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선 네트워크에서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향상을 위한 Cross-layer 기반 적응적 전송률 조절 기법

        김수정,정광수,Kim, Sujeong,Chung, Kwangsu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7

        무선 네트워크에서 TFRC (TCP-Friendly Rate Control)는 불안정한 채널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모두 혼잡 손실로 인지할 뿐만 아니라, 링크 계층에서의 재전송 기법과 채널 경쟁 오버헤드로 인해 증가된 RTT(Round Trip Time)를 적용할 경우 전송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스트리밍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Cross-layer 기반의 적응적 전송률 조절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TFRC의 전송률 향상을 위해 새로운 RTT 측정 및 패킷 손실 구별 기법을 적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을 적용한 TFRC의 전송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TFRC(TCP-Friendly Rate Control) has a performance degradation in wireless networks because it performs congestion control by judging all the losses occurred in wireless networks as a congestion indicator. It is also degraded by the increased Round Trip Time(RTT) due to packet retransmission and contention overhead in the link layer.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rate control scheme based on cross-lay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treaming services in the wireless networks. It provides new RTT estimation and loss discrimination methods to improve transmission rate of TFRC.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TFRC.

      • KCI등재

        가상화 서비스의 QoS 보장을 위한 네트워크 적응적인 전송 구조 설계

        김수정,주광성,정광수,Kim, Sujeong,Ju, Kwangsung,Chung, Kwangsu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7

        Virtualization service processes all operation including the data creation, storing, and disposal in a server and transmits processed data as the streaming media form. Therefore, client can use the same environment as the traditional desktop environment without considering the type of device. Virtualization service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video quality but also the delay bounds and continuity of video playback for improving the user perceived Quality of Service(QoS) of streaming ser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twork-adaptive transmission architecture that focuses on guaranteeing QoS requirements for virtualization service. In order to provide those, the proposed architecture have the transmission rate adaptation function based on available bandwidth and the content bit-rate control function based on sender buffer state. Through each function, proposed architecture guarantee the delay bounds and continuity of virtualization contents playback.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network-adaptive transmission architecture provides a improve performance of throughput and transmission delay. 가상화 서비스는 데이터의 생성, 저장, 폐기 등의 모든 과정과 연산을 서버에서 처리하며,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 미디어 형태로 전송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는 단말의 타입에 구애받지 않고 기존 데스크톱 환경과 동일한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화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영상 품질 이외에도 재생연속성과 재생지연한계를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화 서비스의 QoS를 보장하기 위한 네트워크 상황에 적응적인 가상화 콘텐츠 전송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가상화 콘텐츠 전송 구조는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을 고려한 전송률 조절 기능과 송신 버퍼 상태를 고려한 콘텐츠 비트율 조절 기능이 있으며, 각 기능을 통해 가상화 콘텐츠의 재생지연한계와 가상화 콘텐츠의 재생 연속성을 보장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가상화 콘텐츠 전송 구조가 패킷 손실률과 전송 지연 등의 측면에서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의 복지태도에서 성별 격차

        김수정 ( Sujeong Kim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5 여성학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한국인의 복지태도에서 성별(gender)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성별 태도차이가 나타난다면 왜 그러한가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지태도는 정부 재정책임, 지출확대, 증세에 대한 태도로 구성되었고, 정부재정책임과 지출확대는 각 복지영역별로 태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첫째, 아동, 노인 등 돌봄관련 영역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정부책임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둘째, 지출 확대에서 전통적인 복지영역인 노인, 장애인, 빈곤층 지원에 대해서는 남성의 확대요구가 더 높고, 여성은 주거 및 고용과 같이 가처분소득과 연관이 높고 현재의 소득 및 지출 불안과 관련되는 영역에서 확대의 필요성을 지지했다. 마지막으로 증세에 대한 태도는 연령, 교육, 소득계층, 복지지위를 모두 통제하더라도 여성의 증세태도가 남성보다 부정적이었다. 그간 한국사회의 복지태도 연구에서는 계급 및 계층이 복지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탐구가 주로 이루어져왔고, 성별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이 연구는 한국인의 복지태도에서 성별의 영향을 본격적으로 탐구했으며, 그 결과 서구와는 다른 성별효과가 나타남을 발견했다. 결론부분에서 그 함의를 토론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gender difference in welfare attitudes in Korea and explore the meaning of this gender gap. Welfare attitudes are composed of three variables: government financial responsibility among various welfare areas, government expenditure increase for different welfare services and opinions about tax increase for welfare purpose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men are more supportive for governmental financial responsibility in children and elderly services, reflecting their interests in care. Second, in terms of government expenditure increase, women are more likely to support the expansion in housing and unemployment welfare than men. On the other hand, men are more willing to support more expenditure in services for elderly, disabled and the poor than women. Lastly, men are more supportive for tax increase. These results are quite different from the findings of the studies of public attitudes in western welfare states. The meaning and implication of this gender gap is discussed in conclusion.

      • KCI등재

        고등학생의 자기관리역량과 학습몰입의 관계

        김수정(Sujeong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competence and learning flow among high school students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174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B High School located in A City, Gyeonggi-do, and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using SPSS 29.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self-management competence, learning flow, and career maturity were all significant, a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areer maturity was verified. this study suggested to foster self-management competency, a core competency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본 연구는 2022 개정교육과정 관련 핵심역량인 고등학생의 자기관리역량과 학습몰입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습자의 자기관리역량 함양과 진로성숙도의 발달을 위한 진로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하고자 경기도소재 고등학교의 1, 2학년 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수집한 자료들을 SPSS 2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기관리역량과 학습몰입의 관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매개회귀분석을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인 자기관리역량 함양 및 진로성숙도의 발달을 위한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육 장면 혹은 가정 내 다양한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 선택할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다. 둘째, 학습자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수립하는 전략들을 활용하는 것이다. 셋째, 학습자의 진로 의사결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지고 구체화될 수 있도록학습자가 자신이 선택한 진로 결정에 대한 구체적 진로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시간이 고등학교 1학년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 넷째, 교수자나 부모는 학습자의 환경이 학습자가 스스로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믿음의 성장 신념과 같은 긍정적 자아의식을 발견하도록 돕고 격려하는 지지체계가 되어주어야 한다.

      • KCI등재

        동료피드백을 활용한 인성교육 방안과 적용에 대한 질적 고찰

        김수정 ( Kim Sujeong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2

        본 연구는 ‘동료피드백’을 활용한 인성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수업 사례와 학습자들의 반응을 토대로 동료피드백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II에서는 동료피드백과 인성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동료피드백과 인성교육의 접점을 찾아보았다. II.2에서는 인성교육의 개념과 인성교육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동료피드백은 동료 학습자의 유의미한 활동에 대하여 또 다른 동료 학습자가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서로의 견해를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 개개인이 합의점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상대에 대한 배려와 존중, 자신의 표현에 대한 책임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이 추구하는 것과 매우 밀접하다. 인성의 핵심 덕목인 존중, 배려, 소통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동료피드백이라는 활동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존중과 배려, 소통 능력이 자연스럽게 습득될 수 있기 때문이다. III에서는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 형성’, ‘관계를 고려하여 소통하는 피드백’을 동료피드백을 활용한 인성교육의 지향점으로 제안하고, 이를 교수자 측면, 피드백 제공자 측면, 피드백 수용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IV에서는 실제 수업에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사례를 토대로 동료피드백의 인성교육적 가능성과 시사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수업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동료피드백은 배움 공동체 안에서 학습자가동료와 동료의 활동 결과물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그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이다. 또한 생각한 바를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대해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인성교육에서 강조하는 ‘알맞게 표현하는 예절’, ‘타인에 대한 존중’, ‘부여된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는 책임’ 등의 덕목을 자연스럽게 함양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teach personality education using “peer feedback” by examining it in a classroom scenario and analyzing the learners’ responses. In Chapter 2, this study examines previous research on peer feedback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finds the points of contact between the two. In Section 2.2, the concept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methods are examined. This study also looks at how peer feedback should be conducted with relation to personality education. Peer feedback is defined as a learner suggesting his or her own opinion about another learner’s activity. It is also the process by which individuals define a common ground through the process of exchanging opinions. This process presupposes care and respect for the other party, as well as the responsibility to express oneself. In this respect, it is very close to what personality education pursues. Communication abilities can thus be learned naturally by engaging in the activity of peer feedback, rather than by explicitly being taught respect, care, and communication. In Chapter 3, this study suggests a “community formation based on participation” and “feedback to communicat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s practical principles of personality education using peer feedback, and examines this by dividing personality education into the catagories of faculty, feedback provider, and feedback recipient. In Chapter 4,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peer feedback based on cases where peer feedback was applied in actual classes. Peer feedback in the context of classrooms implies that the learner is interested in and thinking about the outcomes of their peers and their activities in the learning community. Also, we can think about how to express what we think within the community.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se experiences, virtues which are emphasized in personality education, such as “properly expressing etiquette emphasized in personality education”, “respect for others”, and “responsibility for assigned roles”, can be naturally cultivated.

      • KCI등재후보

        사이버 공론장들의 젠더성과 담론구성의 특징

        김수정(Sujeong Kim),김예란(Yeran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8 미디어, 젠더 & 문화 Vol.10 No.-

        사이버 공론장은 종종 사회적으로 존재하는 계급, 젠더의 권력관계로부터 자유로운 담론의 장으로 간주되어왔다. 이 글은 사이버 공론장이 젠더의 문제에서 전적으로 자유롭지 않으며, 또한 전적으로 저항적이거나 종속되어 있지 않은 복잡한 관계성을 띠고 있음을 논한다. 복수로서의 사이버 공론장들의 젠더적 속성을 이해하기 위해 젠더 관련 사안의 담론적 특성을 젠더 정체성, 관점, 소통적ㆍ형식적ㆍ내용적 차원에서 접근한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다음’, ‘오마이뉴스’, ‘마이클럽’ 사이트에서 젠더와 관련한 공적ㆍ사회적ㆍ개인적 사안들(「성매매특별법」, 성희롱 사건, 저출산 문제)이 담론화되는 방식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의 사이버 공론장은 발언 내용 및 형식에서 탈젠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사이트인 ‘마이클럽’의 성 관련 이슈에 대한 토론에서조차도 ‘국가적’ 관점과 ‘보편적 윤리’의 관점이 우세하고 ‘젠더적’ 관점이 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타 사이트와 달리 반여성주의 경향은 전무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사이버 공론장의 소통적 형식을 ‘다음’은 ‘개방적 상호 작용형’으로 ‘오마이뉴스’는 ‘자기단독적 제시형’으로, 그리고 ‘마이클럽’은 ‘친밀한 대화형’으로 특성화할 수 있겠다. It is often presumed that cyber pubic sphere is a pre-given free-zone, free from existing social hierarchical orders of class and gender. Our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cyber public sphere is not entirely separated from present gender relations in society nor resistant or subject to them. In understanding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cyber public space and gender, gender-related discourses are analysed in terms that how their contents and forms are constructed, represented and interactively communicated, and whether other public spheres as plural are potentially generated through ordinary people's participation in cyber discursive practices in everyday routinized writing. Three issues are the object of discourse analysis in the current study: Act on the Punishment of Procuring Prostitution and Associated Acts and Act on the Prevention of Prostitution and Protection of Victims as an agenda of the public realm; sexual harrassment as an agenda of the social realm; and a problem of the decrease in reproduction rate and the tendency of young women avoiding having babies in Korea as an agenda of the private realm. Results of the analysis suggests that cyber public sphere in Korea is ironically genderless, in the aspect of gender identity and ideological perspective. Instead, such universalized ideas (or ideal) as nation, citizenship and the humanistic universalism are dominant. It is also pointed out that the (self-claimed) public reason and rational logic, and even the rhetoric of assertive and strong persuasion, all of which are something that have been directly or implicitly celebrated as mannish values in the traditional patriarchal culture in Korea, are still persistent in cyber public spheres in general. It is not surprising then this male-dominant culture forces female internet users into the margin in cyber space away from the most popular portal sites. Women-exclusive community sites are consequently prosperous as a shelter keeping safe them from patriarchal anti-feminism. Dialogical and intimate interactions in style of self-modesty and/or confession are conspicuous in the women-exclusive site. It is concluded that gender issues are vulnerable to the patriarchical force of de-gendering in cyber public sphere, in favour of universalized ideals of ethics and morality of the [hu]man.

      • KCI등재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

        김수정(Kim Sujeong),김은지(Kim Eunji)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2

        이 연구는 2004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맞벌이 가구에서 남편과 아내의 소득이 각각의 가사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득과 가사노동의 관계에 대해서는 두 가지 경쟁이론이 있다. 먼저, 교환이론에 따르면 소득은 가구 내 가사노동배분을 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협상자원이고 소득과 가사노동시간의 관계는 경합, 대체관계(trade off)이다. 반면, 젠더보상이론에서 가사노동은 젠더역할 수행과 관련되는 것으로, 경제논리가 아니라 사회의 성역할규범에 의해 설명된다. 즉, 전통적 성역할분업과 일치할 경우 소득효과는 여성의 가사노동시간을 줄이고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을 늘리지만 남녀의 소득이 역전된 경우 여성과 남성은 다시 전통적인 성역할분업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젠더효과를 드러낸다. 생활시간자료를 통해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상대소득의 변화가 가사노동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을 때, 여성의 가사노동시간변화에서 젠더보상(compensating gender)가설이 채택됨을 알 수 있었다. 여성의 경우 소득 기여가 증가할수록 가사노동시간이 감소되지만, 자신의 소득기여가 남성보다 더 높은 구간(남성소득비 0~40% 구간)에서는 가사노동이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증가시키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 구간에서 여성들은 소득에서 역전된 성별분업을 가사노동을 통해 보상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젠더보상). 한편,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은 자신 및 배우자의 상대소득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국 가족의 강력한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은 여성이 주생계부양자 역할을 하더라도 여성의 지위와 역할을 이차부양자이자 가사노동전담자로 규정하고 기대한다. 남성보다 여성의 소득이 더 많은 구간에서 나타나는 여성들의 가사노동시간 역전 현상은, 한국사회에서는 여전히 남성생계부양자/여성 전업주부 역할을 강제하는 강력한 이데올로기적인 기제가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relative income contribution of spouses on housework time division in dual-earner households, using 2004 Time Use Survey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Economic exchange theorists argue that the more the income the less the housework and income and housework is in trade-off relation. In contrast, according to gender perspective, doing housework means more than income dependency and wives perform housework to enact symbolically their feminity of masculinity. Analysing 2004 Time Use Survey data, we test these two models. Consistent with economic exchange theory, women decrease their housework as their earnings increase, up to the point where they contribute 60% of total household income. The base level of housework for women is much higher. However, for the women in the range of relative income 0~40% of household income, the change in housework is opposite: the more they earn the more they do housework. Couples that deviate from the normative income standard(reversal of gender roles) seem to compensate with a more traditional division of household work(gender compensation). The strong male breadwinner norm and ideology in Korea compels and expects women do more housework even they are actual main breadwinners.

      • KCI등재

        TV 드라마 속 음식의 표상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

        김수정(Sujeong Kim),야마나카 치에(山中千?)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일본 TV 드라마 〈심야식당〉과 한국판 리메이크 〈심야식당〉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한일 양국의 대중문화 속에서 음식이 어떻게 상상되고 표상되는지 비교하고, 그 차이와 특성을 해당 사회의 가치와 윤리 맥락에서 고찰했다. 연구결과, 일본 〈심야식당〉은 음식을 개인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기호이자 관계 형성의 매개물로 표상하면서, 심야식당을 외로운 주변인들이 소통하고 인연이 전개되는 마법적 공간으로 형상화시키고 있었다. 또한 일본사회에서 중시되는 직업의 자긍심과 인간관계에서 ‘갚음’의 윤리를 문화적 코드로 작동시키며, 주변인들을 주류 세계로 상상적으로 통합해 내고 있었다. 한편, 한국판 〈심야식당〉은 음식을 상황적 산물로 다루고, 음식이 주는 영양과 쾌락을 중시하는 가치 위에서 음식을 물질적, 경제적인 것으로 의미화 했다. 또한 소외된 주변인을 ‘가족이 붕괴되고 경제적으로 빈곤한 자’로 표상하면서 이들을 ‘베품’의 윤리로 포용해 내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food is imagined and represented in Japanese TV drama 〈SinyaShokudo〉 and the Korean remake drama 〈SinyaShokudo〉 respectively, and further to explore how its distinctiveness relates to the values and ethics of each society. By employing comparative textual analyses, the paper suggests that the Japanese drama 〈SinyaShokudo〉 represents food as a medium for personal relations as well as a sign for individual identity. In addition, it reveals that the restaurant works to be a magical space, where the marginalized people can communicate each other and their karmas are evolved. Furthermore, the text successfully incorporates the marginalized people into mainstream through the ethics of vocational selfesteem and reciprocal ‘repayment’ rooted in Japanese culture. In contrast, the Korean version 〈SinyaShokudo〉 represents food as the outcome of situations and emphasizes the values of nutrition and pleasure derived from food. In addition, the Korean drama defines the lonely marginalized people as those with a ‘broken family and financial difficulty’ and embraces them with the ‘benevolence’ ethic rooted in Korean cul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