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랜덤효과를 포함한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에 대한 베이지안 추론: 흡연 자료에의 적용

        김연경,황범석,Kim, Yeon Kyoung,Hwang, Beom Seuk 한국통계학회 2018 응용통계연구 Vol.31 No.2

        It is common to encounter count data with excess zeros in various research fields such as the 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s, medical science or engineering. Such count data have been explained mainly by zero-inflated Poisson model and extended models. Zero-inflated count data are also often correlated or clustered, in which random effec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model. Frequentist approaches have been commonly used to fit such data. However, a Bayesian approach has advantages of prior information, avoidance of asymptotic approximations and practical estimation of the functions of parameters. We consider a Bayesian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model with random effects for correlated zero-inflated count data. We conducted simulation studies to check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We also applied the proposed model to smoking behavior data from the Regional Health Survey (2015)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0이 과도하게 많이 나타나는 자료는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자료들을 분석할 때 대표적으로 영과잉 포아송 모형이 사용된다. 특히 반응변수들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할 때에는 랜덤효과를 영과잉 포아송 모형에 도입해서 분석해야 한다. 이러한 모형은 주로 빈도론자들의 접근방법으로 분석되어왔는데, 최근에는 베이지안 기법을 사용한 분석도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반응변수들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경우 랜덤효과가 포함된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을 베이지안 추론 방법을 토대로 제안하였다. 이 모형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모의 실험을 통해 랜덤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모형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지역사회 건강조사 흡연 자료에 직접 응용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명화 활용 미술 수업에 대한 사례연구 - 심미적 감성 역량 개발을 중심으로 -

        김연경(Kim, Yeon Kyoung),이동성(Lee, Dong S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3

        이 글은 심미적 감성 역량 개발을 중심으로 명화 활용 미술 수업의 교육적 가능성과 실현 방안을 탐구하였다. 특히 한국과 독일, 그리고 영국 교사들의 명화 활용 미술 수업 사례들을 분석하고 재현함으로써 명화 활용 미술 수업의 교육적 의미와 가능성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명화 활용 미술 수업은 첫째, 작품 완성에 대한 막연한 부담감을 줄여줄 수 있다. 둘째, 명화의 맥락적 이해를 통해 다양한 역량을 미술 활동에 적극적으로 융합할 수 있다. 셋째, 시각 자료의 흥미로운 전달 방식을 통하여 학생들의 삶과 연계된 교육과정을 구성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수업 중 지속적으로 관심과 흥미를 갖고 실기 표현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는데 ʻ명화ʼ가 어떻게 기능하는지 현장 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밝힐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삶 속에서 심미적 감성 역량을 키워 미술 문화를 향유하는 데 ʻ명화 활용 미술 수업 경험ʼ이 어떤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구체적인 가능성을 찾아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d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and practical methods of the masterpiece based art classes, focusing on aesthetic-emotional competency. In particular, the article was intended to shed light 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potential of the masterpiece based art classes by analyzing and reproducing examples of Korean, German and British teachers. Specific findings and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asterpiece based art classes can, first of all, reduce the vague burden of completing a piece. Second, through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masterpiece, various capabilities can be actively integrated into art activities. Third, through the interesting mode of delivery of visuals, we can construct curricula that are linked to the lives of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revealed through the voices of on-site teachers how ʻʻthe masterpieceʼʼ functions in reducing the burden on students continuous interest and interest during classes and on practical expressions. It could also help students develop Aesthetic-emotional competency in their lives to find concrete possibilities for what educational effects the ʻʻthe masterpiece based art classes experienceʼʼ can have on enjoying art culture.

      • KCI등재

        대학의 동료 튜터링(peer tutoring)프로그램에서 튜티가 인식한 튜터의 역량 수준이 튜터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연경(Kim Yeon Kyoung),송해덕(Song Hae D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utees perceived a tutor competency level on learning outcome in peer tutoring program. The subjects were 140 students participated in peer tutoring program during three semesters of 2010 and 2011 at a university in Korea. The survey tool was developed to collect data on perceptions of tutor competency level, learning outcome, and satisfaction with the tutoring program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utees perceived a tutor competency leve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utee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learning outcomes. Second, a tutor’s knowledge and attitude level were found to be variables affecting tutee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tutee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are more influenced by a tutor’s attitude level than knowledge level. From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educators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of tutor competency as a critical variable affecting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reference for promoting and developing outcomes of peer tutoring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본 연구는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튜티가 인식하는 튜터의 역량 수준이 튜터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서울 소재 대학교의 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 진행하는 2010-2011학년도 동료 튜터링(peer tutoring)에 참여한 1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튜티들이 인식하는 튜터의 역량 수준,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 성과 및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튜티에 의해 인지된 튜터의 역량 수준은 튜터링의 만족도와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링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튜터의 지식과 태도 수준은 튜터링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링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특히 튜터의 태도 수준은 지식 수준 보다 튜터링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학습자가 인식한 튜터링 학습성과에 상대적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대학의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에서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튜터의 역량 변인을 체계적으로 확인하고, 튜터링의 학습성과 제고 및 프로그램의 질적 관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원저 : 소아 청소년의 혈청 레지스틴과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의 관계

        김연경 ( Yeon Kyeong Kim ),안상미 ( Sang Mi Ahn ),조영은 ( Young Eun Jo ),최용준 ( Yong Jun Choi ),송경은 ( Kyoung Eun Song ),정선혜 ( Sun Hye Jung ),김혜진 ( Hae Jin Kim ),정윤석 ( Yoon Sok Chung ),이관우 ( Kwan Woo Lee ),김대중 대한비만학회 2005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4 No.3

        배경: 레지스틴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일종으로, 동물 모델에서는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물질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사람에서는 레지스틴과 비만,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계가 뚜렷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에 비해 동반 질환이 거의 없는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레지스틴과 비만 및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7세부터 17세까지 남자 69명, 여자 69명의 소아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체지방량은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으로 측정하였으며 복부의 피하지방 면적과 내장지방 면적을 측정하기 위해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공복 시 채혈한 혈청에서 포도당, 인슐린, 레지스틴, 아디포넥틴, 렙틴, TNF-α, IL-6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레지스틴은 비만군에서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6.02±2.83 vs 5.0±2.7 ng/mL, P<0.05). 레지스틴은 체질량지수 (r=0.225), 허리둘레 (r=0.273), WHR (r=0.228), 체지방량 (r=0.232), 체간부위 체지방백분율 (r=0.224), 피하지방 면적 (r=0.246), 내장지방 면적 (r=0.202), 렙틴 (r=0.251), TNF-α(r=0.270)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레지스틴과 인슐린, 포도당, HOMA-IR과는 상관성이 없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HOMA-IR은 체중 (B=0.283, P=0.003), 아디포넥틴 (B=-0.210, P=0.012), 성별(여성=1, B=0.295, P<0.001), 내장지방 면적(B=0.233, P=0.012), 중성지방(B=0.165, P=0.029) 등과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R2=0.369, P<0.001). 한편 다중회귀분석 결과 레지스틴은 허리둘레(B=0.264, P=0.002), TNF-α (B=0.220, P=0.009)와 독립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R2=0.134, P<0.001). 결론: 레지스틴은 비만과 관련된 지표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인슐린 저항성과는 관련성이 없어, 레지스틴이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 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매개인자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Resistin is a novel adipocyte-derived hormone that has been proposed to Link obesity with insulin resistance and diabetes in mice models. However, many studies in humans have failed to reveal link between circulating resistin Levels and adiposity or insulin resistance. Therefore,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to evaluate whether resistin correlates with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ifty overweight and 88 normal children, aged 7~17 yr (mean 11.7±1.9 yr) were enrolled. Body composition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scan, and CT scan at the umbilical Level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of abdominal fat. Serum glucose, insulin and adipocytokines (resistin, adiponectin, Leptin, tumor necrosis factor(TNF)-α, interleukin(IL)-6 were measured. Serum resis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verweight than control group (6.02±2.83 vs 5.0±2.7 ng/mL, P<0.05). Serum resistin Leve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waist to hip ratio (r=0.228), body mass index (r=0.255), total fat mass (r=0.232), trunk fat percent (r=0.224), abdominal subcutaneous area (r=0.246), visceral fat area (r=0.202), serum Leptin (r=0.251) and TNF-α (r=0.270) (P<0.05, respectively). No associations of serum resistin with serum fasting glucose, insulin Levels and HOMA-IR were detected. Using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models, body weight, adiponectin, sex, visceral fat area, and triglycerides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OMA-IR. Waist circumference and TNF-α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resistin Levels. Serum resistin Levels are associated with obesity but not with insulin resistance. Resistin is unlikely to be a major Link between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KCI등재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사례 분석 : 시각 예술 기반 문화다양성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연경(Kim, Yeon Kyoung),이동성(Lee, Dong S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20 美術敎育論叢 Vol.34 No.4

        이 글은 시각 예술 기반 문화다양성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 사례를 분석하였다. 시각 예술 자료를 통해 학생들이 삶의 총체적인 경험 속에서 자연스럽게 문화다양성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사 수준 교육과정 개발의 과정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교육적 이슈와 특징을 조명하였다.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수준의 문화다양성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능동적 해석이 필요하였다. 둘째, 문화다양성 역량은 학생들의 실생활을 기반으로 초학문적 융합의 형태로 접근하는 것이 유효하였다. 셋째, 문화다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들의 전이해가 공명할 수 있는 수평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시각 예술과 해석학적 순환 개념을 중심으로 문화다양성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문화적 차이에 대한 인식을 넘어, 문화적 성찰과 실천을 촉발할 수 있는 교육과정 전문성과 문해력 신장에 기여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the qualitative case of the teacher-level curriculum development focusing on development of a visual arts-based cultural diversity curriculum. In particular, based on the visual arts, the process of developing a teachers’ curriculum that enables students to naturally cultivat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y in the whole life experience was explored, and the educational issue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m were explored. The specific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teachers need to actively interpret national standards to develop cultural diversity curriculum. Secondly, it is effective to cultivat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y in the form of transdisciplinary convergence based on students real life. Thirdly, in order to develop a curriculum for cultural diversity, equal communication was needed so that the Vorverstndnis of teachers and students could be matched.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improve curriculum expertise and literacy by analyzing the cultural diversity curriculum developing process focusing on the visual arts and hermeneutic circ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 식생 변화

        정태준 ( Tae-jun Jung ),김연경 ( Yeon-Gyeong Kim ),김영진 ( Young-jin Kim ),정명희 ( Myung-hee Jung ),박경희 ( Kyoung-hee Park ),신창근 ( Chang-keun Shin ),박선홍 ( Seung-hong Park ),김영선 ( Young-su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의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복원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복원사업이 완료된 2017년도에 식생 모니터링을 위한 조사구 12개소와 대조구 4개소를 설치하였고, 2017년과 2020년의 상대우점치, 종다양도지수, 유사도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복원사업 시 수목이 식재되었던 조사구는 종다양도지수가 0∼1.4552로 나타났고, 대조구와의 유사도지수에서는 1개 조사구가 1.32%로 분석된 것을 제외하고 모두 0%로 나타났다. 조사구의 종다양도지수 및 유사도지수가 매우 낮은 것은 복원사업 시 식재된 수목이 고사하거나 멧돼지 피해, 유수에 의한 침식으로 유실되는 등의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복원사업 시 수목이 식재되지 않은 미식재 조사구는 종다양도지수가 0.9538∼2.3222로 나타났고, 유사도지수는 최대 8.33%까지 분석되었다. 국립공원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의 복원 공법 개발을 위한 장기 모니터링과, 미식재 조사구의 천이과정을 분석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obtain basic data for systematic restoration by analyzing the monitoring results of the Shimwon Valley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Project area in Jirisan National Park. In 2017, when the restoration project was completed, 12 monitoring plots and 4 control plots were installed for vegetation monitoring, and changes in the relative dominance,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between 2017 and 2020 were analyze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surveyed areas where trees were planted during the restoration project was 0-1.4552, and the similarity index with the control group was 0% except for one survey area at 1.32%. The very low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index in the survey areas were attributed to the loss of trees planted during the restoration project due to death, damage by wild boars, or erosion by running water. On the other han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0.9538-2.3222 in the monitoring plot where no tree was planted, and the similarity index was analyzed to be as high as 8.33%.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long-term monitoring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methods in the national park and analysis of the succession in monitoring plots where no trees were pla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