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천추태후의 정치적 활동

        김아네스(Kim Agnes) 한국인물사연구소 2008 한국인물사연구 Vol.10 No.-

        이 글은 『고려사』 후비전에 나타난 천추태후에 관한 기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천추태후의 정치적 활동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고려사』 천추태후전에 따르면 천추태후는 김치양과 사통하여 아들을 낳고, 그 아들을 왕위 계승자로 삼으려고 하였다고 한다. 천추태후가 권력과 욕망을 위하여 김치양과 사통하고 왕위를 엿보았다고 보았다. 『고려사』를 편찬한 남성 유학자들은 천추태후를 음란하고 위험한 여성으로 보고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천추태후와 김치양의 관계는 사적 애정보다 공적 정치의 측면에서 바라보아야 한다. 천추태후는 승려출신이며 외족이었던 김치양을 만나서 불교신앙에 의지하고, 목종의 후원세력을 결집하고자 하였다. 목종이 왕위에 오르자 천추태후는 왕태후에 책봉되었고 김치양은 중앙 정계에 진출하였다. 천추태후와 김치양은 정치적인 동반자 관계를 이루면서 목종대 정국을 이끌어갔다. 목종 12년에 천추태후와 김치양이 그들의 아들을 왕위에 올리기 위하여 불궤를 꾀하였다는 반란설이 제기되었다. 이 반란설은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 천추태후와 김치양은 실제 왕위를 엿보는 어떠한 행동도 취하지 않았고, 목종의 처벌조치도 없었다. 천추태후와 김치양의 반란설은 대량원군을 추대하는 세력이 조작한 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목종이 죽고 현종이 즉위함으로써 천추태후는 나쁜 태후의 모습으로 기록되고 평가되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political activities of Cheonchu the Queen Mother. According to the Goryeosa “Biography of Cheonchu the Queen Mother”, she had an extramarital affair with Kim Chiyang, had a son with him, and tried to have the son succeed the throne. The Confucian scholars who compiled Goryeosa considered Cheonchu as a lecherous and dangerous woman. The relationship between Cheonchu the Queen Mother and Kim Chiyang should be explored in terms of public political partnership rather than private relationship between a man and a woman. When she met Kim Chiyang who was originally a monk and maternal relative, she relied on belief in Buddhism and tried to consolidate supporters of Mokjong. After Mokjong ascended to the throne, Cheonchu was installed as queen mother and Kim Chiyang obtained a government position and was promoted. Cheonchu and Kim Chiyang maintained their political partnership in Mokjong era. In the 12th year of reign by Mokjong, 'the theory of revolt by Kim Chiyang' has been raised, which asserted that Cheonchu the Queen Mother and Kim Chiyang had conspired to help their son ascend to the throne. However, Cheonchu and Kim Chiyang did not take any action coveting the throne. Neither did Mokjong take any measure to penalize them. Considering this circumstances, 'the theory of revolt by Kim Chiyang' was a rumor fabricated by a political party who tried to take the crown from Mokjong and hand it over to Hyungjong. As Cheonchu's political opponent Hyunjong acceded to the throne, Cheonchu was recorded and evaluated as a bad queen mother.

      • KCI등재
      • KCI등재

        고려 최우 집정기의 史官

        김아네스(KIM, Agnes) 한국사학사학회 2013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8

        이 글은 고려 崔瑀 집정기 史官의 활동과 성격에 관하여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사관은 國史를 기록하고 편찬하며 보관하는 일을 담당하는 관료를 가리킨다. 고려 전기 사관에는 과거에 합격한 유학자 출신의 문신을 임명하였다. 무신집권기에 이르면 장군 출신의 무신이 사관을 겸하였다. 최우정권에서는 이를 고려 전기의 방식으로 되돌려서 과거 출신의 유학자 관료를 사관에 임명하였다. 예외적으로 집정 최우가 무신으로 監修國史의 자리에 올랐다. 최우집권기 사관은 최우의 문객과 같은 측근의 문신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사관의 주요 임무는 실록과 史藁 등 국사를 기록하고 편찬하는 것이었다. 최우집권기 고종 14년에 사관들이 『명종실록』을 편찬하였다. 실록의 편찬에 참여한 편수관은 왕실 측근과 최우의 측근이었으며 문장으로 이름을 날린 대표 문신이었다. 최우는 명종의 손자 고종과의 연대를 통하여 고위 무신세력을 견제하고 자신의 권력 기반을 강화하고자 실록을 편찬하는 사업을 벌였다. 사관들은 『명종실록』의 논찬을 통하여 명종의 失政과 초기 무신정권의 역사적 과오를 비판하였다. 실록의 편찬에 참여한 사관들은 최우의 정치적 의도를 반영하고 그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또한 최우집정기 사관은 史藁를 작성하지 않거나 史館에 납입하지 않았다. 최우의 잘못을 기록하여 후세에 남길 수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사관 박훤은 최우의 공적을 과장하여 그를 역사적 인물로 미화하는 역사책을 만들었다. 여러 사관들이 나라의 역사를 왜곡하였고 사관의 직분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다. 이들은 고려 왕조의 사관으로서 해야 할 직무보다 최우의 측근 문객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하였다. 최우 정권 아래 사관은 정치권력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사관은 國史를 장악하려는 집정 최우의 의도에 따라서 활동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roniclers during Choi U's rule in Goryeo Dynasty. Chroniclers are officers who record, compile, and conserve a nation's history. In early Goryeo, chroniclers were appointed among the pool of the originally scholars and passed a national examination. Under the military rule, however, military officers such as generals were appointed to serve as chroniclers. Choi U administration changes the policy following the earlier one so that the scholarly officers from the national examination could be selected as chroniclers. The only exception to the scholarly background was Choi U. He took the highest position in the nation's chronicle agency even though he was a military general. Most of the chroniclers during Choi U's rule consisted of civil officers known as Choi U's close servants from his inner circle. The chronicler's essential duties were recording and compiling national history including royal history and draft history of history book. Chroniclers compiled Royal History of King Myeongjong in the 14th year of Gojong's reign while Choi U virtually ruled the country. Chronicl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were mostly servants close to royal family, and civil officers supporting Choi U. Choi U made an alliance with King Gojong who aspired to publish royal history of his grandfather, King Myeongjong so that he can keep military powers in check while strengthening his own power. In the remarks on Royal History of King Myeongjong, chroniclers criticized King Myeongjong's maladministration and earlier military ruler's political blunders. Chroniclers for the royal history compilation reflected Choi U's political intent and contributed to reinforce his foothold. In addition, chroniclers during Choi U's rule did not either record the history or submit it to the nation's chronicle agency. Owing to Choi U's grace, they did not want to record Choi U's wrong doings and hand down the history book to future generations. A chronicler named Park Hwon published a history book exaggerating Choi U's achievement and glorifying him as a historical figure. Many chroniclers distorted the nation's history and did not perform their duty properly. They were more of faithful private servants of Choi U rather than chroniclers of Goryeo dynasty. Chroniclers during Choi U's rule were greatly influenced political power of the time. Choi U occupied the nation's history through his close servants, chroniclers.

      • KCI등재

        고려 전기의 外命婦

        김아네스(Kim, Agnes) 부산경남사학회 2013 역사와 경계 Vol.87 No.-

        외명부는 나라에서 봉호를 받은 부인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이 글에서는 왕녀등 왕실 여성을 제외한 일반 지배층 여성을 중심으로 고려 전기 외명부의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외명부의 구성과 종류, 외명부 봉증제의 성립과 운용, 그 정치적 기능과 사회적 의미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외명부의 구성을 보면 國大夫人, 郡大夫人과 郡君, 縣君등이 있었다. 외명부의 종류는 그 자격을 기준으로 볼 때 (1)후비의 모와 조모, (2)공훈을 세운 신료의 모와 처, (3)일정 직품 이상 관료의 모와 처, (4)공을 세운 부인 등이 있었다. 대다수의 외명부는 세번째 유형에 속하는 문무 관료의 어머니와 아내이었다. 고려 초 성종대에 일정 직품 이상 관인의 모와 처를 봉증하는 제도가 성립하였다. 현종은 지배층 여성을 외명부로 봉작하는 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하였다. 외명부의 봉증 대상을 보면 대체로 직사 常參이상과 산관 4품 이상 관료의 모와 처이었다. 봉증 시기를 보면 신왕의 즉위, 왕태후와 왕태자의 책봉 등 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졌다. 그 봉증은 국왕이 특별한 계기가 있을 때에 사면 등과 함께 베푼 은사의 하나이었다. 외명부의 봉증은 국왕이 상층 관료를 우대하여 그 모와 처에게 명예로운 칭호를 내리는 정치적 기능을 하였다. 고려 사회에서 외명부는 지배층 여성을 의미하였다. 외명부의 봉호는 특정 부인의 공적 칭호이면서 사회적 지칭어로 쓰였다. 그 명호에는 본인의 출신 관향을 읍호로 표기하여 부인의 가문의식, 벌족의식을 나타내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외명부의 봉증은 문벌 가문 출신의 여성을 사회적으로 공인하는 의미를 가졌다. 이러한 외명부 제도를 통하여 문벌을 중시하는 귀족사회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Oe-Myeong-Bu referred to the ladies who were invested with the title of nobility from the government. This paper aims the nature of Oe-Myeong-Bu during early Goryeo. The study explored the structure and the operation of Oe-Myeong-Bu as well as its function and social significance. Oe-Myeong-Bu consisted with Gug-Dae-Bu-In, Gun-Dae-Bu-In, Gun-Gun and Hyeon-Gun. Members of Oe-Myeong-Bu included the Queen’s mothers and grandmothers, the wives of the officials who made an outstanding achievement, the mothers and wives of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lady who made an outstanding achievement. Most of the members of Oe-Myeong-Bu were the mothers and the wives of the nation’s civilian or military officials. The system of investing official’s mother and wife with the title of nobility was established under the reign of King Seongjong. King Hyeonjong enforced the system in earnest. In general, the invested the mothers and wives of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ith the position of Sang-Cham-Gwan and the 4<SUP>th</SUP> ranking of San-Gwan or higher ranking. When the nation had joyful events such as a king’s ascension to the throne or the investiture of a crown prince and a mother of king, the king gracefully invested the mothers and the wives of government officials with the title of nobility. The title of Oe-Myeong-Bu represented the official status of noble-class women, and served as public recognition of the ladies. The titles of Oe-Myeong-Bu contained the birthplace or the domicile of the ladies who were given the titles, which revealed the ladies’ distinguished family backgrounds. The system of Oe-Myeong-Bu during early Goryeo reflected the aristocratic society’s emphasis on family backgroun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고려시대 지방형정과 목

        김아네스 ( Agnes Kim ) 대구사학회 2004 대구사학 Vol.77 No.-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criminal justice system including the trial process and enforcement of the sentences in Koryo era by focusing on the judicial function of Province. Province supervised criminal procedures by controlling outlaws and ensuring speedy and fair trials to them. Provincial Governor and other officials in the Province were in charge of administration of criminal system including investigation, arrest, arraignment, trial, sentencing and imposition of penalties. The local criminal justice system in Koryo was layered with three levels; 1) the central government 2) Kyesoogwan(Province and Regional Military Command) and 3) Kunhyon(Districts and Counties). The central government instructed Provincial officials to inspect and oversee the judicial administration of Districts and Counties in order to prevent the abuse of power. Provincial governor, the chief justice of the local judicial system, presided trials and administered justice along with other officials in the Province such as Pangwan and Sarokjangsogi. When they wanted to sentence a severe punishment such as death penalty, several officials in the justice system exchanged their opinions and sometimes compromised their opinions before they reached a ruling. Furthermore, in felony cases, they secured evidences and confession from defendants through three times of arraignments. Province also had to submit the report over to the central government three times. This mechanism was designed to prevent people from being sentenced to unfairly severe punishment. Provincial Governor played a key role in local judicial administration in Koryo dynasty. Province supervised local justice system and the trials of Districts and Counties. Provincial Governor and officials performed criminal and judicial duties as key judicial officials. The central government made devices to prevent arbitrary decision making and protect people from the abuse of power by the judicial officials.

      • KCI등재

        고려 무신집권기 왕권과 의례 - 왕실 조상 숭배의례를 중심으로 -

        김아네스 ( Kim Agnes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80

        이 글은 고려 무신집권기 국왕이 주재한 주요 의례를 왕권의 위상과 관련하여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왕실 조상에 대한 숭배 의례인 왕실제사와 국휼의례를 중심으로 정치의 두 구심, 즉 국왕과 무신집정의 시각에서 의례의 설행 의도 및 의례 개정과 참용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명종은 왕실 조상에 대한 숭배의례를 국왕의 위상을 확인하고, 왕권을 확립하는 데 활용하였다. 재위 초반 명종은 경령전과 태묘에서 제사를 지내서, 자신이 태조의 후계 왕이며 왕정의 최고 책임자임을 과시하였다. 재위 후반 명종은 공예태후의 국휼을 주관하면서 신민과 구별되는 왕실의 존엄을 드러내고 왕권의 위상을 높이려 하였다. 최씨정권이 성립하면서 국왕의 권력은 미약해졌다. 왕권을 표상하는 왕실 조상 숭배의례를 주관하는 일은 국왕의 권리였지만 최충헌은 국휼의 상기를 단축하고 예식을 격하시켰다. 최씨집정은 국왕의 폐위와 옹립을 좌우하며 태묘에 봉안할 신주를 정하고 소목의 위차를 개정하였다. 왕통을 상징하는 의례를 개정함으로써 국왕의 실질적 권위가 향상되는 것을 제어하였다. 최우가 집권자가 되면서 최씨 집정 집안의 상장례에 국휼의 왕례와 왕후례를 참용하였다. 이에 따라 왕실의례가 가지는 특수성이 사라지게 되었다. 최항집정기에 고종은 최씨집정이 권력을 승계한 것을 기념하며 왕실 조상에게 시호를 가상하였다. 최씨정권 아래서 왕들은 의례를 주재하는 권한을 온전히 행사하지 못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oyal rituals hosted by the kings during Goryeo dynasty under the military regime. The study focuses on royal ancestral worship ceremonies and funerals. It explores the administration and the alteration of rituals, and the abuse of power,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two major powers in the dynasty: the king and the military rulers. King Myeong-jong utilized the royal ancestral worship rituals to affirm his status as the highest ruler in the royal court and to also establish the royal power. King Myeong-jong, in his early years of reign, conducted ancestral ritual ceremonies at Gyeong-ryeong-jeon and Royal Ancestral Shrine in order to worship the founding King Taejo. Through these ritual ceremonies, the king affirmed that he was a part of King Taejo’s royal lineage, and he had the highest status in the dynasty. Later, when King Myeong-jong hosted the funeral of his mother, Empress Dower Gong-ye, he dignified the royal family over the common people. When Choe military regime established, the king’s power dwindled. It was the king’s right to command royal ancestral ceremonies and funerals. However, Choe Chung-heon downgraded royal rituals by shortening the mourning period for royal funerals. Choe clan rulers exerted their power by enthroning or dethroning the king in addition to selecting the ancestral tablets along with their placement in the Royal Ancestral Shrine. The Choe rulers rewrote the royal rituals that signified royal lineage in order to prevent the kings from possessing heightened royal power. After Choe Woo, son of Choe Chung-heon, became the second ruler of the military regime, the funerals of the Choe family were conducted as if they were royal rituals. During Choe Hang’s regime, the third generation of Choe, King Gojong conducted a congratulatory ceremony celebrating the succession of power in the Choe clan. The significance of the royal rituals hosted by the king during the military regime has changed based on the power structures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ritual. The significance of the royal rituals and the king’s status and power has changed as the Choe clan took over the military regime.

      • KCI등재

        고려시대 개경 일대 名山大川과 국가 제장

        김아네스(Kim, Agnes) 부산경남사학회 2012 역사와 경계 Vol.82 No.-

        이 글은 고려시대 개경 일대 명산대천으로 祀典에 등재한 국가 제장 위치와 그 의미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개경의 산천 제장으로는 松嶽, 龍岫山, 進奉山, 西江 등이 있었다. 개경 주변의 산천으로는 개성현의 大井, 永安城이 사전에 실리었으며, 우봉군의 九龍山, 朴淵, 因達巖과 정주의 白馬山, 덕수현의 德積山, 송림현의 五冠山, 임진현의 臨津, 적성현의 紺嶽 등이 국가 제장이었다. 명산대천의 제사는 고려 초부터 이루어졌다. 태조는 고을의 산천제를 국가제사로 편성하여 민심을 안정시키고 지역의 세력가를 지배체제 안으로 편제하고자 하였다. 성종 때에는 국가제사 체계를 개편하면서 산천제를 정비하였다. 개경을 중심으로 하여 산천제를 정비하고 제장을 구성하였다. 송악과 서강 등 개경 주변의 국가그이 산천 제장이 밀집하였다. 나라에서는 개경 인근 명산대천에 사시로 태뢰를 바쳐서 제사하였다. 이는 대사 또는 중사의 예에 준하는 것으로 개경 일대의 산천제를 다른 지역의 것에 비하여 중요하게 여겼음을 알려준다. 고려에서는 명산대천을 악진해독과 산천 등으로 나누어 변사하지 않았다. 명산대천 사이의 위차는 봉작의 수여를 통하여 나타났다. 개경의 송악을 수위로 한 명산대천의 위계에 따른 봉작 체계를 갖추었다. 개경 일대 산천 제장에는 요충이나 왕실의 성소가 많았다. 송악, 용수산, 진봉산, 구룡산, 오관산, 감악 등은 도읍과 나라를 지키는 요충이었고, 서강과 임진은 수운 교통의 중심이었다. 또한 개경의 산천 제장에는 왕실의 발상지이며 선대의 역사가 깃든 성묘가 많았다. 송악, 서강, 구룡산, 오관산, 개성, 대정, 영안성 등이 대표적이었다. 국왕과 왕실은 이러한 산천을 국가 제정으로 삼았다. 이 점에서 개경의 주요 제장은 왕실 성소로서의 의미를 가졌다. 나라에서는 여기에 산천제를 올림으로써 성소를 기념하였고 왕실을 신성화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structuring of the national ritual sites on great mountains and streams in Gaegeong during Goryeo dynasty. In Goryeo, great mountains and streams were registered in the Ritual Codes and ritual ceremonies were held on the sites. Noted ritual sites of the mountains and streams in Gaegeong included Mt. Songak, Mt. Youngsusan, Mt. Jinbongsan, and Seogang river. Ritual ceremonies in the great mountains and streams began early Goryeo dynasty. King Taejo incorporated folk mountain god rituals into national level ceremonies in order to calm the public sentiments. King Seongjong reorganized the natioanl ritual sites on Great Mountains and streams. National ritual ceremonies for mountains and streams were held around Gaegeong with Mt. Songak the highest position. It was believed that gods of the great mountains and streams where the rituals were served had spiritual power. The administration wished the god protect the national capital and the country by demonstrating the spiritual power at the ritual ceremonies. Ritual sites in great mountains and streams around Gaegeong were mostly located in important places in terms of military and transportation purposes. Mountain gods and river gods as a national guardians positioned themselves around the capital city and its fortress or other essential places for the purpose of protection and transportation. In addition, Goryeo dynasty originated from the great mountains and streams in Gaegeong, therefore, the mountains and streams have sacred places with royal history. Goryeo dynasty connected its royal history with gods of mountains and rivers so that it can sanctify the dynasty and consolidate its auth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