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남철도가(湖南鐵道歌)>와 호남본선 공간의 심상지리 형성 연구

        김아연(Kim, A-yu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20 No.-

        <호남철도가(湖南鐵道歌)>는 20세기 초 호남본선 공간을 소재로 하는 철도창가이다. 이 글은 <호남철도가>의 이본 6종 가운데 철도박물관도록본을 주 자료로 선정하고 光山郡誌본, 放軒漫錄본, 오덕렬본은 보조자료로 활용하여 호남본선 공간의 심상지리를 고찰했다. 이 글은 구영서(具榮書)가 1926년 또는 1920년대 중반에 전남 광산군 본량면 덕림리 아동들을 교육하기 위해 <호남철도가>를 창작했다는 기록에 의거해 덕림리 동학들을 호남본선의 잠재적 이용객으로 간주했고, 호남본선 공간은 호남본선 잠재적 이용객이라는 특정 공동체에게 공적 장소가 되는 것으로 이해했으며, 이로써 <호남철도가>에 담긴 호남본선 공간의 지리정보가 공적 의미를 획득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그리하여 이 글은 구영서가 공적 장소인 호남본선 공간을 덕림리 동학 등 수용자와 기억 및 공유하고자 호남본선 공간의 과거, 현재를 보여주는 지리정보를 <호남철도가>에 재현한 것으로 보고, 구영서가 호남본선 공간의 지리정보를 통해 ‘호남본선 부설 이전을 회고하는 역사적 ·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심상지리’, ‘호남본선 부설로 한국인의 삶이 소거된 식민지 공간으로서의 심상지리’를 형성했음을 알았다. The Honam Railraod space at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became the source of Honam Railroad Song, one of Railroad So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image geographies of Honam Railroad space exhibited in Honam Railroad Song. This paper has taken Railroad Museum Catalog Version, the Gwangsan-gun Local Records Version, Oh Deok-ryeol’s Blog Version and Banhunmanrok Version of Honam Railroad Song for the basis of this study. There are several reports about Honam Railroad Song; Honam Railroad Song was written by Koo, Young-seo who was a village school teacher at Deongnim-ri in 1926 or the mid 1920s. Based on that, this paper has regarded the local children as potential passengers using Honam Railroad, and has understood that Honam Railroad is becoming a public space for potential passenger. By doing so, this paper has approached that geographic informations in Honam Railroad Song have public meaning. Then, this paper has considered that Koo, Young-seo presented geographic informations about the past and present of Honam Railroad as a public space to remember and share them with recipients including the local children. This paper, therefore, has concluded that image geographies of Honam Railroad space exhibited ‘looking back before the Honam Railroad as historical-cultural space’ & removing Koreans’ lives as a colonial place’ in Honam Railroad Song.

      • 국민안전교육 훈련 증진을 위한 재난안전체험관 활성화 방안

        김아연 ( Kim A Yeon ) 한국정책연구원 2017 한국정책논집 Vol.17 No.-

        교육과 훈련은 재난 발생에 대비하는 예방과 2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즉각적인 활동이기 때문에 국민들의 안전을 보장 할 수 있도록 각 개인에게 교육과 훈련의 장과 기회를 접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재난안전체험관의 역할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민들의 안전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연구하고, 현재 안전체험관의 설립운영 형태, 운영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안전체험관이 국민의 안전교육의 대표적인 기관이 될 수 있는 시사점과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안전교육 담당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별 환경을 고려한 안전교육 콘텐츠 개발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재원 확보가 마련되어야 한다. 즉, 안전교육이라는 것은 이론적인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체험교육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효과적인 교육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Education and training is the immediate activity for response to disaster and for minimizing the secondary damag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Disaster and Safety Experience Center is increasing and the center provides the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s for individuals to ensure the national safety. Based on the increasing need for national safety education,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importance of awareness toward a safety educa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afety Experience Center, target, and educational program to suggest implications and utilization plan for becoming the representative institute for the national safety education. First, the person in charge of safety education should be professional. Secondly, the development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considering the regional environment should be enhanced. Third, the source of revenue should be arranged for effective operation. The safety education should go beyond the theoretical education and provide a space for active experience education to accomplish effective education performance.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 실외놀이환경을 주제로 한 어린이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김아연(Kim, Ah-Yeon),조한별(Jo, Han-byul)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4

        어린이의 발달에 있어 주거환경과 어린이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지배적인 주거유형이 아파트로 변화하고 있지만, 성인 중심의 단지계획 관행 속에서 어린이들을 주거환경계획의 주체로 인정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의 입주자 그룹 중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주거 및 놀이 환경에 대한 유아들의 인지와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의 환경에 대한 인지가 일반적인 공간에서 구체적인 장소로 변화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성격의 오픈스페이스가 연계되고 구조화되어있지 않은 열린 공간을 선호하였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생활환경 속의 놀이공간을 디자인하는 프로그램은 유아들에게 다양하고 균형있는 발달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공동주택단지 전체를 어린이의 관점에서 재조명해야하며 시설물 위주의 어린이 놀이터에 대한 중대한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린이들은 더 이상 환경의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환경을 주체적으로 인지하고 재구성하는 능동적 이용자이자 생산자로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주거단지 내의 생활환경을 직접 디자인하는 참여 프로그램은 어린이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언어적, 사회적 발달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은 성인으로 자라는 과정 속에서 자아의 정체성과 커뮤니티의 소속감을 형성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heir neighborhood environments is very important in thei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Children are the foremost user group in apartment complexes, but they are not considered to be stakeholders in planning and managing their own environments. Through a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with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how children perceive their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the changes they want to make. There are three major findings in terms of the cognitive changes about their neighborhood, their preferred spaces, and the developmental aspect of participation. Findings from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have two implications: a planning and design aspect and a pedagogical aspect. The engagement in a participatory design program can help children empower themselves as significant users and constructors of the environment. The design experiences can also help children recover and reconstruct the meaning of home and neighborhood in their childhood, and provide a platform on which to form individual identities as well as a sense of belonging to a community.

      • KCI등재

        이병기 「제주(濟州)ㅅ길에」에 재현된 공간의 양상과 의미

        김아연 ( Kim A Yu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용봉인문논총 Vol.- No.52

        시조작가이자 문화민족주의자인 이병기(李秉岐, 1891~1968)는 박한영(朴漢永, 1870~1948), 권덕규(權悳奎, 1890~1950)와 더불어 1924년 7월 31일부터 8월 12일까지 제주에 다녀왔다. 이병기는 이때의 체험을 재현한 시조 「濟州ㅅ길에」를 지어 1924년 8월 25일자 『동아일보(東亞日報)』에 발표했다. 「濟州ㅅ길에」를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濟州ㅅ길에」에 재현된 공간의 양상과 의미를 고구하는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병기 일행의 제주 기행은 1920년대 문화운동의 일환이며, 목적지는 민족의 성지 중 하나인 한라산이다. 「濟州ㅅ길에」는 이병기의 제주 기행 체험을 투영한 『가람日記』 삽입시조를 초고로 하여 9개 부제 아래 20수로 완정되어 있으므로, 그 갈래를 내용상 기행시조, 형식상 연작시조로 분류할 수 있다. 「濟州ㅅ길에」의 내용은 이병기의 제주 기행 체험을 시간순으로 재현하고, 이병기가 체득한 영산강 유역-제주의 인문지리 정보를 소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濟州ㅅ길에」는 이병기가 현재의 관점에서 관찰한 조선의 자연 공간, 역사적 공간, 신성 공간 및 조선인의 일상 공간을 담고 있다. 이 공간들은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며, 영산강 유역-제주를 중심으로 지리적 상상력에 의해 재구성된, 새로운 조선의 국토의 표상을 독자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이병기는 자신과 독자들이 새로운 조선의 국토의 표상을 통해 조선인으로서 자아를 재발견하고, 조선인의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했을 것이다. Yi Byeung-gi(李秉岐) traveled to Jeju Island with Park Han-yeung(朴漢永) and Gwon Deok-gyu(權悳奎) from 31 July to 12 August 1924. He composed 「On the Road to Jeju」 on the experiences for part of the travel and published in 『Donga Ilbo(東亞日報)』 on 25 August 192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urpose of their travel was as a cultural movement during the 1920s. The travel destination was Mt. Halla, sacred mountain on Jeju Island. Comparing 「On the Road to Jeju Island」 with insertion Sijo works in 『Garam's Diary(가람日記)』, this paper has been estimated that a first draft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is insertion Sijo works. 「On the Road to Jeju Island」 consisted of 20 Sijo works below 9 subtitles. Accordingly, the genre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is Travel Sijo and Series Sijo. The contents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have represented experiences of his travel and Human Geographic Information of Yeungsan River-Jeju Island district.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are analyzed natural space, historic space, sacred space in Korea and Korean living space. The meaning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are represented image geographies of Yeungsan River-Jeju Island district. The image geographies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let Korean share and discover national identity.

      • KCI등재

        이론적 담론 접근에 의한 융합형 디자인교육 프로그램(MULCIP)의 방향 제안

        김아연(Kim, Ah Yea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3 No.-

        현행 문화예술교육 지원법은 2005년 제정된 이래 일부 개정되어 2013년 2월부터 시행되고 있으며 문화관광체육부의 전략적 투자로 모든 국민의 문화예술 향유와 창조력 함양에 관한 교육을 목표로 하여 이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교육부의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하여 학교 교과 외 별도로 창의성 계발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자율성 확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제도를 부여하는 등 기존의 관련 인력을 교육프로그램의 전문교육으로 유도하기 위한 방편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학교나 사업체 등 현장에서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은 비주류 교과로 인식되고 있으며 교육 프로그램 역시 체계화 된 구체적 대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개인의 특성에 따라 섬세하고 다양하게 제공되어야 하는 디자인 교육 분야는 특성상 제 3의 다른 분야와의 융합형 전략을 통해 더욱 실용적이고 전문적인 발전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융합형 디자인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이론적 배경들을 고찰하고 다섯 가지 이론적 담론을 근거로 구성과 프로세스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섯 가지 이론적 담론- 개인의 우수한 지능영역을 바탕으로 디자인과 접목하여 잠재성 자극을 위한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 Theory)", 점차 복잡해지고 있는 IT정보화 시대의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세상과 상호작용을 하기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기존의 시각문화를 중심으로 한 디자인 영역에서 벗어나 사회, 문화적 해석능력과 인문학적 영역으로서의 확장을 위한 ‘디자인 담론(Design Discourse),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와 평가에 있어서 과정의 기록과 전반적인 평가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방법적 이론으로서의 ’아트 프로펠(Arts PROPEL)", 마지막으로 글로벌 컨텐츠의 생산과 해석을 위한 ‘다문화 접근(Multicultural Approach)"의 이론적 고찰을 하여 프로그램 구성에 적용하였다. 본론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실제 적용 가능한 디자인 교육프로그램(MULCIP)의 방향을 제시하여 위 다섯 가지 이론을 적용해 고안한 프로세스와 응용범위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것을 통해 지속가능한 연구와 디자인적 사고의 신장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융합형 디자인 교육의 바탕이 될 수 있는 이론적인 담론들을 통해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괄적 구성을 제안하고 학습자의 창의성과 종합적 문제 해결능력의 향상을 기대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후속 프로그램의 세부적인 분야와의 응용과 프로그램의 검증을 위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융복합 학문의 저변을 확대하고 미래 발전적 국가 창의성을 증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Support for Art and Culture Education Act in effect currently have been partially revised since its enactment in 2005 and is being enforced as of February of 2013. With the strategical investment of Ministry of Sports, Culture and Tourism aiming for educating citizens on enjoyment of cultural art and creativity, its interest is on the rise. The 7th education process of Ministry of Education which is currently in application organized creativity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separately from school curriculum to heighten creativity of students and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xpansion of autonomy. Therefore, means to lead the existing manpower to expert trainer of education program such as grant cultural art trainer license. However, the education to increase creativity with the base in design are recognized as non requirement subject in the actual fields such as schools and businesses also the education program is in lack of systemized and specific plans. Design education field which should be provided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can accomplish more practical and professional improvement through fusion type strategy with other, perhaps the 3rd field. Thus the research sought theoretical background for development of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program and present direction for process and composition with basis on five theoretical discourse. For that five theoretical discourse were applied to the program composition with theoretical study and they are-(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stimulate potential by grafting design based on excellent intelligence range of individual, (Media Literacy) for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through various media in ever complicating IT information era, (Design Discourse) to escape from design territory focused on existing visual culture humanistic territory expansion, (Arts PROPEL) as methodical theory, when it comes to education program effect and evaluation,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overall evaluation and recording of process and lastly, (Multi-cultural Approach) for 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global contents. In the last part of text, suggested the application scope and process created by applying above five theories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actual applicable design education program (MULCIP) and intended to assist in sustainable research and heightening of design idea. As a result, the research presented general composition of design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oretical discourse which can be the ground for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and intended to expect improvement on creativity of learner and overall problem solution ability and moreover, expand the base of fusion study by constructing foundation for program verification and application with detailed area of the post-program.

      • Track 2 : 컴퓨터교과교육; 정보의 역사를 활용한 전인교육을 위한 정보 교재의 개발

        김아연 ( A Yoeun Kim ),송태옥 ( Tae Ok So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정보 교과에서 전인교육을 지향하는 수업을 하고자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고자한다. 교육용 소재는 정보의 역사 가운데 있었던 역사적 사실을 활용하였으며, 이 사실을 바탕으로 전인적 목표를 구성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교재를 설계하였다. 기존의 교수학습 과정안이 지닌 문제점을 개선한 ’단계형 과정안‘의 양식을 개발하고, 이 양식에 맞게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제국신문』에 수록된 철도 소재 시가 연구

        김아연 ( Kim A-yu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7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0

        『제국신문』에는 철도 소재 시가 7편이 게재되어 있다. 1903년에 발표된 2편, 1906년에 게시된 5편이 그것이다. 이 글은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의 내용을 발표 시기별로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먼저, 1903년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러일 전쟁(1904 1905) 이전에 열강들이 대한제국 철도부설권을 경쟁적으로 침탈하려던 정황을 형상화하고, 경의철도부설권을 수호 하려는 대한제국 정부와 민간의 의지를 담고 있다. 다음으로, 1906년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한일의정서(1904), 을사늑약(1905) 이후 일본이 대한제국의 철도부설권을 독점 했고, 철도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을 철저하게 배제했으며, 역세권의 이점에 주목하여 용산에 일본인 거주지를 구축한 상황을 재현한 한편, 기적 소리를 청각적 심상으로 활용하여 독자에게 계몽의식의 각성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이 글은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조명했다. 첫째,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시대의 흐름과 요구에 맞춰 시가가 변모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둘째,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신문 매체를 통해 대한제국의 철도부설권 및 국가의 자주성 되찾기 여론을 형성하는 새로운 글쓰기 방식이다. 셋째, 한국 철도문학의 계보학적 측면에서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대한매일신보』 철도 소재 시평가사에 선행하며 1907년부터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전에 발표된 『대한매일신보』 철도 소재 시평가사와 상호보완 관계를 맺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한 결과, 이 글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러일 전쟁 발발 전후 대한제국의 정세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이에 따라 외세의 철도부설권 침탈이 국제적·정치적·사회적으로 민감한 문제였음을 말해 준다. 둘째, 『제국신문』철도 소재 시가는 전통 시가의 형식 위에 철도 담론을 공적 영역으로 이끌어냈고 이 계보를 『대한매일신보』철도 소재 시평가사가 계승함으로써, 근대에 전통 시가의 형식이 철도 담론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유효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mment poetry on current topics of railway in Jekuk Sinmun(founded in 1898). The two of them were composed in 1903, and the five were published in 1906. The contents of poetri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ormer represented events in Korea railway history which the powers competed over the railway concession of Korea Empire before the Russo-Japanese War. Secondary, the latter were a realistic depiction of events happened after signing the Japan-Korea Treaty of 1904 and 1905. At that time, Japanese Imperialism monopolized the railway concession of Korea Empire. Meanwhile, 1 poetry of them needed the awakening enlightened consciousness to readers. Based on that, this paper has analyzed the significances of Jekuk Sinmun`s railway poetries. These poetries have shown the changing aspects along with the flow of time, are a new writing to regain railway concession and national independence of Korean Empire through the newspaper, and complement Daehan Maeil Sinbo`s railway gasa composed in 1907, 1908, 1909 and 1910 on genre of Railway Literature in Korea. This paper, therefore, has drawn conclusions from the discussion described above. These poetries have shown a few things: Affairs of Korea Empire was changed at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powers competed over the railway concession of Korea Empire was a internationally, politically and socially sensitive issue. In addition, the form of poetry was a medium through which to transfer discussion of railway the modern.

      • KCI등재

        발달지연아동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의 효과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지신 ( Ji-shin Kim ),김아연 ( A-yeon Kim ),현진 ( Hyun-jin Kim ),민그래 ( G-rea Min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6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가 발달지연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유아 및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 5명이며, 사회성 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2개 집단으로 나누어 총 20회기와 32회기로 소집단 놀이치료를 실시하였다.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를 통해 나타난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집단은 지적 장애 또는 자폐성 장애가 있는 아동들 2명이다. 치료 초기에는 병행 놀이처럼 진행되었으며, 회기가 진행되면서 아동들은 상대 아동의 소리와 움직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이후 상대 아동의 놀이 및 언어 표현 모방, 자신의 놀이로의 초대, 상대 아동의 관심을 유도하는 행동 증가 등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2집단은 언어ㆍ인지ㆍ사회성 면에서 발달 지연을 나타내고 있는 3명의 아동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함께 놀이하고 싶은 욕구는 있으나 관심 범위가 제한적이고 놀이방법이 미숙하였다. 치료 초기에는 상대 아동과 갈등 상황을 많이 겪게 되었는데, 회기가 진행되면서 아동들은 맥락에 맞는 언어 사용 및 자신의 요구와 감정에 대한 표현이 증가하였고, 또래 간 갈등상황이 감소되는 변화를 보였다. 비구조화 소집단 놀이치료의 진행을 통하여 치료자가 자연스러운 놀이상황에서 놀이를 주도하지 않고 아동의 주도성을 격려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아동들로 하여금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와 적응행동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발달지연 아동들의 특성을 고려해 비구조화된 소집단 놀이치료를 진행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한 기초 연구라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unstructured small-group play therapy on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ubjects were five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level of social development and play therapy was administered to each group for 20 and 32 sessions respectively. For Group 1 of two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r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sessions were conducted like parallel play at the early stage and the children started to become interested in sound and movement of their partners over time. After the session, they showed positive changes such as imitation of their partners’ play and language expressions, invitation to their play, and increase in behaviors to attract their partners’ attention. Group 2 consisted of three children who had developmental delay in language, cognition, and social development. They had desire to play together, but the range of their interest was limited and they were inexperienced in how to play with others. At the early stage of the therapy, they had lots of conflicts with play partners. As the sessions went, however, their use of proper language and expression of their needs and emotions increased while conflicts between play partners decreased. These findings imply that encouragement of the children’s initiative by the therapist in the natural play setting improved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and adaptation to social context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is a basic study that conducted unstructured small-group play therapy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explored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대구시 대중교통서비스의 접근성에 대한 환경적 형평성 분석

        김아연 ( Ah Yeon Kim ),전병운 ( Byong Woon Ju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대구시를 사례로 대중교통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의 차이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을 분석하였다. 2005년을 기준으로 한 인구 및 주택 센서스 자료와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위치자료를 이용하여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커버리지 방법을 이용하여 대중교통서비스권을 설정하고, 맨 휘트니 U 검정을 사용하여 서비스권 내·외부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비교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시 외곽에 위치한 동구, 수성구, 달서구, 북구는 다른 구들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반면에 중구, 서구, 남구는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구시 전체에서 남성 및 여성비율과 미성년자비율에 대해서는 환경적 불형평성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령자비율과 기초생활수급자비율에 대해서는 환경적불형평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환경적 불형평성의 가장 주된 원인은 저소득계층이 접근성이 좋은 대로변 주거지역의 비싼 임대료나 지가를 지불할 수 없으므로 대중교통시설에서 멀리 떨어진 노후화된 불량주거지역에 거주하고 이들 중에는 고령자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의 설치 관련 법률이나 규정 등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대중교통서비스 시설의 분포에 대해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사회경제적 분포특성을 고려하여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을 설치하고 버스 및 지하철의 노선을 선정하는 것과 같은 대중교통정책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equity of the accessibility to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the city of Daegu. The 2005 census data as well as bus stop and subway station datasets were integrated for building the GIS databas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areas were then identified by a coverage method. Mann Whitney U test was used for statistically comparing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ver different levels of access to the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Both Dong-gu, Suseong-gu, Dalseo-gu, and Buk-gu located outside of the city had worse accessibility than others while Jung-gu, Seo-gu, and Nam-gu had better accessibility than others. There appeared no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in terms of the percentages of men, women, and teenagers over the city of Daegu whereas there existed some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in terms of the percentages of people above the age of 65 and people below poverty line. This environmental inequity pattern would be caused by some factors. Firstly, the lower income class has tended to reside in the declined or blighted areas far away from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since this class can not afford to pay expensive rents and land prices around the main roads with higher accessibility. Many old people belonging to the lower income class also reside in the declined or blighted areas. Secondly, there has been no law to locate bus stops and subway stations considering resid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facilities has been not managed systematically by the city government. This research would shed insight on building the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to locate bus stops and subway stations and to select the routes of buses and subways consid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reside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