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융합역량향상을 위한 프로젝트 수업 모형개발

        김영미,Kim, Youngmi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0 No.11

        최근 역량중심교육이 강조되면서, 교육 현장에서 프로젝트수업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수업의 운영체계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모듈(교과목)과 연계하지 않고, 독립적인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방법, 둘째, 하나의 프로젝트에 단일 전공(학부) 내 모듈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방법, 셋째, 하나의 프로젝트에 2개 이상의 전공 모듈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프로젝트수업을 위한 도구를 제시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의 체계적 관리 및 개선을 통한 수업만족도 제고를 위해 프로젝트수업의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프로젝트 수업은 창의적 인성과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1차 년도 대비 2차 년도에 7%향상되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성과 달성률이 높아졌다는 평가가 도출되었다. As increasing the emphasis of competence-based learning, Project-base instruction is adopted more with frequency at the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the methodology of project-based instructional system. The first one is to manage the project independently not to link with any module. The second one is to link a project to a module. And the third one is to link a project to the more than two major modules. Also It suggests the tool for project based instruction. Before & after class conducting the inspection for increasing satisfaction of instruction by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improvement, the project base instruction shows the positive effect to promote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e contentment of the class increases 7% more at the 2nd year than the 1st. As a result, it can derive the evaluation of the pupils' higher achievement rate.

      • KCI우수등재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Cashmere and Yak Fibers: MALDI-TOF Mass Spectrometry vs. Microscopic Method

        김영미,최형민,Kim, Youngmi,Choi, Hyung-Min The Korean Fiber Society 2017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4 No.3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was employed fo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f cashmere and yak fibers. Yak fibers have been a great concern for fraudulent labelling in the luxurious cashmere market. Species-specific ion peaks were identified qualitatively, and mass spectrometry was used for the first-time in an effort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se fib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dentification of unknown compositions was quantitatively possible even in commercial samples. The technique exhibited important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microscopic analysis such as the possibility of analyzing a small size of sample and colored or chemically treated fibers, and greater reproducibility and objectivity.

      • KCI등재

        생존수영 교육맥락의 질적 이해를 통한 교육내용과 지도자 전문성 개선 방안 탐색

        김영미(Kim, Youngmi),김원정(Kim, Wonjung),박인규(Park, Inkyu)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체험과 실제성을 강조하는 ‘안전’ 교육이 강화되는 현재의 체육 교육 동향을 고려하고 국내외 생존수영 현황과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지역별로 확대 및 실행되는 ‘생존수영’ 교육의 실천적 맥락과 역동적 상황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기술지적 접근에 의거하여 심층면담, 핵심집단면담, 참여관찰, 일지 등을 통한 자료수집과 연구자의 상호주관적 해석 과정을 거쳤다. 이를 위해, 연구자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지역에서 생존수영을 장기간 교육하고 있는 총 네 명의 생존수영 지도자이자 수영 전문가들을 선정한 후, 생존수영 현장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연구참여자들의 교육현장과 경험적 이야기에 근거하여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생존수영 교육환경,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가, “누가” 가르치는가에 대한 총 3가지 문제로 논의되었다. 첫째, 생존수영 교육환경에서는 ‘양과 질의 부조화’가 나타났고 둘째, 교육내용 및 방법과 관련해서는 내용의 수준 차이, 교수-학습의 착의 상태, 생존수영 프로그램 방향 탐색의 어려움이라는 세 가지 딜레마가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가르치는 주체와 관련한 전문지도자의 자질 및 교사와의 역할 차별화, 전문성과 자격증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궁극적으로, 보다 나은 국내의 생존수영 내용과 전문성 개선을 위하여 ‘교육내용’의 체계화와 공식성, ‘교육방법’의 자율화와 실제성, ‘교육정책’의 제도화와 구체성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describe the understanding and meanings of the educational context of "survival swimming", which have been disseminated and performed in Korea. Especially, the domestic and foreign "survival swimming" has been analyzed and focused on the present trend of emphasizing on "safety education", considering experience and practice in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is based on ethno-graphic approach and its procedures. Data of this study has been mainly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s, field notes, diaries and other documents. Four participants including researcher have been selected considering swimming careers, certification, expertise and experience of teaching of "survival swimming" in school.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se data has been based on the participants" voices and their fields for "emic" qualitative understanding.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result themes for educational context of "survival swimming" have been described. That is, educational environment of survival swimming, "what and how" should we teach survival swimming, and "who" can teach survival swimming. First, the phenomenon of mis-match between quantity and quality has appeared in educational environment of survival swimming. Secondly, there are three faced dilemmas in regard to the contents and instruction such as (1) level difference in the concrete educational contents in survival swimming, (2) clothing wearing situation in the field while teaching and learning survival swimming, and (3) direction of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and setting. Finally, there are professional qualification, role conflict and certification of the instructors. Ultimately, this paper suggests that (1) systematization and official of the educational contents, (2) liberalization and authenticity of the instructional method, and (3) institutionalization and concreteness of the educational policy in the survival swimming.

      • KCI등재

        사물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경험 연구 동향

        김영미(Kim, Youngmi),류한영(Ryoo, Han Yo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7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6 No.3

        연구배경: 최근 사물인터넷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사물인터넷 서비스가 확장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호작용의 방법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변화하고 있다. 이전과는 다른 통합적인 서비스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겪게 될 총체적인 사용자 경험이 변화됨을 예측 해 볼 수 있지만 사물인터넷의 특징이 반영된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국·내외에서 진행된 HCI와 사물인터넷에서의 사용자 경험 이슈에 대해 살펴보고 변화된 요소와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진행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는 현재 진행되는 국내 사물인터넷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실제 사용자 경험 대한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의 대부분은 기술과 관련되어 있었으며 사물인터넷 환경에 특화된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앞으로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용된 사용자 경험 연구가 요구되며 시스템의 주체가 아닌 객체가 되어버릴 수도 있는 사용자의 멘탈 모델 확립과 이에 대응하는 특화된 시스템 모델의 개발이 요구된다. 결론: 본 연구결과가 사물인터넷 환경에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출발점으로써 사물인터넷 시대에 필요한 사용자 이해의 기초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has developed rapidly in recent years with the expansion of its service, which has resulted in changes to the methods of interaction and user interfaces. It is easily predicted that the total user experiences will undergo changes after the provision of integrated service different from its predecessors, but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user experience desig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oT. Methods: This study presents two major types of research to analyze the trends of user research in the IoT environment. First, it examined the issues of user experiences in HCI and IoT home and abroad and identified what had been changed and wha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 design of user experiences. The investigator then reviewed the trends of current IoT research in the nation and checked how research on actual user experience were conducted. Result: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has something to do with technology with a shortage of research on user experiences specialized for the IoT environment. Future research needs to cover user experiences applied to the IoT environment characterized. It is also needed to establish a mental model for users, who can be objects of a system rather than its subjects, and develop a specialized system model to address them.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cs of user understanding needed in the IoT era as a starting point for user experience designs optimized for the IoT environment.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김영미(Kim You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단적 자료에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이들 변수 간의 인과관계의 방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중학교 1학년 패널 중 중3, 고2, 고3에 해당하는 3(2012년), 5(2014년), 6(2015년)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대상은 남학생 1,041명, 여학생 1,015명 총 2,056명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자아정체감, 진로정체감, 삶의 만족도는 각각 이후 시점의 변수들에 지속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전 시점의 자아정체감은 이후 시점의 진로정체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전 시점의 진로정체감은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삶의 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진로정체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나 진로정체감이 이후 시점의 자아정체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초기 청소년기에 자아정체감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self identity,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Data were obtained from third, fifth, and sixth waves of adolescent cohort(N=2,056)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2010).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used to analyze data from the three waves. The major longitudin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lf identity,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were consistently stable over time. Second, self identit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career identity, and prior career identity affect life satisfaction positively. However, prior career identity did not affect the self identity. The findings showed that prior self identity increases career identity and make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better. It highlighted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to get self identity are likely to increase positive influence of life.

      • KCI등재

        디지털 미디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 경험 차원 연구

        김영미 (Kim Youngmi),류한영(Ryoo Han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위한 선행 연구로써 디지털 미디어에서의 일반적인 사용자 경험의 차원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미디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데 있어 발생되는 사용자 경험 요소를 선행 연구로부터 도출하고 설문과 요인분석을 통해 8가지로 유형화 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자들이 제시한 사용자 경험 모델에 나타난 사용자 경험 요소를 조사하고 156여개의 사용자 경험 요소를 2차의 과정을 통해 62개로 정리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유형화 된 사용자 경험의 차원은 '오락성' '예측성' '심미성' '학습성' '일관성' '좌절성' '즉각성' '조작성' 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 된 사용자 경험의 차원은 향후 특정 디지털 미디어에서 사용자 경험의 정도를 평가하거나 상호작용 요소 그래픽 요소와 같이 디지털 미디어 이용에 있어서의 다른 차원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도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was a preliminary study for user experience design and conducted to find the attributes of user experiences from digital media interfaces. For this purpose the attributes of user experiences were collected from previous studies and 8 types of attributes were categorized from the results of a survey and factor analysis on survey data. The number of collected attributes from previous studies was 156 and became 62 after eliminating the repeated and/or similar attributes.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types of user experiences attributes were'pleasure','anticipation','aesthetic','learnability','consistency','frustration','immediacy' and'manipul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useful in evaluating the degree of user's experience from a digital media and/or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se types and other specific elements of a digital media.

      • KCI등재

        재난의 설화적 상상력과 희생 시스템의 타자성 ‒인주(人柱)설화를 중심으로‒

        김영미(Kim, Youngmi) 국어문학회 2020 국어문학 Vol.75 No.-

        인주(人柱)설화는 종, 집, 제방 등의 축조물을 만들 때 제대로 완성하지 못하고 계속 실패하자 살아있는 사람을 기둥으로 써서 성공적으로 완성했다는 이야기이다. 본고에서는 인주설화가 지니고 있는 ‘재난 서사’에 주목하여 재난 모티프를 찾아보고 ‘재난’에 대한 설화적 상상력과 희생의 의미를 탐구했다. 먼저 세 유형의 제방 축조형, 집 건축형, 종 주조형 인주설화 속에 내재된 ‘재난’ 모티프를 찾아보고 이야기를 관통하는 마스터플롯을 정리했다. 인주설화는 ‘축조물 만들기의 계속적인 실패[재난 발생]-인주 방법 실행-축조물의 성공적 완성[재난 극복]’의 플롯을 공유하고 있는데 각 유형의 이야기가 전해주는 심층적 의미맥락은 차이가 있다. 재난의 관점에서 봤을 때 제방 축조형은 자연재난이 어떻게 사회재난의 폭력성을 배태하게 되는지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제방 축조형은 홍수라는 ‘자연재난’이 바탕이 되지만 그 해결 방안을 강구하는 과정에서 ‘사회재난’으로 변질되는 재난의 이중적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다. 집 건축형은 애초에 인간이 만든 폭력을 상상한 ‘인적 재난’에 대한 이야기이며 종 주조형은 종교와 국가가 분리되지 않은 시대에 종교를 통해 국가적 재난을 해결하고자 한 ‘사회재난’에 대한 상상력의 일단을 보여준다. 이때 상상력은 설화적으로 포진된다. 축조물이 계속 무너지는 것은 신이나 용 같은 어떤 알 수 없는 힘의 작용 때문이라는 인식,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희생양을 써야 한다는 것, 희생양을 쓰도록 해결 방법을 알려주는 예지적·예언적 존재가 등장하는 것이 모두 설화적이다. 이는 재난의 원인과 해결 방법을 신과 인간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있는 설화적 상상력의 장치들이다. 결국 인주설화는 자연적·인적·사회적 재난을 복합적으로 섞어 설화적으로 형상화한 이야기들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이런 설화적 상상력 속에는 희생 논리의 전형이 숨겨져 있다. 인주로 희생되는 모든 인물은 공동체의 내부인이 아니고 외지에서 온 스님이거나 처녀, 자기 결정권이 없는 어린아이들로, 공동체 내부의 어떤 사회적 관계도 갖지 못한 타자적 인물들이다. 공동체의 이익이 타자들을 희생시켜 산출되고 유지되는 폭력적 ‘희생 시스템’인 것이다. 공동체 내부인들은 이러한 타자성과 폭력성을 은폐하기 위해 희생의 가치를 찬미하고, 때로는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며 희생을 강제하고, 희생자를 추모하기도 한다. 본고는 재난 서사 분석을 통해 공동체의 안녕이라는 미명 아래 혹시 우리도 희생의 타자성과 폭력성을 은폐하고 있지 않은지 코로나 19 같은 작금의 ‘재난 현실’을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The Imagination of Disaster Falk Tales and the Otherness of a Sacrifice System – focusing on the Inju Falk Tale The Inju falk tale is a story that continuous failing of the builing bells, houses and embarkments causes human sacrifice, and finally succeeds to finish them. This study focuses on ‘the disaster narrative’ in the Inju falk tale and examines its imagination and the meaning of the sacrifice. The Inju falk tale includes the narrative about building embarkments, house and bell. Disaster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each narrative: clearly in the embarkments narrative, changeably in the house narrative and connotatively in the bell narrative. Viewed in the disaster light, the narrative of building embarkments is about a imaginative disaster caused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 and its solution, the narrative of building houses is about the violence made by humans and the narrative of building bells is a imaginary story about overcoming a national disaster through religions in the era of unity of the church and state. The Inju falk tale is a series of stories or tales mixed natural, human, and social disasters together. Followings are typical imaginative strategies.: continuing collapsing structures was thought to be the inexplicable force actions such as gods or dragons, sacrifices is needed to prevent them, and a prophetic being appears and advises to use a sacrifice. These are means to understand the cause and solution of a disaster in relationship between gods and humans. The stereotypes of sacrifice are hidden in the imaginary falk tales. All people sacrificed in the Inju falk tale are not insiders in the community but others such a monk, a virgin or children who have no the right of self-decision and any social relationship. ‘Sacrifice system’ makes it possible for people in the community for their benefits and the maintenance of the system. They praise the sacrifice to conceal their violence and sometimes compel such a sacrifice by the name of gods.

      • KCI등재

        SVM을 이용한 위험모듈 예측

        김영미(YoungMi Kim),정충희(ChoongHeui Jeong),김현수(HyeonSo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6

        안전-필수 분야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신뢰도(dependability)를 보장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의 테스팅과 확인 및 검증활동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수준이 높은 소프트웨어 모듈을 소프트웨어 수명주기 초기에 예측하여, 테스팅과 확인 및 검증 활동에 대한 자원할당을 도울 수 있게 해준다. 다중 클래스 분류를 지원하는 SVM(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모듈의 잠재위험수준 을 예측한다. 잠재위험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온 모듈들에 대해 테스팅과 확인 및 검증을 집중적으로 실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원전의 계측제어계통에 사용되는 안전-필수 소프트웨어의 안전성 심사를 위한 대상 모듈을 샘플링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oftware used in safety-critical system must have high dependability. Software testing and V&V(Verification and Validation) activities are very important for assuring high software quality. If we can predict the risky modules of safety-critical software, we can focus testing activities and regulation activities more efficiently such as resource distribution. In this paper, we classified the estimated risk class which can be used for deep testing and V&V. We predicted the risk class for each module using support vector machines. We can consider that the modules classified to risk class 5 and 4 are more risky than others relatively. For all classification error rates, we expect that the results can be useful and practical for software testing, V&V, and activities for regulatory reviews.

      • KCI등재

        산재보험의 피보험자 및 피보험자성에 관한 소고 – 독일 재해보험을 중심으로 –

        김영미(Kim, Youngmi)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20 사회보장법학 Vol.9 No.1

        산재보험이 국내에 도입된 지 이미 55년이 지났다. 그동안 이루어낸 적용 대상의 양적 성장은 최근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확장 논의로까지 발전하였다. 현 시점에서 실질적인 산재보험의 질적 확장에 대한 논의와 그 전제로서 피보험자 개념과 피보험자로서의 보호 필요성, 다시 말해 피보험자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산재보험의 원류인 독일의 재해보험을 중심으로 피보험자 개념과 역사적 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제도적 성격의 변화와 피보험자성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글을 통해 피보험자 및 피보험자성에 대해 일반적 측면과 사회보험적 측면에서 개념적 접근을 시도하고, 독일 재해보험의 성격 변화에 따른 피보험자 범위의 확대와 피보험자 중심의 체제를 개관한다. 또한 적용대상의 유형에 따라 진정 재해보험과 부진정 재해보험으로 구분하여 검토하고, 피보험자 중심의 보험료 부과 징수체계와 보험료 산정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끝으로, 디지털화의 진전에 따른 피보험자 범위의 개방이라는 차원에서 보호 필요성이 있는 플랫폼 노동자들에 대한 독일의 논의를 부연하고, 이들에 대한 피보험자성 인정과 향후 보편적 재해보험으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로서 제도의 본질적 성격에서부터 새로운 접근을 시도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It has already been 55 years since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was introduced into Korea. In the meantime, the coverage of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has been quantitatively expanded, and now there are attempts to include platform workers.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discuss its practical qualitative extension. This requires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insured and the need for protection as the insured, namely, the identity of the insure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concept of the insured and the nature of the insured with changes in the institutional nature that emerge from the historical development, focusing on the german social accident insurance, the origin of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a conceptual approach to the insured and its status in terms of general and social insurance. It also explains how the scope of the insured expands along with changes in the nature of German social accident insurance. And the system is outlined focusing on the insured. In addition, the review is divided into genuine and non- social accident insur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coverage. It will then look at the insurance premium levy and calculation centered on the insured. Finally, with the deepening of digitization, it is necessary to open the scope of the insured and include platform workers who need protection.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a new approach should be attempted from the intrinsic nature of the system in order to recognize their insured status and develop from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to social accident insuranc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