가 치료시 문제점을 완전히 이해하고 있다면 적절한 치료에 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적절한 약물의 선택은 환자마다 효과가 있는 약제, 용량, 혈중농도 등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치료의 시도와 실패의 반복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다.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각 약물들의 적절한 치료연구는 신경병성 통증의 약물치료에 있어 핵심일 것이다. 삼환계 항우울제는 일차약물로 알려져 있고 이에 대한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에는 항경련제, 국소마취성 항부정맥제제, clonidine, 마약성 진통제, 국소도포제 순으로 사용해 볼 수 있다. Venlafaxine, nefazodone 같은 항우울제가 최근에 삼환계 항우울제 보다 부작용이 적고 비슷한 효과가 있으며, 항경련제인 gabapentine도 효과있는 약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A variety of mechanism may generate pain resulting from injury to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 None of these mechanism is disease-specific, and several different pain mechanism may be simultaneously present in anyone patient, independent of diagnosis. Diagnosis of neuropathic pain is often easily made from information gathered on neurologic examination and from patient history. Although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may be difficult, optimum treatment can be achieved if the neurologist has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rapeutic options, the mainstay of which is pharmacotherapy. Selection of an appropriate rharmacologic agent is by trial and error since individual responses to different agents, doses, and serum levels are highly variable. An adequate trial for each agent tried is key to pharmacologic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Tricyclic antidepressants are first-line agents, although other drugs, including anticonvulsants, local anesthetic antiarrhythmics, clonidine, opiates, and certain topical agents, also offer pain relief in some patient populations. The novel antidepressants venlafaxine and nefazodone are potentially useful new drugs that are better tolerated than tricyclic antidepressants. Also Gabapentine seems an interesting and promising drug for the treatment of neuropathic pain.

      • KCI등재

        메탄하이드레이트 개발동향

        김영인,Kim, Young-I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3 자원환경지질 Vol.46 No.1

        대부분의 GH는 전세계 해양퇴적물에서 대부분 산출되며 매장량은 $10^{13}{\sim}20{\times}10^{15}m^3$로 현재 세계 에너지 사용량을 기준으로 근 1,000년에 해당하는 양이다. MH는 전통석유가스자원를 대체할 미래 천연가스자원으로써의 잠재력이 있기 때문에 감압법, 화학첨가제 주입법, 열자극법, $CO_2$-메탄 치환법 등 채굴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4년까지는 시험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생산방법을 비교하고 GH의 분해에 따르는 반응이 복잡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예측하는 기술과 효과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가스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Most gas hydrates (GH) occur in ocean sediments. Global GH reserves are estimated to be $10^{13}{\sim}20{\times}10^{15}m^3$, which is nearly 1,000 times the amount of current world energy consumption. Methane hydrate (MH) has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into future natural gas resources to replace traditional oil and gas resources, and thus MH production technologies such as depressurization, inhibitor injection, thermal stimulation, and $CO_2-CH_4$ substitution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MH production, which is expected to be in test production until 2014 in Korea,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GH production technologies for use in the commercial production of methane gas. This study compares MH production technology and its ability to meet the twin goals of being both effectiv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omplex phenomena of GH decomposition.

      • SCOPUSKCI등재

        Gadolinium-benzoate 착물의 열역학적, 적외선 및 자기적 성질에 관한 연구

        김영인,박흥재,최성락,윤석승,Young-Inn Kim,Heung-Jae Park,Sung-Nak Choi,Sock-Seung Yun 대한화학회 1992 대한화학회지 Vol.36 No.2

        수용액내에서 gadolinium-벤조산 착물형성 반응의 열역학적 함수값들을 이온상수 0.1M $NaClO_4$, $25^{\circ}C$ 조건하에서 구하였다. gadolinium-벤조산 착물의 안정도는 여분의 엔트로피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벤조산 리간드의 경우 한 자리 리간드에 비해 높은 안정도 상수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높은 안정도는 리간드내의 벤젠고리의 공액효과로 예측되었다. 합성된 Ga$(ben)_3$의 고체 IR스펙트럼 결과, 벤조산 리간드가 두 자리 리간드로 작용하여 킬레이트를 형성하였으며, 80${\sim}$300K 온도 범위에서의 자화율 데이터는 Curie-Weiss 법칙에 잘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for the formation of gadolinium benzoate have been determined in the ionic medium of 0.1 M $NaClO_4$ at $25^{\circ}C$ in aqueous solution. The thermodynamic results indicate that the complex is stabilized by the excess entropy effect caused by the dehydration of reacting ions. The especially high stability of Gd(III)-benzoate compared to the monodentate ligand complexes might be ascribed to the conjugation effect of the benzene ring in the benzoate ligand. IR spectra show that benzoate anion acts as a bidentate ligand toward $Gd^{3+}$ to form a chelate ring in solid state. Magnetic susceptibility data of the compound were also obtained and well described by Curie-Weiss law in the temperature range 80${\sim}$300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