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19세기한글간찰에서의처격형에대한고찰(Ⅰ)

        김성옥(Kim Seong-ok) 한글학회 2018 한글 Vol.- No.320

        본 연구는 16~19세기 한글 간찰을 대상으로 각 시기별 한글 간찰에서의 처격 양상과 처격의 변화 과정을 통시적으로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16~19세기 한글 간찰에서는 처격이 ‘에’로의 확산이 아닌 처격 ‘의’로의 확산 과정을 보임을 살필 수 있었다. 일테면 16세기 중반 순천김씨 한글 간찰에서는 15세기의 처격인 ‘애/에/예’와 ‘/의’가 모두 쓰인 가운데, 1세대에서는 처격이 ‘:의=52.8%:15.8%’와 ‘애:에:예=7.7%:14.6%:8.9%’의 빈도율을 보이고, 2세대에서는 ‘:의=17.7%:46.6%’와 ‘애:에:예=4.4%:20.9%:11.1%’의 빈도율을 보인다. 이로써 이 한글 간찰에서는 15세기와는 달리 ‘애/에’보다는 ‘/의’가 더 많이 쓰인 가운데 1세대에서는 ‘’와 ‘의’ 중에 ‘’가 많이 쓰인 반면 2세대에서는 ‘의’가 보다 많이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초반 현풍곽씨 한글 간찰에서는 1세대에서는 ‘:의=1:57’의 빈도를, 2세대에서는 ‘:의=6:70’의 빈도를 보이는 등, 처격 ‘’는 1세대와 2세대 모두 약화됨을 보인다. 그리고 ‘애/에’ 또한 1세대에서는 ‘애:에=13.5%:34.8%’ 등으로 보이다가 2세대에 가서는 ‘애, 에’가 전체 5%의 빈도율만 보이는 등, ‘’와 함께 ‘애/에’도 급격히 약화됨을 보이는 데 반해, 처격 ‘의’는 전체 처격의 70% 정도가 쓰일 만큼 그 쓰임이 확산됨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중반~18세기 중반의 송규렴가와 송준길가 한글 간찰에서는 순천김씨와 현풍곽씨 한글 간찰에서 이미 생산성의 약화를 보인 처격 ‘애/에’는 발견되지 않는다. 반면 처격 ‘의’는 전체 처격의 70~80% 이상의 빈도율을 보일 만큼 높은 생산성을 보인다. 더 나아가 18세기 후반~19세기에 가서는 김성일파 종택 한글간찰에서의 19세기 초 · 중반 김진화의 딸들과 며느리인 진성이씨 한글간찰의 경우, 처격 ‘예’의 6.3%(9회)를 제외하고는 처격이 모두 ‘의’로만 쓰이고, 추사 김정희 한글 간찰에서는 처격의 98.8%가 ‘의’로만 쓰일 만큼 이 시기에는 처격이 대부분 ‘에’가 아닌 ‘의’가 쓰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shapes of locatives and the change process of the Korean Letters for each era during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ies. Thus, in the Korean Letters during the 16<SUP>th</SUP> to 17<SUP>th</SUP> Centuries, it was examined that the locatives used not to be expanded to ‘에’, but to ‘의’. For example, in a Korean letter written by Mrs. ‘Kim’ from ‘Suncheon Kim Kindred’ during around the middle of Chosun Dynasty, all of the locatives of the 15<SUP>th</SUP> Century, that is, ‘: 의=52.8%:15.8% (Frequency)’ and ‘애:에:예=7.7%:14.6%:8.9% (Frequency)’ used to be used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애:의= 17.7%:46.6% and 애:에:예=4.4%:20.9%:11.1%’ used to be used. Therefore, in the Korean letters, ‘애:의’ used to be used more frequently compared to ‘애:에’ unlike the 15<SUP>th</SUP> Century. During the 1st Generation, ‘’ was used more frequently than ‘의’ among ‘애:의’.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의’ was used more than ‘’.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Mr. “Kwak” from the ‘Hyunpoong Kwak Kindred’, ‘애:의’ were used at the frequency of ‘1:57’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and at ‘6:70’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Thus, locative of ‘’ was less used during the 1<SUP>st</SUP> and 2<SUP>nd</SUP> Generations. And also, ‘애:에’ were used at the frequencies of 13.5%:34.8% during the 1<SUP>st</SUP> Generation, but at only 5% for both locatives during the 2<SUP>nd</SUP> Generation. So, the use frequencies of ‘애:에’ as well as ‘’ were reduced rapidly. On the other hand, the locative, ‘의’ was rapidly more used dominating around 70% of the total locatives during those eras.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Family of Mr. Gyu-ryem Song’ and ‘The Family of Mr. Joon-gil Song’ during the period from the middle of the 17<SUP>th</SUP> Century to the 18<SUP>th</SUP> Century, ‘애:에’ which used to be less used in the Korean Letters by Mrs. Kim from ‘Suncheon Kim Kindred’ and Mr. Kwak from the ‘Hyunpoong Kwak Kindred’ were not used at all. On the other hand, the locative, ‘의’ used to be used at a frequency of 70 to 80% in their letters. Moreover, during late 18<SUP>th</SUP> Century to the 19<SUP>th</SUP> Century,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nobles living in the head family house of the ‘Mr. Sung-il Kim Family Kindred’ an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the daughters of Mr. Jin-hwa Kim during early and middle of the 19<SUP>th</SUP> Century and by Mrs. Lee from ‘Jinsung Lee Family Kindred’ who was his daughter in law, except for the locative, ‘예’ at the frequency of 6.3%, only the locative, ‘의’ was used. And in the Korean letters written by Mr. Jung-hee Kim nicknamed by ‘Choosa’, 98.8% of the locatives was ‘의’. So, it was found that ‘의’ used to be mostly used rather than ‘에’ during that period.

      • KCI등재

        공감으로서의 이야기: 레슬리 마몬 실코의 『의식』 다시 읽기

        김성옥(Kim, Sung-ok)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8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5 No.-

        본 연구는 미국원주민 작가 실코(Leslie Marmon Silko)의 소설 『의식』(Ceremony)을 생성개념과 에코페미니스트 문학 비평이론으로 조명한다. 들뢰즈(Gilles Deleuze)의 생성 개념을 기저로 문학이 생명력 있는 환경적 윤리학을 형성하는 중요한 부분임을 주장하는 에코페미니즘이론을 병치 적용하여 실코의『의식』을 이야기와 타자와의 공감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미국 원주민 소설과 들뢰즈의 생성 개념(becoming)의 접목은 원주민 소설이 소수문학으로서 새롭게 특징을 부여받는 장을 마련한다. 『의식』은 그 중요한 예로서 타요(Tayo)의 정신적 구원은 라구나 부족의 가치를 받아들여 정체성을 확립한다는 되기(생성)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따라서『의식』은 원주민에 대한 신화적인 해석을 넘어 인류전체의 당면과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코는 미국 원주민들의 자연과의 공존사상과 그들의 구전 이야기 방식을 통해 공동체와 소외계층의 억압을 인지하고 회복해 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녀의 이러한 사고는 개인의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소양의 문제를 넘어서 이 세상을 서로 연결된 다양한 생명체들의 상호의존적인 집합체로 보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하고 변화하는 공동체로 생각하는 것으로 타자와의 공감의 관점을 분명히 제시한다. 들뢰즈의 되기 개념과 에코페미니즘 비평을 실코의『의식』에 적용함으로써 본 연구는 이 작품이 문학으로서의 글쓰기가 생성을 통해 존재들 간의 상호 연관성을 강조하는 관계 속에서 주체는 지속적으로 다른 존재와의 관계 속으로 이동하며 타자와의 공감적 관계를 형성해가는 리좀적 글쓰기임을 분석한다. 그럼으로써 본 연구는 문학작품과 비평이론의 상호 작용을 통해 환경 윤리학의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ncounter between Deleuze`s theory of literature and Silko`s novel Ceremony, suggesting that the novel incarnates the minority literature advocated by Deleuze. Also I will propose Native American eco-vision as an alternative to this crisis. The essence of Silko’s argument regarding this environmental ethics lies in her belief that human beings are no longer at the core of any value or meaning in our world, but that the world is an organism: every living being is dependent on one another and mutually effect not only one another, but the ecocommunity as a whole. By analyzing Ceremony, I can see that Silko illustrates the resurgence of the ecocommunity through Tayo’s transformation and discovery of an identity deeply rooted in his native ancestry and tradition. He learns to love nature and the interrelatedness of all beings in the world, and learns to bring his identity beyond the binary opposition and the return to tribal identity, instead discovering that hybridization and crosses are the key to his identity and the restoration of the ecocommunity. Throughout her work, Silko explains that ethics, once so preoccupied with the self, has expanded to include family, tribal members, the nation, all human-beings, and even nonhuman nature. From this perspective, Silko’s eco-vision, based on the idea that the human and nonhuman nature relationship should be dealt with a moral issue conditioned by ethics, is certainly the most advanced staged in the process of the Evolution of Ethics.

      • KCI등재

        중국 ICT 기업의 성장추세와 경로에 관한 연구

        김성옥 ( Kim Sungok ) 한중사회과학학회 2017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중국 ICT의 빠른 성장을 가능하게 했던 요인을 중국 ICT 생태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쌓아온 특성의 결과물로 간주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중국 세계의 공장으로서 기능했던 오랜 역사를 통한 ICT 생태계의 형성 과정을 중국 ICT 발전의 내생적인 요인으로, 외부적으로는 범용화되고 모듈화되는 기술패러다임의 변화, 그리고 선발자가 없는 신흥융합분야의 출현이 중국의 비약적인 발전을 촉진하는 배경으로 전제한다. 둘째, 이런 배경 하에서, 중국의 ICT 성장과 변화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셋째, 중국 ICT 업종별 기업의 매출규모와 매출증가율을 통해 성장의 추이를 살펴 보면서 성장경로의 특성을 파악했다. 마지막으로, 중국 ICT 산업분야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업종을 도출하여, 매출증가율이 가장 높은 업종별 주요기업의 사례를 곁들여 해당 업종의 성장추이를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근거로 삼고 있다. 또한, 결론에서는 중국의 구조적 특징과 그 안에서 형성된 성장경로를 정리한다. 선험적으로, 그리고 문헌분석을 통해서 중국 ICT 산업 중 모바일 하드웨어 분야가 크게 성장하고, 하드웨어의 발전이 부품산업의 발전을 대동하며 소위 말하는 Red Supply Chain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선발자가 없는 플랫폼 중심의 인터넷 융합 산업에서 중국의 비약적 발전이 나타날 것이라는 점이 드러났다. 중국의 업종별 매출 데이터를 살펴봤을 때, 실제로 기술하드웨어, 인터넷소프트웨어의 성장이 가장 빠르며, 최근 3년 간 전자부품 업체들이 높은 성장율을 기록했다. 오필름(O-Film) 등의 사례를 볼 때, 그 과정에는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도 크게 작용할 것이라 짐작된다.

      • KCI등재

        에탄올에 의하여 유도된 마우스 췌장 선포세포의 염증성 손상에서 췌장분비 효소의 활성 및 세포 재생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에 미치는 EGCG의 영향

        김성옥(Sung Ok Kim),최영현(Yung Hyun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11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췌장의 선포세포(primary acinar cell)에서 에탄올에 의해 유도된 염증성 손상에 미치는 녹차의 생리활성 물질인 EGCG의 효과를 췌장분비 효소의 활성과 선포세포에서의 기능 회복 관련 마크로 알려진 유전자들(AMPK, RKIP 및 Reg1)의 발현 조절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이 처리된 세포에서는 α-amylase와 chymotrypsin의 활성이 증가되었지만, EGCG 처리에 의하여 그들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세포 생존 및 보호와 관련 있는 AMPK 인산화 수준은 에탄올 단독 처리시 그 발현이 감소하였지만, EGCG 처리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회복되었다. 세포 사멸과 세포독성 조절과 연관이 있는 RKIP 또한 그 발현 경향이 AMPK인산화 변화의 정도와 유사하였다. 또한 베타세포 재생에 관여하는 Reg1 발현은 에탄올이 처리된 선포세포에 EGCG를 처리하였을 경우 그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항산화성 폴리페놀인 EGCG는 알코올성 췌장염으로 인한 세포의 손상이나 당뇨병 예방과 회복에 치료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고 제안한다.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a green tea polyphenol, has been shown to have strong antibacterial, antiviral,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chemopreventive effects. However it is unknown whether EGCG can recover alcohol-associated pancreat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GCG on pancreatic enzyme activities and the expressions of pancreatic regenerating related markers, such as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raf-1 kinase inhibitor protein (RKIP), and Regenerating gene 1 (Reg1), in mice pancreatic primary acinar cells. Our results revealed that activities of α-amylase and chymotryps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ells treated with ethanol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cells; however, the increased activities of both enzymes were markedly reduced by pretreatment with EGCG. Phosphorylation of AMPK and total expression of RKIP were decreased in the ethanol-treated primary acinar cells; however, these were both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GCG-pretreated cells. In addition, when EGCG was treated, expression of Reg1 was marked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or the ethanol-treated primary acinar cells, demonstrating that EGCG can modulate pancreatic regenerating related genes. Therefore, our findings suggest that EGCG may have therapeutic utility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cohol-associated pancreatitis.

      • KCI등재

        『석가여래행적송』 라훌라 탄생설화에 대한 일고찰

        김성옥(Kim, Seong-Ock)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佛敎學報 Vol.0 No.76

        석가일대기에 관한 불교문헌들은 석가여래의 탄생에서 열반에 이르는 80여년의 삶을 오늘날 전해주고 있다. 출가와 구도 및 성도에 이르는 개략적인 내용은 대체로 일치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에 들어가면 크고 작은 차이들이 존재한다. 남방과 북방 혹은 소승과 대승의 전승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고려말 석가의 일대기를 찬집하고자 했던 운묵 무기의 『석가여래행적송』에서도 여러 가지 문헌들이 전하는 서로 다른 이설들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석존의 출가시기를 둘러싸고 그의 나이가 몇 살이었는지에 관한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는 석존의 출가 이전에 라훌라가 태어났다고 알려져 있지만, 문헌에 따라서는 석존이 깨달음을 얻던 밤에 라훌라가 태어났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라훌라의 탄생에 관한 후자의 전승은 석존께서 6년 고행 끝에 얻은 깨달음과 라훌라의 탄생을 효과적으로 연관 짓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전승에는 문헌에 따라 야쇼다라가 6년 만에 낳은 아이가 석존의 친아들인가 의심이 제기되었던 일, 이 점을 해명하기 위해 야쇼다라가 불구덩에 뛰어들어 자신의 결백을 증명했던 일이 삽입되기도 한다. 이러한 에피소드는 극적인 긴장감을 지니고 있는 흥미로운 요소임에 틀림없다. 나아가 6년 동안의 임신을 정당화하는 장치로서 라훌라가 모태에 6년간 머물러야 했던 ‘6년 태내설’의 전생담도 라훌라의 탄생설화에 추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석가여래의 일대기를 전승함에 있어서 어떤 식으로든 허구적 요소의 개입이 불가피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이러한 설화들을 여러 문헌에 의거하여 기록하고 있는 『석가여래행적송』은 고려시대 석가일대기의 다양한 전승 양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The Buddhist literatures available today on the biography of Śakyamuni Tathagata describe his life from birth to nirvāna. The basic story related to his leaving home and attaining enlightenment is similar in all versions, but there are several small and large differences in the details when we compare the versions from the south and the north regions, that is, the Hīnayāna and Mahāyāna. We find many cases of contradiction in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釋迦如來行蹟頌』), written by Woonmuk (雲默: date unknown). He was a monk of the Tiantai Sect (天台) of the late Koryo Dynasty (高麗).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is a work that concisely describes the life of Buddha and the essence of his teaching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se contradictions, especially regarding the time of the Buddha leaving home and whether Rāhula was born by then or not. It is well known that Rāhula was born before the Buddhas departure from home. However, there are versions mentioning that Rāhula was born the night when the Buddha gained enlightenment. This work effectively relates the Buddhas six years of asceticism and enlightenment attained with Rāhulas birth, but this brings up the irrationality that Yaśodhara had to remain pregnant for six years. To explain this matter, the writers inserted an episode that Yaśodhara jumped into fire to prove her innocence. This must have been an element of dramatic tension added to enhance the moral worth of the story. Moreover, it appears that a series of stories about the previous life of Rāhula was made up as a narrative component to justify the six-year pregnancy. This story about Rāhula being in mothers womb for six years is described in The Eulogy of Ś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The story of Rāhulas birth and previous life has been handed down to us in The Eulogy based on many references. It also reveals many aspects of the transmission of the biography of Śakyamuni Tathagatha in the late Koryo Dynasty. The value of The Eulogy of Sakyamuni Tathagathas Achievement is greatly enhanced due to these revelations.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재에서의 ‘문장’ 영역에 대한 구성 방향 및 지도 방안

        김성옥(Seongok Kim) 한국국어교육학회 2019 새국어교육 Vol.0 No.119

        목적:본 연구는 대학별 글쓰기 교재에서의 ‘문장’ 영역을 살펴보고, ‘문장’ 영역에 대한 교재의 구성 방향과 그에 따른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방법: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문장 쓰기와 관련한 선행 연구 및 2017년 이후에 편찬된 대학 글쓰기 교재 10여 종을 검토한 후, 학생들의 활동과 사고를 요하는 글쓰기 교재의 ‘문장’ 영역에 대한 구성 및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한 교수자는 학생들의 활동과 사고로서 문장을 수정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또 학생들이 수정한 문장에 대한 이해 및 수정 의도 등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충분한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함을 논하였다. 결과:이로써 학생들은 바른 문장 생성 시에 고려해야 할 각 항목들에 대한 문장 수정 방법을 자연스럽게 학습 및 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문장을 수정함에 있어 여러 항목들을 다각도로 살필 수 있는 안목, 글쓴이의 의도에 맞는 문장 생성 안목 등을 키울 수 있다. 결론:문장력은 일종의 기술이므로 바르지 못한 문장을 바른 문장으로 고쳐 나가는 고민의 시간과 과정이 필요하다. 본고의 ‘문장’ 영역을 통해 미약하게나마 학생들의 문장력이 강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sector ‘sentence’ in writing material of each university and seek a part of the organizational direction and guidance method of teaching material for the sector ‘sentence’. Methods:To achieve them, organization and contents for the sector ‘sentence’ of writing material demanding students’ activities and thoughts were suggested after conducting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student’s sentence writing and examining about 10 kinds of writing material of university, edited after 2017. And then, teachers based on them organized the environment so as to revise sentences as students’ activities and thoughts and discussed about sufficient feedback considering understanding of students’ revising sentences, their intentions, etc. Results:Therefore students can study and embody sentence revising method. Also, they can cultivate sight that can examine several items from various angles for revising sentences, sight of sentence creation for writer’s intention. Conclusion:As sentence writing ability is a kind of skills, time and process of worrying about correcting incorrect sentences are necessary. Through the sector ‘sentence’ of this thesis, it should be expected to strengthen students’ sentence writing.

      • KCI등재

        16~20세기 한글간찰에서의 기저형 음절말 /ㅅ/과 /ㄷ/에 대한 표기 변화 고찰

        김성옥(Kim Seong ok) 어문연구학회 2018 어문연구 Vol.95 No.-

        본 연구는 16~20세기의 한글간찰을 대상으로, 음절말에서의 /ㅅ/과 /ㄷ/이 중화되는 과정에서 기저형 음절말 /ㅅ/과 기저형 음절말 /ㄷ/이 ‘ㅅ’형으로의 표기적 경향을 이루는 변화 과정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음절말에서의 /ㅅ/과 /ㄷ/이 15세기에는 변별되어 쓰이다가 16세기쯤에 이들이 중화되는데, 이때 중화의 초기 단계에서는, 기저형 음절말 /ㅅ/은 그 기저형을 유지하는 가운데 기저형 음절말 /ㄷ/이 ‘ㅅ’형과의 혼기를 보이기 시작한다는 것, 그리고 혼기의 초기 단계임에 따라 이 시기에는 /ㄷ/이 ‘ㅅ’으로의 표기형보다 /ㄷ/을 유지한 표기형이 많았던 것임을 알 수 있었다. 17세기 중 · 후반기에 들어서는 기저형 음절말 /ㅅ/은 여전히 기저형 /ㅅ/을 유지하는 가운데 기저형 음절말 /ㄷ/이 ‘ㅅ’형으로의 표기 변화가 확산됨으로써 이 시기에는 음절말에서의 ‘ㅅ’형이 ‘ㄷ’형보다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18세기 이후에는 기저형 음절말 /ㄷ/이 대부분 ‘ㅅ’형으로 표기되면서 이 시기에는 기저형 음절말 /ㅅ/과 기저형 음절말 /ㄷ/이 모두 ‘ㅅ’형으로의 표기적 경향을 보임을 살필 수 있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the changing procedure of the writing trend that the base-type syllable-finals /ㅅ/ and /ㄷ/ started to be written as ‘ㅅ’-type while the process that the syllable-finals /ㅅ/ and /ㄷ/ became neutralized among the Hangeul Letters used during the 16th and 20th Centurie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syllable-finals, /ㅅ/ and /ㄷ/ were used differently during the 15th century, but those syllable-finals became neutralized in around the 16th Century.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neutralization period, the base-type syllable-final, /ㅅ/ maintained its base-type while the other one, /ㄷ/ started to be mixed-spelled with the former. An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mixed spelling, more number of the syllable-final, /ㄷ/ was used rather than the number of the one that was written as ‘ㅅ’. However, during the middle and late stages of the 17th Century, all number of the syllable-final, /ㅅ/ was written as it was whilst the number of the other one, /ㄷ/ that was written as ‘ㅅ’ became bigger while having been wide-spread. Thu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ㅅ’ type used at that time dominated over that of ‘ㄷ’ type.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it has been in the trend after the 18th Century that both of the base-type syllables /ㅅ/ and /ㄷ/ were written as ‘ㅅ’ while most of the number of the base-type syllable-final /ㄷ/ was written as ‘ㅅ’ type after 18th Century.

      • KCI등재

        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의 표기법 특징

        김성옥(Seong ok Kim),정태(Jeong tae Kim)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4 No.-

        본 연구는 동춘당 송준길家 한글간찰 중에서 19세기 말 ~ 20세기 초 간찰에 대한 표기를 분석하여 개화기 국어의 표기법 특징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한글간찰자료는 구어적인 요소(연철과 중철표기 등)와 표기의 보수적인 요소(' · '의 혼기 양상과 ㄹㄴ표기형 등)가 함께 공존함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연철 · 중철 · 분철표기가 혼기되는 가운데 분철표기는 곡용에서, 연철표기는 활용에서 많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연철표기와 분철표기의 양상이 시대별 표기경향과 더불어 형태론적인 범주별 표기경향 또한 배제할 수 없음을 논의하였다. 중철표기의 경우, 곡용은 체언말에 'ㅅ(ㄷ)'을 가진 어형에서, 활용은 현대국어의 용언 '있­'에서 대부분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된소리 표기에는 ㅅ계 합용병서가 쓰이고 있으며, ㅂ계 합용병서는 'ᄡᅥᆺᄉ · ᆸᄂ · 이다(1164), 바ᄂ · ᆯ 세 ᄡᅣᆷ(1164), ᄡ · ᆺᄂ · ᆫᄃᆡ(1202)' 외에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셋째, ' · '가 비음운화되었음에도 본 간찰자료에서는 'ᄒ · 나(하나 1147), ᄉᆡᆼ각(생각 1131), 동ᄂᆡ(동네 1151), 쳘ᄂ · ᄅ · (>철로로, 1191), 만흘ᄉ · 록(>많을수록, 1150), 모ᄅ · 오니(모르오니 1063)' 등, ' · '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음절말 'ㅅ'표기를 통하여 현대국어에서 용언어간의 '있­'과 문법형태소 '­았/었­, ­겠­'이 이 당시는 기저형이 '잇­, ­앗/엇­, ­겟­'이었음을 추정하였다. 다섯째, ㄹㄴ형이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팔니면(1135), 놀납­(1152)'처럼 용언에서, '쳘ᄂ · (鐵路 1191)'처럼 한자어 구성에서, 그리고 'ᄯᅡᆯ노(1130), ᄉ · 별노(1130), 시골노(1151)'처럼 체언말 'ㄹ'과 부사격조사 '로'의 결합인 곡용 등에서 ㄹㄴ형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글간찰을 통한 개화기 국어의 다양한 표기상의 혼기는 『한글마춤법통일안』(1933)을 계기로 현대국어와 같이 통일화 및 규정화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orthography of letters use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Dongchudang Song Jun-gil's family Hangeul Letters to consider the orthographic features of Korea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rough this, it's found that in Hangeul Letters coexist colloquial elements(yeoncheol & jungcheol writing and etc.) and conservative elements of writing(' · ' intermixed, ㄹㄴ-writing and etc.). First, while yeoncheol/jungcheol/buncheol writings were intermixedly used, buncheol writing appeared more in declension, yeoncheol writing in inflection. For this reason, it discussed that the phases of yeoncheol and buncheol writing cannot exclude the writing tendency by morphologic category along with the writing tendency by time. As for jungcheol writing, most of jungcheol writing appears in word form with 'ㅅ(ㄷ)' at the end of nouns while most of inflection appears in '있­', a predicate of modern Korean. Second, "ㅅ"-initial onset Clusters are used to write fortis while 'b'-initial onset clusters are hardly found. Third, though ' · ' gets nasalized, it appears in various forms like 'ᄒ · 나(hana 1147), ᄉᆡᆼ각(saenggak 1131), 동ᄂᆡ(dongnae 1151), 쳘ᄂ · ᄅ · (>cheolroro, 1191), 만흘ᄉ · 록(>maneulsurok, 1150), 모ᄅ · 오니(moroni 1063).' fourth, through writing 'ㅅ' at the end of syllable, it's guessed that '있' of predicate stem and '­았/었­, ­겠­' of verbal conjugation in the modern Korean were '잇­, ­앗/엇­, ­겟­' in their underlying form at that time. Fifth, it's found that 'ㄹㄴ'-form appeared in various settings. It appeared in predicates like '팔니면(1135), 놀납­(1152),' in Chinese character composition like '쳘ᄂ · (鐵路 1191)' while declension appeared in 'ㄹㄴ'-form by adverbial particle, '로,' combined with 'ㄹ' at the end of noun like 'ᄯᅡᆯ노(1130), ᄉ · 별노(1130), 시골노(1151).' This intermixing of various writings in Korean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got unified and codified as in modern Korean when 『The Draft for Unified Spelling System of Hangeul』(1933) was decr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