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MPLS 망에서 차별화 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빠른 Multipoint-to-Point LSP 결정 방식

        김성관,조영종,Kim, Seong-Gwan,Jo, Yeong-Jong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9 No.5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망에서 LSP(Lable Switched Path)의 수와 레이블 수를 줄이는 것은 망의 자원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MTP(Multipoint-to-Point) LSP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고려할 때, MTP LSP는 트래픽 부하의 균형을 통한 망의 가용성과 링크 사용율을 높이는 경로를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링크 단절시의 재 경로 설정이 요구되므로 빠른 경로 결정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Diffserv를 지원하는 MPLS 망에서, Diffserv의 PHB(Per Hop Behavior)와 다중경로 MTP LSP간의 매핑을 통한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트래픽 엔지니어링은 서비스 특성에 따라 계층적인 MTP LSP의 다중 경로를 결정한다. Monte-Carlo 방법을 사용한 빠른 트래픽 부하 균형 해를 구함으로써, 망 형태 정보가 빈번히 변하는 대규모 망에서 신속한 재 경로 결정을 할 수 있다. 제안하는 MTP LSP의 경로 결정 방법은 알고리즘의 수행 정도에 따라 최적의 경로 결정에 접근한다. 경로 결정의 시간 복잡도는 O(Cn²logn)으로 기존의 다중 경로 결정 방법과 동일한 시간 복잡도를 가지며, 선형 프로그래밍 접근보다 빠른 수행 시간을 갖는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망의 형태정보와 요구하는 트래픽 부하 균형에 따라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음을 보이며, 또한 제안하는 트래픽 엔지니어링의 호 차단율과 대역폭 차단율을 비교함으로써 망의 가용성이 기존의 다중경로 설정보다 높음을 보인다. In a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network,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number of labels and LSP(Lable Switched Path)s for network resource management. MTP(Multipoint-to-Point) LSP can be used to solve this problem. In consideration of traffic engineering, MTP LSP must be chosen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network and link utilization. Also, a fast mechanism to setup MTP LSPs is required for rerouting capability against link failu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st MTP LSP traffic engineering of multipath MTP LSP by using a mapping of a MTP LSP upon Diffserv PHBs(Per Hop Behavior) in a Diffserv-capable MPLS network. In the proposed traffic engineering, we determine multiple MTP LSPs in a hierarchical mann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ervices. By using Monte-Carlo method for traffic load balancing process, it provides fast rerouting capability in case of frequent link failure across large network. Out method produces to be nearly optimal within reasonable run-times. It's time complexity is in O( Cn$^2$logn) as conventional multipath routing and it is much faster than Linear Programming approach.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raffic engineering can be controlled effectively in an administrative manner and enhance the availability of network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ultipath routing.

      • 화력발전소 통풍설비의 Main Bearing Assembly 설계 및 해석

        류형룡,조인호,김성관,전성일,편영식,Ryu, Hyeong-Ryong,Cho, In-Ho,Kim, Seong-Gwan,Jeon, Seong-Il,Pyoun, Young-Sik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Transactions of the KSME. C, 산업기술과 혁신 Vol.1 No.1

        Constant airflow should be kept in order to operate a constant-fired boiler of thermal power plants. Main Bearing Assembly Unit which rotates the ventilation fan does very important role to maintain constant airflow. However, the demand to the output of power is getting increased while the quality level of coal is getting worse than the initial level of design criteria. Especially cost wise operation considering increasing output and the difficulty to supply good quality coal drive increasing supply of low quality coal. As a result, the service life of Main Bearing Assembly is getting shorter till 2~3 years which is just a half of the life of original design. In this study, what causes to shorten the service life of Main Bearing Assembly Unit is analyzed through the reverse engineering and analysis and how to improve the service life more than two times to current situation is explained. 화력발전소의 보일러를 일정한 화력으로 가동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통풍량을 유지시켜야 한다. Main Bearing Assembly Unit 일정한 통풍량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Fan을 회전시킨다. 그러나 점차 발전량이 많아지는 반면에 발전을 위하여 투입되는 석탄의 질은 초기의 보일러 설계 기준보다 나빠지고 있다. 특히 원가절감의 일환으로 또는 자원의 고갈로 인한 고급품질의 석탄 확보가 어려움으로 인하여 점차 낮은 질의 석탄이 투입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초기 설계시의 Main Bearing Assembly의 수명보다 약 절반의 수명인 2~3년의 주기로 Main Bearing Assembly의 정비교체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ain Bearing Assembly Unit의 역설계 해석을 통해서 수명단축의 원인을 분석하고 초기 목표 수명을 가질 수 있도록 새로운 시스템으로 개선하여 개발하고자 한다.

      • A Study on the Effect of Heart rate based Left Ventricular Global Function on the Time of Contrast Enhancement

        서충범(Choong-Beom Seo),남태현(Tae-Hyun Nam),채희창(Hee-Chang Chae),김성관(Seong-Gwan Kim),서은희(Eun-Hee Seo),대창민(Chang-Min Dae)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21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23 No.1

        목적: 심장 기능 지표와 조영 증강 시간 간의 일정한 상관관계가 성립하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심장의 기능에 따른 예상 조영 증강 시간을 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장 기능 평가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팬텀 연구를 선행하였다. 임상 연구로 CCTA를 시행한 27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영제 주입 속도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누어 다양한 심장 기능을 측정하고 조영 증강 시간를 비교하는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심장 기능 지표는 심박동수, 심박출량, 심장박출지수, 초당 심장박출지수, 좌심실 구혈률, 심박동수에 따른 초당 좌심실 구혈률을 사용하였다. 결과: 팬텀 연구에서 ECG 동조 관전류 변조로 측정한 용적의 변화율은 0.1 % 이하로 심장 기능 측정의 적정성을 확인하였다. 후향적 연구 결과 심장의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들 중 심박동수에 따른 초당 좌심실 구혈률이 조영 증강 시간과 명확한 음의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고 가장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조영 증강 시간과의 상관관계에서 회귀식을 통해 예상 조영 증강 시간을 도출하였으나 회귀식은 성립하지 않았다. 결론: 조영 증강 시간과 심박동수에 따른 초당 좌심실 구혈률은 명확한 상관관계를 가지나 다양한 인자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조영 증강 시간을 심장의 기능만으로 예측할 수는 없었다. 추후 체내 순환 인자들의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지속된다면 환자의 상태를 기반으로 한 조영 증강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It was intended to find out whether a constant correlation between the cardiac function and the contrast enhancement time was established and to obtain the estimated contrast enhancement time according to the cardiac function. Material and Method: A phantom study was preceded to verify the adequacy of cardiac function evaluation. A retrospective study of 273 patients who performed CCTA was conducted to measure cardiac function and compare contrast enhancement time. Cardiac functional indicators used Heart Rate, Cardiac Output, Cardiac Index, Cardiac Index per secon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an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per second based on heart rate. Results: In the phantom study, the change rate of volume measured by ECG based tube current modulation was less than 0.1%. A retrospective study found th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per second based on heart rate showed a clear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trast enhancement time (P<0.01) and the highest reliability. Through this, the expected contrast enhancement time was derived from the regression equation in correlation with the contrast enhancement time, but the regression equation was not established. Conclusions: The contrast enhancement time an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per second based on heart rate were clearly correlated, but the contrast enhancement time, which consists of the complex interactions of various factors, could not be predicted by the cardiac function alone. If the study of the effects of circulating factors in the body continues, it is believed that contrast enhanced CT based on the patient s condition will be possible.

      • The Study of the Usefulness of Breathing method using Straw for Larynx CT Examination

        채희창(Hee-Chang Chae),남태현(Tae-Hyun Nam),서충범(Choong-Beom Seo),김성관(Seong-Gwan Kim),권순안(Soon-Ahn Kwon),대창민(Chang-Min Dae)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9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21 No.2

        목적: 후두 CT검사에서 후두부의 움직임 인공물을 제한하기 위해 보조기구를 이용한 호흡법의 유용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를 위해 64 MDCT와 3D 워크스테이션을 사용하였다. 빨대를 다른 세 가지 각도로 적용한 두경부 팬텀을 스캔하였다. CT number와 noise를 측정하기 위해 4곳의 해부학적 위치에 관심영역을 설정하였다. CT number와 noise의 기준값은 ±5%로 설정하였다. 임상 연구는 성문상부, 성문부, 성문하부의 면적 평가와 성문부분에서의 성문각의 변화, 이상동의 확장 및 후두실의 묘출능력을 측정하였다. 5점 척도로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팬텀 연구에서 측정된 CT number와 noise는 기준값인 ±5%를 만족하였다. 임상 연구에서 정량적 평가 결과 성문상부 및 성문하부의 변화율은 각 각 22.6%, 8.7% 증가하였으나, 성문부는 18.2% 감소하였다. 성문각의 변화율은 10.1% 감소하였다. 이상동은 28.1% (좌), 26.2% (우) 증가하였다. 후두실은 실험군 50명에서 나타났다. 정성적 평가에서 빨대를 이용한 호흡법을 사용하였을 때 motion artifact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빨대를 이용한 호흡법은 충분한 진단학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두의 고품질 영상이 병기 결정에 도움을 주어 적절한 치료 방법의 선택에 도움이 될 것이다. Purpose: The study purpose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straw-blow method to limit the motion artifact of the larynx. Material and Method: 64 MDCTs and a 3D workstation were used for this study. In phantom study, we scan a head phantom with three different angles of straw. We set area of interests at the four anatomical location to measure CT number and noise. The reference value of CT number and noise is set to ±5%. In clinical study, assessment of supraglottis, glottis, subglottis and the glottic angle, the vertical distance of the pyriform sinus and the appearance of laryngeal ventricle were measured. In addition, five points scale method was used as a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In phantom study, measured CT number and noise were satisfied reference value of ±5%. In clinical study, quantitative assessment results showed that the change rate of supraglottis and subglottis area increased by 22.6% and 8.7%, while the glottis area decreased by 18.2%. The rate of change in the glottic angle decreased by 10.1%. the pyriform sinus increased by 28.1% (left) and 26.2% (right). the laryngeal ventricle was shown that 50 ca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Qualitative evaluation showed that motion artifact didn’t occur with straw-blow method. Conclusions: Straw-blow technique can provide sufficient diagnostic information. Furthermore, high quality image of larynx will be helpful for decision-making of appropriate treatment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