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nline 의료웹서비스 품질과 지식제공성과의 관계 연구

        김상만 ( Sang Man Kim ),엄기현 ( Ki Hyun Um ),오재영 ( Jae Young Oh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0 지식경영연구 Vol.11 No.1

        As information technology had shown tremendous development in late 20th century, various service opportunities appeared in many industries. Also, new types of service are becoming available such as, reservation, teleconsultation, telemedicine. In health care industry, in which, many hospitals are faced operational difficulties and competing impetuously, a web site has become a effective tool to attract patients and transfer tremendous health information to the patients. This study is based on many previous researches on online service quality, try to figure out e-service quality factors of health information sites, and the factors` effect on users` satisfaction on the web site via providing knowledge and trust on the web site. As a result, usability, site aesthetic, responsiveness and security are the 4 factors to measure e-servic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web site. All factors except site aesthetic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roviding knowledge, security only effects on trust on the web site.

      • KCI등재

        확장된 목표지향 행동모형을 적용한건조 농산물(건대추)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김상만 ( Kim Sang-man ),박세영 ( Piao Shi-yong ),허용봉 ( Heo Yong-bong ),주재창 ( Joo Jae-chang ),이종인 ( Lee Jong-in ) 한국식품유통학회 2018 食品流通硏究 Vol.35 No.3

        Increased consumer interest and the formation of new markets are increasing demand for production and drying of dried agricultural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ed an extended model of goal - directed behavior(EMGB) in order to identify the decision - making process of customers who purchased dried dat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sampling method with the 250 person who had purchase dried dates. These data were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8.0 and AMOS 18.0 which to verifying individual hypothe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employ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latent variables after developing the proper measurement model. The results of the EMGB indicated that desire had the strongest relationship with customers' intentions to purchase dried dates, followed by prior knowledg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or dried dates. In the model, customer satisfaction was a sense of perceived conduct, prior knowledge. In the case of the little study of EMGB model using for agricultural and rural area, this study provide the useful implication which induce the producer of dried dates to strengthen marketing strateg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국제노동기구(ILO)의 핵심협약과 FTA 협정상의 노동 조항(노동 장)에 대한 고찰

        김상만(KIM, Sang-Man)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17 No.2

        우리나라의 FTA는 2003년 한-칠레 FTA 체결을 시작으로 2014년 3월 11일 한-캐나다 FTA 타결까지 총 12건에 49개국과의 FTA를 타결하였으며, 현재 한-중 FTA 등 6건의 FTA가 협상 중에 있다. 우리나라는 2013년 기준 무역의존도가 89.8%로 무역은 국가경제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는 바, 지속적인 무역확대를 위하여 FTA의 확대가 절실하다. “국제노동기구(ILO)”는 국제노동기준을 정하고 평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비록 ILO가 국제노동기준을 강행할 수는 없지만 노동기준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ILO에서는 1919년에 “공업부문 사업장에서 근로시간을 1일 8시간, 1주 48시간으로 제한하는 협약(제1호)”을 채택한 이후 현재까지 189개의 협약을 채택하였다. 그 중에서 “강제노동에 관한 협약(제29호)”, “강제노동 폐지에 관한 협약(제105호)” 등을 8대 핵심협약이라고 한다. 우리나라가 타결한 FTA 중에서 한-미 FTA, 한-EU FTA 등 7건의 FTA 협정문에서 노동 조항(노동 장)을 두고 있다. 노동 조항에서는 대체로 결사의 자유, 단체교섭권의 효과적인 인정, 강제노동의 금지, 아동노동 금지, 고용 및 직업상의 차별의 철폐 등 핵심노동권의 준수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FTA 협정문에서는 이러한 “핵심노동권”의 구체적인 의미에 대해 규정하지 않고 있어 그 해석에 대해 다툼이 될 수 있는데, ILO의 핵심협약 및 국제노동기준은 상기의 노동 조항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Since Korea signed its first Free Trade Agreement (FTA) with Chile in February 2002, it concluded 12 FTAs with 49 countries.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is the United Nations body responsible for setting international labor standards, which are formulated as conventions and recommendations. Since its founding in 1919, the ILO has formalized an array of labor rights into 189 conventions or labor standards. There are eight fundamental Conventions (on prohibition of forced labour, child labour, the right to organise in a trade union, and suffer no discrimination) which are binding upon every member country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from the fact of membership, since the Declaration on Fundamental Principles and Rights at Work in 1998. The other Conventions are binding upon member countries whose legislatures have chosen to ratify them. Once ratified, because there is no international labour court as such, Conventions rely for their enforcement upon the jurisprudence of domestic courts. A number of FTA agreements include “labor provisions (labor chapter), and 7 FTA agreements of Korea’s include labor provisions. As those FTA agreements, however, do not describe in detail the core labor rights, the ILO’s Conventions and the provisions will help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FTA’s labor provisions (labor chapter).

      • KCI등재

        신기후체제 파리협정 이행을 위한 유럽연합(EU)의 입법안에 대한 고찰

        김상만 ( Kim Sang-ma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5 No.3

        지구기후변화는 인류 및 모든 생명체에 가장 큰 위험중의 하나이고, 인간활동으로부터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기후변화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국제연합(UN)에서는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을 채택하였고, 1997년 유엔기후변화협약의 시행령에 해당되는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를 채택하였다. 그리고 2015년 12월 교토의정서의 2차 공약기간(2013∼2020년) 이후에 적용되는 신기후체제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을 채택하였다. 파리협정은 교토의정서를 대체하는 새로운 기후변화체제로 2016년 11월 4일 발효되었고, 2020년에 적용된다. 유럽연합(EU)은 온실가스배출 감축 및 지구기후변화 방지를 위하여 가장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유럽연합의 기후목표는 2050년에는 1990년 대비 80∼95%까지 감축하는 것인데, 온실가스배출은 1990년에 비교하여 2030년까지 온실가스배출을 최소40% 이상 감축하는 유럽연합의 목표를 달성할 정도로 충분히 감축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았다. 2016년 7월 20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파리협정 이행을 위한 입법`을 제안하였는데, 이 법안의 제안에 앞서 법안에 대한 환경적·경제적·사회적 입법영향평가를 실시함으로써 법안의 시행에 따른 부담을 최소화하고, 최적의 대안을 도출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법안의 주된 목적은 파리협정을 이행하기 위한 것으로 부속서 1에서는 유럽연합 각 회원국별로 차등적으로 2005년 대비 2030년까지의 온실가스배출감축 목표를 정하고 있고, 이를 모두 합산하면 유럽연합의 전체 감축목표인 30% 감축이 된다. 2017년 6월 14일 유럽의회는 제1차 법안심의에서 이 법안을 대폭 수정의결 하였는데, 이는 유럽의회에서 파리협정 이행을 중요하게 보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Climate change is one of the biggest dangers to all living creatures including mankind, and man-made greenhouse gas emission is the main cause of the climate change. The United Nations (“UN”), in 1992, adopted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to "stabilize greenhouse gas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at a level that would prevent dangerous anthropogenic interference with the climate system". The UN, in December 2015, adopted the Paris Agreement to deal with greenhouse gases emissions mitigation, adaptation and finance starting in the year 2020, and the agreement went into effect on 4 November 2016. The Paris agreement is a historically significant landmark agreement that covers almost all of the world`s emissions. All Parties should undertake and communicate ambitious efforts as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to the global response to climate change. On 20 July 2016, the European Commission presented a proposal for the European Union to ratify the Paris Agreement following the Commission`s assessment of the Agreement. This legislative proposal forms par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EU`s commitment under the Paris Agreement. The EU`s commitment to economy-wide emission reductions was confirmed in the intend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of the Union and its Member States that was submitted to the Secretariat of the UNFCCC on 6 March 2015. The European Parliament adopted amendments to the proposal on 14 June 2017.

      • KCI등재

        한방복합제에 의한 산후체중 조절요법이 출산후 체중감소에 미치는 영향

        김상만 ( Sang Man Kim ),양재혁 ( Jae Hyuk Yang ),임재연 ( Jae Youn Lim ),박정우 ( Jung Woo Park ),권석형 ( Suk Hyung Kwon ),황보식 ( Sik Hwangbo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6 No.1

        본 연구는 산후조리용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은 정상 임산부 54명 (대조군)과 섭취한 임산부 51명(실험군)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 평균연령은 대조군이 29.3세, 실험군이 29.1세였고, 임신전 체질량지수는 대조군이 22.8, 실험군이 22.3으로 대조군이 약간 높았으나, 모두 정상범위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임신중 총 체중증가는 대조군이 19.1kg, 실험군이 17.8kg이었다. 만삭시 체중 및 출산 직후 체중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출산 1개월 후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0.4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이 0.7kg 감소되어 두 군간의 유의한 체중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출산 2개월 후 체중변화는 대조군이 2.3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은 6.5kg 감소되어 실험군에서 유의한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0.01). 출산 3개월 후 체중 변화는 대조군이 3.7kg 감소되었고, 실험군은 9.8kg 감소되어 실험군에서 유의한 체중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p<0.01). 출산 1년 후 체중감소는 대조군은 5.0kg, 실험군은 10.4kg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으며 (p<0.01), 출산 1년 후 체질량 지수도 대조군 25.7, 실험군 21.6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This studies were performed to functional food consisted of herb mixture having an effect on postpartum body weight control in 105 subjects ( control group n=54, experimental group n=51). Mean age of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ere 29.3 and 29.1. Mean pregravida body mass index of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ere 22.8 and 21.5 . Total weight gain during the period of pregnancy of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were 19.1kg and 17.8kg. In this studies, changes in postpartum weight was measured until one year after parturition. Until 1 month after parturition, there almost had no changes in weight all of two groups. But after 2 month, change in weight loss between two groups was shown definitely. Mean weight loss of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ere 2.3kg and 6.5kg after 2 month, 3.7kg and 9.8kg after 3 month, 5.0kg and 10.4kg after 1 year (p<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