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활주체의 경험을 통해 본 광주 예술의 거리 장소성 연구

        김연경(Kim, Yeon-Gyeong),이무용(Lee, Mu-Yo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광주 예술의 거리에서 살아온 생활주체들의 경험의 관점에서 거리의 형성 과정과 장소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예술의 거리의 지리적 특성과 공간 변화, 광주 예술계의 흐름과 경제?정치적 상황을 검토함으로써, 예술의 거리가 지정되기 이전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예술의 거리의 장소성 파악을 위해, 선행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물리적, 행태적, 의미적 요소를 도출해내었다. 장소성 형성의 물리적 요소는 행정권력에 의해 드러난 요소와 생활주체가 생각하는 중요한 요소를 종합하여 파악했다. 행태적 요소는 생활주체가 거리에서 경 험하는 개인적이고 미시적인 역사적 과정을 심층인터뷰를 통해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의미적 요소는 의미경합의 장 으로서 생활주체들이 경험한 예술의 거리의 역사 속에서, 그들이 거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시사점은 생활주체의 인식과 관점을 통한 예술의 거리의 장소성 진단을 통해, 거리 정체성 확립과 통합적 장소브랜드 개발, 생활주체 네트워크와 파트너십을 위한 내발적인 장소성 만들기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laceness of Gwangju Art Street an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treet, look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life subjects living in this street. For this purpose, at first, history before art street was designated was traced by reviewing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spatial transformation of the Art Street with the trend of Gwangju art scene and economic?political situation. And then, in order to analyze the placeness of Gwangju Art Street, formation factors of placeness are extracted into physical element, behavior element and semantic element. Physical element and behavior element were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data analysis for individual and microscopic historical process of life subjects being experienced in the street that is contrary to policy and plan. Finally, a semantic element was identified through questionnaire as to how people recognize current art street through a history being experienced as a venue of conflict of meaning. It is implied that bottom up place making policies that may connect context of the formation of placeness with the viewpoint of life subject in the Art Street is required to be presented now.

      • KCI등재

        양측 난소 및 충수돌기의 경계성 점액성 종양과 연관된 복막 위점액종

        김연경 ( Kim Yeon Gyeong ),신동명 ( Sin Dong Myeong ),정연정 ( Jeong Yeon Jeong ),황지영 ( Hwang Ji Yeong ),김도균 ( Kim Do Gyun ),양회생 ( Yang Hoe Saeng ),이종임 ( Lee Jong Im ),심재철 ( Sim Jae Cheol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

        Pseudomyxoma peritonei is a rare condition characterized by mucinous ascites associated with peritoneal and omental implants. This is most commonly originated from mucinous tumor of the ovary or appendix.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pseudomyxoma periton

      • 장기기증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식수준과 태도

        박휘향,김연주,김진희,박미현,김연경,김연빈,김윤서,김지안,민지현,배성철,김진아,안성아,김은희,Park, Hwi-Hyang,Kim, Yeon-Joo,Kim, Jin-Hui,Park, Mi-Hyeon,Kim, Yeon-Gyeong,Kim, Yeon-Bin,Kim, Yoon-Seo,Kim, Ji-An,Min, Ji-Hyeon,Bae, Seong-Cheol,Kim 한국임상보건과학회 2015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Vol.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evel of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organ donation in university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correct education and promotion. Method. The sample is consisted of 90 the students related to health and 90 general college students ; total 180 students in J city.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obtain the results.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6th to 8th, 2013. For data analysis, the SPSS for window 12.0 K program was utilized to get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the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Results. Comparing the results between a series of health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a series of health students showed high level of more knowledge and more positive attitude about organ donation than general college students. A series of health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ut general college didn't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 To educate correct knowledge draw positive attitude about organ donation is needed to improve the level of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organ donation.

      • KCI우수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Presence

        이지연(Ji Yeon Lee),송해덕(Hae-Deok Song ),장승경( Seung Gyeong Jang),김연경(YeonKyoung Ki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7

        팬데믹 이후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가상 환경이 새로운 학습환경으로 대두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생자들의 상호작용, 학습지속의향, 학습몰입, 학습실재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ZEPETO 등의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가상 수업 공간에서 토론, 평가, 연구 활동 등 각종 학습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 총 199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최종 193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대부분이 대학생 혹은 대학원생(77.8%)이었다. SPSS 23.0, AMOS 23.0, PROCESS Macro로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로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결과,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몰입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연구결과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이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다섯째, 학습실재감이 상호작용과 학습몰입에 대한 조절효과가 연구결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실재감이 상호작용과 학습지속의향에 조절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학습환경에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학습지속의향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는 요인에 대하여 실증적인 근거를 검증한 의의가 있다. In the midst of a mixture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after the pandemic, the “metaverse” platform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aimed to verify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according to learning presence in order to sustain online learning using the metaver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learners who had experience taking online lectures using the metaverse. Data from 193 learne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n the metavers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Learning eng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and its effectivenes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was verified. Learning presence had a moderating effect on interaction and learning engagement. In a learning environment using the metaverse,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empirical basis for the factors in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persistenc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 식생 변화

        정태준 ( Tae-jun Jung ),김연경 ( Yeon-Gyeong Kim ),김영진 ( Young-jin Kim ),정명희 ( Myung-hee Jung ),박경희 ( Kyoung-hee Park ),신창근 ( Chang-keun Shin ),박선홍 ( Seung-hong Park ),김영선 ( Young-su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의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복원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복원사업이 완료된 2017년도에 식생 모니터링을 위한 조사구 12개소와 대조구 4개소를 설치하였고, 2017년과 2020년의 상대우점치, 종다양도지수, 유사도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복원사업 시 수목이 식재되었던 조사구는 종다양도지수가 0∼1.4552로 나타났고, 대조구와의 유사도지수에서는 1개 조사구가 1.32%로 분석된 것을 제외하고 모두 0%로 나타났다. 조사구의 종다양도지수 및 유사도지수가 매우 낮은 것은 복원사업 시 식재된 수목이 고사하거나 멧돼지 피해, 유수에 의한 침식으로 유실되는 등의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복원사업 시 수목이 식재되지 않은 미식재 조사구는 종다양도지수가 0.9538∼2.3222로 나타났고, 유사도지수는 최대 8.33%까지 분석되었다. 국립공원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의 복원 공법 개발을 위한 장기 모니터링과, 미식재 조사구의 천이과정을 분석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obtain basic data for systematic restoration by analyzing the monitoring results of the Shimwon Valley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Project area in Jirisan National Park. In 2017, when the restoration project was completed, 12 monitoring plots and 4 control plots were installed for vegetation monitoring, and changes in the relative dominance,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between 2017 and 2020 were analyze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surveyed areas where trees were planted during the restoration project was 0-1.4552, and the similarity index with the control group was 0% except for one survey area at 1.32%. The very low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index in the survey areas were attributed to the loss of trees planted during the restoration project due to death, damage by wild boars, or erosion by running water. On the other han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0.9538-2.3222 in the monitoring plot where no tree was planted, and the similarity index was analyzed to be as high as 8.33%.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long-term monitoring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methods in the national park and analysis of the succession in monitoring plots where no trees were planted.

      • KCI등재
      • KCI등재

        국립공원 내 전국 우수 산림생태 복원지역 식생 회복 평가

        정태준,김영선,김영진,김연경,조은숙,조동길,Jung, Tae-Jun,Kim, Young-Sun,Kim, Young-Jin,Kim, Yeon-Gyeong,Cho, Eun-Suk,Cho, Dong-gil 한국환경과학회 2022 한국환경과학회지 Vol.3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egetation recovery statu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Jungmeorijae, Jeungsimsa district restoration site, and the Shimwon Valley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site in Jirisan National Park. Compared to the control plots, the Jungmeorijae restoration site was analyzed to have height growth of about 73.5%, the average species diversity index of about 75.2%. and the average similarity index was recovered to 7.75%. In the case of the restoration site in Jeungsimsa district, the height growth compared to the control plots was about 69.2%, the averag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about 55.0%. and the average similarity index was recovered to 25.65%. In the case of the Shimwon Valley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area, the height growth compared to the control plots was about 32.6%, the average species diversity index about 176.7%. and the average similarity index was recovered to 0.85%. The restoration site of the Jeungsimsa district was planted with relatively large trees during restoration work, and it took a relatively long time(20 years). Also, the site had less limiting factors due to the low elevation, allowing the degree of vegetation recovery to be higher than that of other sites.

      • 산림 식생 복원지역 식생 변화 - 무등산국립공원과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정태준 ( Tae-jun Jung ),김영선 ( Young-sun Kim ),김영진 ( Young-jin Kim ),김연경 ( Yeon-gyeong Kim ),조은숙 ( Eun-suk Cho ),조동길 ( Dong-gil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2 No.1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훼손지를 최대한 자연적 상태로 복구하기 위해 1994년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 세석지구에 대하여 복원사업을 시행하였고, 그 후 국립공원 훼손지 복원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등 훼손지 복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복원 공사를 수행한 노력에 비교해 공사 완료 후 복원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지 않아 연구자료가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등산국립공원 중머리재, 증심사지구 복원지와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지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복원지의 식생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향후 다른 복원지의 식생 복원 모델 제시 및 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있다. 식생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중머리재 복원지와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지에는 조사구 3개소, 대조구 3개소를 설치하였고, 증심사지구 복원지는 조사구 4개소, 대조구 3개소를 설치하였다. 조사구 및 대조구 내 출현한 식물을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지피층으로 구분하여 교목층과 아교목층수목은 흉고직경(cm)과 수고(m)를, 관목층과 지피층은 수목의 수관폭과 수고(m)를 측정하여 종명과 함께 기록하였다. 조사한 결과 중 목본층을 대상으로 상대우점치, 종다양도지수 및 유사도지수를 분석하여 조사구별로 비교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조사구 수목의 층위구조는 2~4층, 평균수고 2.5~9.0m, 종수 10~18종, 평균종다양도지수 0.53~0.79, 평균유사도지수 0.85~25.65%로 나타났다. 중머리재 복원지는 대조구 대비 수고 생장 약 73.5%, 평균종다양도지수 약 75.2%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조사구와 대조구간의 평균유사도지수는 7.75%로 회복되었다. 증심사지구 복원지의 경우 대조구 대비 수고 생장은 약 69.2%, 평균종다양도지수 약 55.0%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조사구와 대조구간의 평균 유사도지수는 25.65%로 회복되었다.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지의 경우 대조구 대비 수고 생장은 약 32.6%, 평균종 다양도지수 약 176.7%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조사구와 대조구간의 평균유사도지수는 0.85%로 회복되었다. 증심사지구 복원지는 복원 공사 시 비교적 큰 나무를 식재했고, 복원 후 20년이라는 비교적 긴 시간이 경과했으며, 해발고도가 낮아 제한요인이 적어서 다른 대상지에 비교하여 식생 회복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 복원 과정에는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고, 따라서 복원 과정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대상지 입지별로 환경 요인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추후 효과적인 식생 복원 계획 수립을 위해서 다양한 대상지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대상지별 모니터링 결과 데이터를 구축하는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