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육아자조모임 활동이 부모효능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 ( Kim¸ Soojung ),이유미 ( Lee¸ Youm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육아종합지원센터 육아자조모임 활동이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객관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S시에 거주하며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육아자조모임 활동에 참여한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23명과 미참여 어머니 204명, 총 327명이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 t-tes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행복감 수준은 전반적으로 양호하며 어머니의 육아자조모임 활동은 자녀 연령, 어머니 연령, 어머니의 취업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행복감 수준, 육아자조모임 활동은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육아자조모임 참여 여부에 따라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행복감 전체 및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육아자조모임 참여 정도에 따라 행복감은 전체 및 모든 하위요인에서, 부모효능감은 전체 및 하위요인 중 ‘학습지도능력’과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육아자조모임 활동이 어머니의 부모효능감과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jectively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ing self-help activities of mothers of infants and children operating at the childcare support center on parental effectiveness and happiness. The survey targets 327 infants and children living in S-si, Gyeonggi-do (204 participants and 123 non-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ross-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verification,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validat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level of parental effectiveness and happiness are generally good, and the mother's Parenting self-help activities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her child's age, mother's age, and mother's employment type. Second, the mother's parental effectiveness, level of happiness, and Parenting self-help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all sub-factors. Third, depending on whether mothers participated in Parenting self-help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s parental effectiveness, overall sense of happiness, and all sub-factors. Final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arenting self-help activities, happi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overall and all sub-factors, and parental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 in "learning guidance" and "healthily nurturing" among overall and sub-facto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objectively demonstrates the effect of Parenting self-help activities at the childcare support center on the mother's sense of parental effectiveness and happiness.

      • KCI등재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건강정보 요구와 추구행태에 관한 탐험적 연구

        김수정,Kim, Sooj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활발한 이용자 집단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셜 미디어 환경에서의 건강정보 요구와, 건강정보 추구행태, 그리고 소셜 미디어에서 제공되는 건강정보의 신뢰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22명의 대학생들을 심층면접한 결과, 소셜 미디어의 이용은 특히 몸에 이상증상을 느끼는 단계에서 증상의 진단을 위해 이루어지거나 건강한 상태에서 건강유지를 위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개별 소셜 미디어에 대한 신뢰성 인식은 개인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온라인상의 건강정보를 효과적으로 평가, 획득할 수 있도록 건강정보 활용능력 교육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undergraduates' health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nd their perceptions of cred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in social media environments. Interviews with 22 undergraduates revealed that social media was used mainly in a preventive stage or in a health maintenance stage. The perceptions of credibility of health information widely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media. This finding indicated the need for healt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at could help undergraduates effectively evaluate and acquire health information online.

      • KCI등재

        대학도서관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실태 분석: A와 B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김수정,이지원,Kim, Soojung,Lee, Ji-W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한 현안을 진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방에 소재하는 A와 B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각 도서관으로부터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 이용통계를 수집하였으며 전자책 담당사서들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전자책 도입현황, 예산 및 수서, 접근 및 목록, 이용, 홍보 측면에서 실태를 조사하고 전자책 관리 및 서비스의 어려움과 현안에 대해 의견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두 대학 모두 종이책과 비교했을 때 전자책 이용률이 낮았으며 특히 최근에 이용률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자책 예산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한 신간도서 미비가 주요한 원인으로 보인다. 또한 전자책 수서와 관련한 가장 중요한 현안은 2015년에 제정된 대학도서관진흥법에 따른 대학도서관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서관 평가기준이 현재 전자책 수서 및 관리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book management and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and identify related issues in the provision of the services. To do that, it performed case studies with A and B university libraries. E-book usage statistics was collected from each librar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ibrarians responsible for e-book management and services. The interviews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obstacles to e-book management and services and current issues as well as budget and acquisition, access and catalogues, usage, and marketing for e-books. The results show that in both libraries, the usage of e-books is low compared with that of printed books and the usage of e-books has declined recently. This is because of lack of new books with shortage of budget. Also, the most important issue surrounding e-book services is academic library evaluation, enacted by Academic Library Promotion Act in 2015.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criteria for academic library evaluation influence the way the academic libraries acquire and manage e-books.

      • KCI등재

        국내 대학도서관 연구성과 서비스 개발 및 운영 모형 연구

        김수정,이재윤,이지원,Kim, Soojung,Lee, Jae Yun,Lee, Ji-Won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연구성과 서비스의 도입, 성장, 현재 운영 내용 및 향후 계획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서비스 도입을 고려하는 도서관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성과 서비스를 선도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4개의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서비스 담당자와의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심층면담의 내용은 성장, 운영, 서비스를 포함하는 5개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성과 서비스는 대학 연구경쟁력 강화를 지원하려는 목적으로 학내 구성원의 요구 또는 서비스 확대를 위한 도서관 내부의 기획으로 2010년 전후로 시작되었고, 시스템의 개선과 서비스 내용의 확대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서비스가 강화되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성과 서비스의 개발과 운영을 위해 참조할 수 있는 연구성과 서비스의 종합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describes the introduction, growth, current practices and future plans of research evaluation services performed in domestic academic libraries, with a view to informing other libraries considering similar endeavours. To that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librarians from academic libraries leading in research evaluation service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grouped into five categories including growth, management, and services. The study found that their research evaluation services were launched around 2010 by demands of members of a university or as a library's initiative to expand the existing service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university's research competitiveness. The research evaluation services have been strengthened by extending the service scope and improving related systems. Also, the study suggests a comprehensive model that can guide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esearch evaluation services.

      • KCI등재

        KDC 제6판 디자인학 분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정,Kim, Sooju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KDC 디자인학 분야의 분류체계를 개선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디자인학 연구분류체계들을 조사하고 KDC, DDC, LCC, NDC를 비교 분석하였다. KDC의 디자인학 분야 분류체계의 문제점으로는 디자인 이론영역과 관련된 분류항목 부족, 주요 디자인 응용분야에 대한 세목 미비, 디자인 범위를 명시하는 주기의 부재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이론영역, 시각디자인, 제품디자인, 환경디자인 분야에 해당되는 분류항목들에 대하여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in the design fiel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design research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compared KDC, DDC, LCC, and NDC. The problems identified from the current KDC include lack of subdivisions regarding basic design theories and major design application fields and the absence of notes for explaining the scope of each design field.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s for design theories, graphic design, industrial design, and environmental design.

      • KCI등재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관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연구 분석

        김수정(Soojung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위해 보육교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교실 내의 영유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육교사들을 지원하는 목적을 가지는 교사재교육 프로그램을 연구한 선행 연구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선행 연구들은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보육교사와 영유아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언어적인 상호작용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왔다; 2) 선행 연구들은 보육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측정 도구 혹은 코딩 스킴을 개발 및 적용하여 왔다; 3) 선행 연구들은 교실 내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목표로 하는 교사의 지원 방안으로서, 멘토링이나 컨설팅과 같이 개별적인 접촉을 선호하여 제안하였다; 4) 선행 연구들이 제안한 교실 내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 증진을 목표로 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들은 일반적으로 교사의 건설적인 자기 성찰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ture regarding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aiming to find ways to support child-care teacher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study selected studies exploring teacher-education programs that aim to support child-care teachers in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in the classroom in a quality manner.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by focusing on how the study proposes ways to support child-care teachers in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in a quality manner.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re as follows: 1) the literature tends to focus on teachers’ languag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in the classroom; 2) the literature tends to apply a variety of observation tools (or coding schemes) to measure teacher-child interaction in child-care settings; 3) the literature prefers individualized approaches such as mentoring or consulting as ways of supporting child-care teachers in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in a quality manner; and 4) the literature aims in general to improve teachers’self-reflection skills.

      • KCI등재

        구성자산 특성이 ETF 가격효율성에 미치는 효과

        김수정(Soojung Kim),최형석(Hyung-Suk Choi) 한국증권학회 2018 한국증권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는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KOSPI200 지수를 추종하는 8개 상장지수펀드(ETF)의 괴리율 분석을 통해 ETF 상품자체의 특성과 ETF를 구성하는 종목의 특성이 가격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다. 2003년 1월 2일부터 2014년 12월 31일까지 ETF와 관련된 일별 자료를 대상으로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TF 특성 중에서 가격효율성이 규모(Size), 일별 변동성(Volatility), 현금보유비중(Cash ratio)이 높을수록 괴리율이 증가하여 가격효율성이 감소된다. 둘째, 과거수익률(Prior return)과 거래량(Volume)이 높은 주식의 비중이 큰 ETF의 가격효율성이 높은 반면 시가총액(MV)과 장부가-시장가 비율(BV to MV)이 높은 주식의 비중이 큰 ETF는 가격효율성이 작다. 셋째, 개인투자자 비중이 늘어날수록 괴리율이 증가하며 장부가-시장가 비율(BV to MV)이 가격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은 더 커진다. ETF에 관한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ETF를 하나의 증권으로 이해하고 상품자체의 거래특성에 초점을 맞춘 반면에 본 연구는 ETF의 가격괴리가 기존 선행연구에 의해서 밝혀진 ETF 자체의 특성뿐만 아니라 구성종목의 특성에 의해서도 결정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ETF 구성종목 특성과 가격괴리의 관계는 ETF 가격과 순자산가치간의 가격괴리를 최소화하는 자산구성을 설정하고 ETF 시장의 활성화와 효율성을 높여 나갈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pricing efficiency of the eight exchange traded funds (ETFs) that are listed in the Korean Stock Exchan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portfolio composition on the pricing efficiency of ETFs. These ETFs follow the same KOSPI200 index but they construct the portfolio with different weight and their investor composition between individual investors and institutional investors are different as well. We examine the panel data for these ETFs from January 2003 to December 2014 on a daily basis, which include the trading characteristics of ETFs in the stock market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rtfolio composition of each ETF. From the year fixed effects regression analysis, we find that size, daily volatility, and cash-ratio decrease the pric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ETF differential ratio. Also, ETFs putting more weight on stocks with higher prior-return and higher volume show higher efficiency but ETFs putting more weight on stocks with bigger size and greater book-to-market ratio show lower efficiency. For the ETFs that individual investors trade more actively, we find that the influence gets stronger as ETFs put more weight on book-to-market ratio. Overall, this study provides the empirical evidence that not only the trading characteristics of ETF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portfolio composition would affect the pricing efficiency, which has not been examin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We conjecture that an ETF can be constructed to minimize the differential between ETF price and its net asset value by utilizing this relation and that the efficiency of ETF market will be enhanced eventu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