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제주지역 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 현황과 과제

        김순자 ( Soon Ja Kim ) 영주어문학회 2013 영주어문 Vol.26 No.-

        Jeju is quickly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As a result, some problems that marriage-based immigrants are suffering from have increased. They are mainly caused by the lack of communication. Therefore, Korean education is essential to become an actual integrated society. This study shows the current situations of Korean Education in Jeju and six ways to solve present problems of it. First, there are not enough Korean classes in Jeju for the rising number of married immigrant. 28 Korean classes 22 classes for Korean language, 4 classes for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and 2 classes for Jeju dialect and 84 Home visiting classes of Korean and Korean culture are held. Those classes are supported by Department of Gender, Department of Justice and others. 77.2% of them are, however, basic Korean courses so intermediate Korean courses are needed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Second, only about 500 married immigrants -23.1%, out of 2,158 marriage based families are taking Korean classes. To overcome communication problems, the main source of social conflict of married immigrants, we need to provide more systematic education and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It is even more important to improve Korean education because it could affect their children`s education. Third, most of marriage-based families live in rural or suburban areas. Some classes at multicultural community facilities are needed to be held in those areas to give them actual help. Fourth, Jeju dialect education and new Korean textbooks including Jeju dialect are needed for better communications at home. Five, many conflicts are caused by mis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 as well as language. That is why we need multicultural educations for marriage-based families and their neighbors. Six, it is important to give Korean teachers refresher training and better treatment to hold qualified Korean classes.

      • KCI등재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관계사 쟁점 연구

        金順子(Kim, Soon-Ja) 역사교육연구회 2017 역사교육 Vol.143 No.-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histor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relations of Goryeo period in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used from 2014 and to suggest a new historiography. The current studies on the foreign relations of Goryeo period consist of three aspects: (1) investiture and tribute relation with Chinese dynasties ; (2) anti-invasion history ; (3) international exchange history. The proportions of (1), (2), and (3) in the cur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2.2~7.8%, 55.8~58.0%, and 36.4~39.8%, respectively. This result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s of three aspects and indicate the nationalistic approach to foreign relation history in Goryeo period. This analysis recommends five historiographic approaches, as follow. First, Korean historians have been avoiding writing on (1), while emphasizing (2). Further writing is requir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1) and to describe (1) as a diplomatic system. Second, current studies have excessively focused on anti-invasion history from Khitan Liao, Jurchen Jin and Mongol Yuan. Further textbook needs to be written on peace-period with Khitan Liao and Mongol Yuan and to refrain from regarding Jurchen as an enemy. Third, multi-states system and Goryeo’s emperorship structure should be stated more importantly. Forth, the writing on Goryeo-Ming relation during the late Goryeo is required. Lastly, Goryeo’s perception of foreign countries and tribes needs to be written more importantly and objectively, as a country’s diplomatic policy is based on its perception of external countries and tribes.

      • KCI등재후보

        제주도방언의 어류 명칭 연구

        김순자 ( Soon Ja Kim ) 영주어문학회 2013 영주어문 Vol.25 No.-

        There are 533 different word forms of fish names in 220 categories in Jeju dialect. Even though some names like ``godeung-eo and godeung-e``, ``Jeon-eo and Jeon-e``, ``Cheong-eo and cheong-e`` are similar to standard Korean, much more fish names are different in Jeju dialect. Dialect forms are also different depending on its phonological environment, for example, ``gaeori, gaeuri and geori`` for the word ``gaori (ray in English)``, while some words have totally different forms. ``gajemi, napsemi, deokge, waenunbegi and sinchakgwegi`` are used to call ``gajami (flatfish)``. Furthermore, there are even 15 word forms for ``okdom (tile fish)`` which is famous in Jeju Island. Some nam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colors. ``gamseongdom (black porgy)`` has black body so it is called ``geomeundom``. ``multosaegi`` is another name for it, which is liken to a black pig. Moreover, names with ``cham`` mean it tastes good, for example, ``cham-godeung-e``. Fish names in Jeju dialect vary depending on the species. In this study, the names are divided into hypernyms and hyponyms and then categorized according to 1) size, 2) age, 3) sex, 4) habitats, 5) quality and 6) seasons when the fish caught. Some are prefixed with ``dae, jung and so`` or ``keun-, junggan-(or jeong-e) and jogeun-`` depending on the size of fish. 10 kinds of fish which have different names between fry and adult fish are searched and unique prefixes ``mel-, swi-, sil-, bap- and kkwe-`` are attached to the fry`s names. Other prefixes like ``ga-, gai-, deui-, badang- and mosal-`` are related to the fish`s habitats and shown whether the fish lives in sea or sand. ``Bom-galchi`` ``yeoreum-galchi`` and ``gaeul-galchi`` are different names of hairtail used depending on the season when it is caught. Some names are used differently between male and female and cocktail fish is one example. A few mistakes are corrected from other old studies.

      • KCI등재후보

        신문 활용 탐구공동체 교육활동을 통한 일반 중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김순자 ( Soon Ja Kim ),자경 ( Ja Kyoung Kim ),지훈 ( Ji Hoon Kim ),기주 ( Ki Ju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비장애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를 목적으로 실시한 신문 활용 탐구공동체 교육활동에 관한 것이다. 신문 활용 탐구공동체 교육활동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 유발과 협동심을 고양시킬 수 있도록 모둠을 편성하여, 사전에 제시된 주제를 중심으로 신문이나 인터넷 신문을 검색하여 과제를 협동하여 해결하게 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78명의 비장애 중학생에게 이 활동을 실시하여 사전, 사후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태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개방형 질문에는 장애의 의미와 개념, 장애의 유형과 특성, 장애인의 소외된 권리, 장애인을 만났을 때의 느낌, 장애학생과의 조별활동 및 구체적 활동 시의 감정, 장애인에 대한 편견, 장애인이 도움을 요청할 때의 행동, 장애인을 위한 봉사 활동, 장애인에 대한 예절 등이 포함되었으며 학생들의 답변을 유목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신문 활용 탐구공동체 교육활동을 통한 장애이해교육은 비장애중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인지적 측면, 정서적 측면, 행동적 측면에서 모두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of NIE Inquiry Community on changing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78 first-grade students in D middle school of P City were sampled for this study. The attitud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evaluated with the open-ended questionnaire that consists of 9 items related to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elem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attitude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improved after providing the activities of the NIE inquiry community.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ctivities of the NIE inquiry community is an effective method which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공정성 인지도 및 기업의 윤리적 특성이 납세성향에 미치는 영향

        김순자(Kim Soon-ja),형국(Kim Hyung-kook) 한국국제회계학회 2015 국제회계연구 Vol.0 No.62

        본 연구는 기업 구성원의 공정성 인지도와 기업의 윤리적 특성이 납세태도와 납세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정성 인지도는 기업의 윤리적 특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윤리적 특성은 납세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성원들의 공정성 인지도는 납세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납세태도는 조세회피와 탈세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기업의 구성원은 공정성의 인지도가 조직의 윤리적 수준을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원들은 자신이 속한 기업의 공정성을 높게 인식하면 기업의 윤리적 특성이 강화된다. 결국 공정성 인지가 높은 기업은 기업의 윤리가 높고 성실한 납세태도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성실한 납세태도는 세무당국이나 조세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게 되며, 이는 결국 조세 순응적 납세태도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궁극적으로 납세성향(조세회피, 탈세)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조직 내의 구성원이 인지하는 공정성이 기업의 윤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세법의 관점을 연결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성실납세를 위한 세무당국의 정책과 세재의 개편은 납세자가 충분히 공정하다고 인식할 수 있는 수준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윤리를 통한 경영을 하는 기업에서 조세순응적인 납세태도가 나타남을 실증적으로 증명하였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올바른 납세 문화의 정착을 위해 경영자의 윤리경영의식을 제고하였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verify the empirical relation among fairness perception, firm"s ethical characteristics, tax payer"s tax attitude and tax payment tendency.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level of fairness perception has positive effect on firm`s ethical characteristics. Second, firm`s level of ethical characteristics has positive effect on tax payer"s payment attitude, suggesting that the higher firm"s ethical management level, the higher tax payer"s reliability to tax system, tax audit and tax authorities. Third, the level of tax payer"s payment attitude has negative effect on tax payment tendency that measured by tax avoidance and tax evasion, suggesting that the more positive tax payment attitude, the lower tax payer"s incentives to avoid tax and tax evasion. Forth, the level of the respondent"s level of fairness perception has negative effect on tax payer"s tendency that was measured by tax avoidance and tax evasion. It means that fairness perception level decreases tax avoidance or tax evasion without mediating tax payer"s payment attitude. Recently, tax avoidance and tax evasion have been frequently taking place in society. The damages caused by these tax resistances bring enormous obstruction to secure tax revenue. In this circumstance, this research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n the way to reduce not only tax avoidance but also tax evasion on the aspects of tax payer"s fairness perception and firm"s ethical features. Using thes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necessity of tax authorities" policies that strengthen tax payer"s fairness perception level and firm"s ethical characteristics is more needed.

      • KCI등재

        제주어의 보전과 활용 방안

        김순자(Soon Ja Kim) 제주학회 2011 濟州島硏究 Vol.36 No.-

        제주어는 제주 사람들의 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는 데 쓰는 전래적인 언어다. 이러한 제주어가 사라지거나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학계와 행정기관, 시민단체, 연구자, 뜻있는 도민 등을 중심으로 제주어 보전을 위한 크고 작은 사업들을 펼쳐왔다. 그럼에도 사라져가는 제주어를 온전히 보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들은 부족한 상태다. 유네스코도 2010년 12월 8일 제주어를 인도의 코로(KORO)어와 함께 사라지는 언어 5단계 가운데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로 분류하였다. 유네스코의 이런 진단이 내려진 이후 행정에서는 제주어연구소 설립 방침을 밝히고, 교육 당국에서는 제주어 교육 강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신문이나 방송 등에서도 제주어 보전을 위한 지면과 방송 시간을 늘리는 등 제주어 보전에 힘을 보태고 있다. 각종 상품과 상호 이름으로 제주어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제주어 보전을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한 상태다. 사라져가는 제주어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주어의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또 일상생활에서 제주어가 생활화할 수 있도록 제주어 교육이 전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주어 교사 양성과 연구자 육성 등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 방안의 하나로 연구자와 교사 양성 등에 필요한 기금을 지원할 수 있는 제주어 기금 설립도 서둘러야 한다. 제주 사람들의 삶과 정신이 깃는 문화의 정수인 제주어 보전은 제주어 정책을 담당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연구를 담당하는 대학 당국, 그리고 제주도민 모두 에게 주어진 과제다. Jeju language is traditional language delivering thoughts and feelings of Jeju people but it is endangered nowadays. So academia, administrative agencies, civic organizations, scholars and other interested citizens engage in various preservation projects of Jeju language.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alternatives conserving Jeju language entirely. UNESCO categorized Jeju language and KORO India language as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which is fourth degree out of five in December 8, 2010. After UNESCO s decision, administrative agencies decided to establish Jeju language Institute and educational authorities implemants a policy on Jeju language education. Newspapers and broadcasting also expand their air time and articles. More Jeju language is used for the namas of goods and shops. However, we still need more support. It is important to take a systematic approach in preserving Jeju language and keep educating people Jeju language as a part of life. For this, Jeju language teacher and researcher training is needed. First of all, Jeju language funding is need to be found to raise teachers and researchers. Jeju language preservation is the task for the governman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ducational authorities and even all of us.

      • KCI등재후보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순자(Kim, Soon Ja),희태(Kim, Whee Ta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korea traditional play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ypes of institutes and teachers’ careers. 262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examined using a questionnaire on teacher’s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play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acted with their friends to learn korea traditional play.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for traditional play betwee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For instructing traditional play, teachers provided pictures, picture books, and actual objects. Teaching materials were instructional materials for educational activities for traditional play, the Internet and so on. Teachers thought that in performing traditional play, they didn't know how to play it. Third, the mo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long career, the more they had interest in traditional games in general. In addition, teachers with longer careers appli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regarding educational activities, traditional festivals like Chuseok. Because teachers want education program and opportunity for learning korea traditional play, opportunity and educational program for learning korea traditional play for young children is needed to give them to learn it. It suggests that one should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training programs and lectures regarding traditional play and at the same time, develop and supply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유아교사들의 교육 경력에 따라 전통 놀이의 인식과 교육 실제는 어떻게 다른지, 유아교사들의 근무기관에 따른 전통놀이의 인식과 교육 실제에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E구와 경기도의 E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62명을 대상으로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제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이 전통놀이를 접하는 경로는 주변의 사람들을 통해서 획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친구들과 놀이를 통해서 전통놀이를 접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전통놀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로는 전통놀이는 협동놀이를 장려하여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경력이 많을수록 전통놀이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경력이 많은 교사들은 교육 활동의 주제와 관련하여 전통놀이를 잘 활용하고 있었으나 경력이 적은 교사들은 주로 추석이나 명절 등 일정 시기에만 전통놀이를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유아교사들은 전통놀이의 활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 연수 및 교육 기회의 강화에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전통놀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자료로 유아의 신체 크기와 수준에 맞는 악기 및 놀이 도구 개발 및 보급이 필요다고 하였다. 그리고 교사 연수에 필요한 전통놀이 내용은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전통놀이의 종류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전통놀이에 대한 연수 및 강연 등의 기회가 강화되어야 하고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전통놀이와 관련된 교재 및 교구 개발 보급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