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다중 Tier 온라인 서비스 상에서 대량 데이터 출력 성능 향상을 위한 비동기 통신 기법

        김성룡 ( Sung-lyong Kim ),오재오 ( Jae-oh Oh ),조윤호 ( Yoon-ho Jo ),이상근 ( Sang-keun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2

        본 논문은 다중 Tier 상에서 온라인 서비스 대량 데이타 처리를 빠르고 정확하게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Tier 가 많은 온라인 서비스상에서 대량의 데이타를 빠르게 처리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Tier 간 지연 시간의 최소화, 네트워크 대역폭를 고려한 트란잭션(Transaction)의 적절한 분할 통신, 이 기종간의 데이타 변환 시 처리속도 개선 등이 해결해야 할 주요한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된다고 해서 괄목할 만한 성능의 개선은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바로 Partial Query 에 의한 데이타 통신이 꾸준히 반복 발생하기 때문이다. 온라인 서비스의 특성상 대량 데이타는 많은 사용자의 효율적인 트란잭션 처리를 위하여 분할 (Partial) 처리되어 통신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을 준수 하기 위해서는 데이타 사이즈에 비례하는 반복의 증가가 불가피하다. 그래서 반복 횟수를 줄이는데 포커스를 두고 온라인 서비스 대량 데이타 처리에 대한 성능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반복이 최소화 될수록 성능은 최대한으로 유지되며, 다른 어떤 기술적인 요소를 개선하는 것보다 큰 효과를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제품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프로토타이핑 지원도구에 관한 연구

        김성룡 ( Sung-lyong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1 No.-

        연구배경 현대의 제품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사용자가 목적하는 콘텐츠까지 접근하도록 사용자의 시스템 조정과 결정 행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율적인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프로토타이핑은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중요한 디자인 과정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나 이를 분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원도구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토타이핑을 통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 및 활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토타이핑 지원도구를 제안한다. 연구방법 선행 연구와 문헌 연구를 통해 기 개발된 프로토타이핑 지원 도구와 데이터 시각화 방법들을 연구하고,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형태를 정의하고, 구조를 설계하여 새로운 프로토타이핑 지원도구를 제안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프로토타이핑 지원도구는 기능 모델과 사용자 행위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기능 모델은 데이터 시각화 방법 중 리스트 소팅 다이어그램을 이용해 사용자 입력행위를 시각화하여 보여줌으로써, 설계된 인터페이스가 효율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고, 사용자 행위 모델은 플로우차트 다이어그램을 이용해 사용자의 행위 수행과 수행에 따른 결과로의 진행 과정을 시각화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제품 사용 패턴을 쉽게 찾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결론 개별 디자이너의 경험을 바탕으로 단편적으로 행해지던 데이터의 분석을, 시각화된 데이터를 통해 비교·분석하게 함으로써, 디자이너가 제품시스템의 기능적 사용 패턴과 사용자의 실제적 행위 패턴을 쉽고 빠르게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품 시스템 전반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 efficient interface design that can help users to adjust system and make a proper decision for accessing to contents on purpose is became important in modern product system. Various researches about prototyping which is important design process for designing an efficient interface are being conducted, but researches about the method of analyzing and utilizing the prototyping data are negligible. In this study, I propose a prototyping support tool to assist i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utilization through prototyping. Methods After analyzing about the existing prototyping support tools and data visualization methods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literature studies, defining the shape and designing the structure for a new prototyping support tool are conducted. Then, a new prototyping support tool will be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sult The prototyping supporting toolkit which is composed of two models, Functional Model and User`s Behavior Model, was proposed in this paper. Functional Model makes designers to examine whether an interface of prototype is working effectively by visualizing the user`s input activities using List Sorting Diagram. User`s Behavior Model makes designers to managing and analyzing the product use pattern data of users by visualizing the progress to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user`s action performed using Flow Chart Diagram. Conclusion Analyzing the prototyping data has been made fractionally on the experience of the individual designers. However,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visualized data, the prototyping support toolkit makes the designer identify easily and rapidly the functional use patterns and the user`s actual behavior patterns of a product system. This allows the designer will be 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terface to the overall production system.

      • KCI등재

        프로토타이핑 중심의 제품디자인 스튜디오 수업과정 제안에 관한 연구

        김성룡 ( Sung Lyong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산업사회에서 제품디자이너의 역할은 제품개발의 마지막 단계에서 요구되어지는 제품형상의 개발이었다. 하지만, 정보화, 지식화, 네트워크화로 대변되는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는 제품을 단순한 기능적 목적 해결에서 사용자의 경험적 요구까지 충족시켜야 하는 역할로까지 확대되어 졌다. 사용자의 경험과 사용성 증대를 위한 가장 보편적이고 효율적인 디자인 도구는 프로토타이핑이다. 하지만, 사회적 요구와는 반대로 대학 교육에서 프로토타이핑의 역할은 점점 축소되고 있다.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이 더욱 확대되는 현대의 제품 디자인에서 프로토타이핑의 활용은 과거 대학의 스튜디오 수업과정에서 행해지던 수준보다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프로토타이핑 중심의 스튜디오 수업과정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먼저 프로토타이핑 관련 문헌들을 조사해 프로토타이핑의 개념과 역할을 정의하고, 현 대학교육에서 실시되고 있는 스튜디오 수업을 분석하고 장단점을 조사한 후 프로토토이핑 중심의 스튜디오 수업과정을 제안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판단했다. 이를 통해, 제안된 스튜디오 수업과정의 효용성을 3가지로 결론지었는데 첫 번째는 학생들이 프로토타이핑 경험의 축적을 통해 논리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고, 두 번째는 제품의 기능적요소, 형태적 요소 및 사용자의 경험적 요소간의 상호관계를 통찰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세 번째는 학생들 스스로 사용성과 사용자 경험을 논리적으로 제품디자인에 적용하고 형태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제품디자인 스튜디오 수업과정을 사용자 경험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적합하도록 프로토타이핑 중심의 수업과정으로 변환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사용자와 제품의 관계를 이해하고 제품이 가지는 실제적 차원의 문제들을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 role of the product designer in the industrial society has been the development of a product shape that is required during the final stage of the product development. However, the role of the designer in the information society has been expanded to meet the needs of user’s experience as well as the users`` needs for the functional purpose. The most common and efficient design tool for improving the user experience and usability is prototyping. However, as opposed to these social needs, the role of prototyping in higher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reduced. In situations where the expanding importance of user experience in modern product design, use of a prototype may have to be further expanded than levels that were conducted in the past product design studio class. To do this, first, I researched prototypes literature and defined the concept and role of the prototyping. And analysis was conducted in a studio class of university and examined the pros and cons. After that, product design studio class was proposed and the efficacy was judged through applying it to real classes. Through thi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lass was concluded into three. The first is to cultivate the logical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the accumulation of prototyping experience. The second is to improve the ability to insight in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unctional elements, form factors, and the user``s experiential element of the product. The third is for students themselves to logically apply usability and user’s experience to the product design and have ability to determine the form of the product. Through transforming the existing studio class to the studio class focused on prototyping to meet the contemporary flow of user experienc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product and experience the real dimension of the problem with the product.

      • 소아 V.C.U.G 검사 시 나타난 Reflux의 유형별 고찰

        안창룡(Chang Lyong Ahn),반영각(Yung Kag Ban),김성룡(Sung Lyong Kim),임재남(Jae Nam Lim),조승영(Seung Yung Cho)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06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06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type of grade reflux associated with VCUG. We preformed VCUG on 100 children under age 5(mean age:12months, range of age: 0 day to 5 years old). We observed for reflux during the procedure and graded the reflux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grading system. Out of the 100 patients 20 patients showed reflux. Out of the 20 patients there were 15(75%) male and 5(25%)were female. The age distribution revealed 7(35%) children under 12 months of age, 5(25%) children over 12 and under 24 months of age, 3(15%) children over 24 and under 36 months of age, and 5(25%) children over 36 months of age. In the type of reflux, 7(35%) children showed unilateral, 13(65%) children showed bilateral. The distribution of the type of grade was 5(15%) children with grade Ⅰ, 10(31%) children with grade Ⅱ, 10(30%) children with grade Ⅲ, 8(24%) children with grade Ⅳ. Performing VCUG in children under age 5 will be able to enhance the detection of vesico-ureteral reflux and help thoroughly diagnose the degree of the reflux. Therefore, VCUG can be used as a basic examination for the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and it could be performed irrespective of the performance of the kidney ultrasonic waves and DMSA renal inj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