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文型を中心とした動詞の分析- 「習う」「学ぶ」を例に -

        김봉정 한국일어일문학회 2024 日語日文學硏究 Vol.129 No.-

        본고에서는 일본어 유의동사 「習う」와 「学ぶ」를 고찰대상으로 하여 문형을 중심으로 한 각 동사의 통어적 성질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문형 분석에는 「NINJAL -LWP for BCCWJ」에 근거하여, 각각의 동사가 결합하는 명사의 성질을 바탕으로 하였다. 「習う」는 2개의 문형을 제시하였다. 먼저, 동작성 명사가 を격으로 「習う」와 결합한 경우에는 「방법(노하우)를 익힌다」(『新明解辞典』(2020:1167))는 의미를 나타낸다(문형1). 다음으로, 지식의 출처가 되는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가 に격으로 「習う」와 결합한 경우에는,「그 사람에게 배웠다」는 경험에 중점이 놓여, 그것이 문장 주어가 갖는 성질의 하나로 서술되는 문장이 된다(문형2). 한편「学ぶ」는 동작성 명사보다는 내용성 명사와 결합하는 경우가 많으며, 학문의 종류를 나타내는 を격 명사와 결합한 경우, 일정의 내용을 습득하는 것을 나타내며, 조사한 코퍼스에서는 해당 문형이 빈출하였다(문형1). 「失敗・経験から大切さを学ぶ」와 같이 행동성을 포함하는 から격 명사와 결합한 경우, 「깨닫다」의 의미를 나타낸다(문형2). 또한, 지식의 출처가 되는 사람이 から격으로 상정가능한 경우에는 「先輩からマナーを学ぶ」와 같이 「본받다」는 의미를 나타낸다(문형3). 마지막으로 「習う」에는 존재하지 않는 자동사로서의 쓰임이 「学ぶ」에는 존재함을 문형4, 5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an examination was conducted regarding the syntactic properties of each of the Japanese Synonyms "narau" and "manabu," focusing on sentence structure. The analysis of sentence structures was based on "NINJAL-LWP for BCCWJ,"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nouns that each verb combines with. Two sentence patterns were presented for "narau." Firstly, when a dynamic noun combines with "narau" in the accusative case, it indicates "acquiring a method or technique" (Shin Meikai Jiten, 2020:1167) (Pattern 1). Secondly, when a noun indicating the source of knowledge combines with "narau" in the dative case, the focus is on the experience of "learning from that person," which becomes one of the qualities of the sentence subject (Pattern 2). "Manabu" tends to combine more frequently with nominal nouns than with dynamic nouns, and when combined with a noun indicating the type of academic discipline in the accusative case, it indicates "acquiring certain knowledge," a pattern that was found frequently in the corpus (Pattern 1). When combined with a noun indicating a situation in the ablative case, such as in "learning the importance from failures or experiences," it signifies "realizing" (Pattern 2). Furthermore, when it is presumed that the source of knowledge can be indicated by the ablative case, as in "learning manners from seniors," it signifies "emulating" (Pattern 3). Lastly, through Patterns 4 and 5, it was shown that while "narau" lacks usage as an intransitive verb, such usage exists for "manabu.“

      • KCI등재

        일 농촌 지역 노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관련요인

        김봉정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3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M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it among elders in a rural commun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683 subjects with a questionnaire,physical measurement, and blood test. The prevalence of the MS was determined by AHA/NHLBI and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Koreans. Results: The prevalence of the MS was 50.5% in total (41.6% in men, 56.3% in women) while the prevalence of 5 metabolic risk factors was 67.7% for elevated blood pressure,51.0% for low HDL-cholesterol, and 50.2% for abdominal obesit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the MS included family history, BMI, and physical activity;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at of metabolic components included family history, BMI,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Especially, a higher BMI was a strong risk factor of the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as well as the MS and its components. Conclusion:The findings indicate that nurses should care for elders based on each metabolic component regarding its prevalence level and concentrate primarily on reducing elevated blood pressure, low HDL-cholesterol by controlling the main risk factor, abdominal obesity through lifestyle modification.

      • KCI등재

        도시와 농촌지역 성인의 비만과 개인적, 사회적 환경 요인의 관련성

        김봉정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4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to identify personal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obesity in urban and rural adults using 2013 community health survey (CHS)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6,481 adults aged 19-65 years in urban or rural areas of 197 cities and counties nationwide.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personal and social environment factors related to obesity in ad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health behaviors influencing adult obesity were walking, fruit consumption and high salt preference. Among social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adult obesity, social network was associated with obesity in rural adults, and neighbors' help was associated with obesity in urban adults. Walking and high salt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obesity in both urban and rural adults, but fruit consumption was related only to urban adults.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adult obesity in the community, health promotion strategies including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are required as well as improvement of health behavior,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strategy considering differences in social environ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본 연구는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와 농촌지역 성인의 비만과 관련된 개인적, 사회적 환경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단면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253개 시군구 중에서 197개 시군구의 동(도시) 또는 읍․면(농촌)에 거주하는 19-65세 성인 126,481명이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환경 요인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은 걷기실천, 과일섭취 및 고염식 선호였으며, 사회적 환경 요인은 이웃간 신뢰, 이웃간 도움, 사회활동 참여, 사회연결망이었다. 성인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 요인 중 사회연결망은 농촌지역 성인의 비만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웃간 도움은 도시 성인의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 걷기실천과 고염식 선호는 도시와 농촌 성인 모두 비만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나, 과일섭취 빈도는 도시 성인만 관련이 있었다. 지역사회에서 성인의 비만을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해 개인의 건강행위 개선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 변수를 포함한 건강증진사업 접근 전략이 필요하며, 도시와 농촌지역 간에 사회적 환경의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중재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과 학교수준 요인의 효과: 다수준 분석의 적용

        김봉정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1

        본 연구는 생태학적 접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 및 학교수준 요인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2010 한국청소년건강실태조사’ 자료 중 중고등학생 6,809명을 대상으로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개인 간 비만의 차이는 학교수준이 5.6% 설명하였으며, 개인수준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학교수준 요인이 청소년의 비만을 2.1% 설명하였다. 개인수준 요인에서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연령이 많을수록, 일주일에 5일 이상 신체활동을 실천하고, 과일 섭취를 많이 할수록, 가정형편이 못사는 경우에 비만 위험이 높았으며, 걷기를 하루에 2시간 이상하고, 채소 섭취를 많이 하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비만 위험이 더 낮았다. 학교수준 요인에서는 주당 체육수업시간이 2시간 미만인 학교에 비해 2시간 이상이고, 교사와의 관계가 친밀한 학교의 청소년이 비만 위험이 더 낮았으며, 학교영양교육 경험률이 높은 학교의 청소년이 비만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비만 예방을 위해 개인수준 요인과 체육교육, 보건교육 등의 학교환경 개선을 포함한 다수준의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위한 정책반영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 of individual- and school-level factors on obesity among Korean adolescents.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2010 Korean survey on the health of youth and children, administer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as utilized for analysis. The sample consisted of 6,809 among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incorporating individual- and school-level variables determined factors of adolescent obesity. Individual factors associated with obesity included gender, age, physical activity, walking, fruits and vegetables intake, self esteem, self efficacy, and household economic status. School-level factors tha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includ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2 hours per a week, better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higher percent of students having nutrition education in school. The findings indicate that multilevel prevention strategies to manage and prevent adolescent obesity should include both behavioral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s.

      • KCI등재

        現代日本の新聞における間接受身文の統語的な特徴に関する研究

        김봉정 한국일어일문학회 2020 日語日文學硏究 Vol.112 No.-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indirect passive construction in contemporary Japanese newspapers. The press releases were examined after being sub-categorized into following two groups, a. general press releases including politics, economics, social, etc; and b. sports. First, the press releases possess certain characteristic that many types, in which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the passive sentence and ni-case(agent), or the entire description is read, exist. This is more likely to happen than in sports reports, and the background for this would be the existence of a pair of teams with clear rival relationships in sports articles as shown in examples “sentodasha-ni niruida-wo ut-areru.” and “aitechimu-ni niten-wo tor-areru.”. Although it is an objective statement, it is often described from one team’s perspective. Therefore, even in terms of semantics, the meaning of “indirect damage(adversative meaning)” is read. In a similar type as in example “A-ga B-ni kain-no tasuha-wo ubaw-areru.”, there is a case in which possessive relationship is not obvious with wo-case(objective), but an object that the subject desires to possess appears. Next, in the case of so-called possessive passive appearing in the press release, there are considerably few cases where wo-case complement is a body part of the subject in a passive sentence. 본 연구에서는 현대 일본 신문에 나타나 있는 일본어 간접수동문의 통어론적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4종류의 일본 신문에 등장하는 실제 용례를 고찰 대상으로 하여, 기사의 성질에 따라 분류한 뒤, 구문적, 의미적 성질을 분석하였다. 먼저, 정치, 경제 등의 일반 보도문에서는 수동문의 wo격 보어가 주어의 ‘행동’을 나타내는 타입이 빈출한다. 또한, 주어와 보어 사이에 명확한 소유 관계는 성립되지 않으나, 주어가 소유를 희망하는 명사가 보어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으며, 해당 문장에서는 ‘서술되는 사항은 주어에게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간접적 피해)’는 화자의 판단이 읽힌다는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스포츠 보도문의 경우, 주어와 동작주 사이의 라이벌 관계가 바탕이 된 수동문이 빈출하며, 주어의 간접적 피해 또한 읽힌다. 소설 코퍼스에 출현하는 동일 구조 수동문의 경우, wo격 보어가 ‘신체 부위’인 경우가 많으나, 이와는 구별되는 신문 코퍼스의 특징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평론문의 경우, 보도문과는 달리, 주관을 서술하는 문장이므로 높은 비율의 간접수동문이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실제 코퍼스에서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신문은 중, 상급레벨 학습자에게 중요한 학습 자료 중 하나이며, 특히 해당 간접수동문은 한국어로 직역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타입이 다수이므로 학습과 지도에 주의가 필요할 것이다.

      • 도시와 농촌 지역 성인의 일, 장소이동 및 여가시간 신체활동과 건강수준 비교

        김봉정 청주대학교 보건의료과학연구소 2020 보건의료과학연구 Vol.8 No.2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mong the adults in urban and rural area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status in each physical activity domain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VI—2. Study participants were 5,817 adults aged 19 years or over. T—test, chi—square—test, and spearman correlation were analyzed using PASW 25.0. Results: The amount of work physical activity was higher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while the amount of transport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were higher in urban area. Work, transport,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indicators were similarly correlated in both urban and rural adults. Conclusion: In order to develop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fferences of physical activity domains in urban and rural adults.

      • KCI등재

        농촌 성인의 걷기 실천에 미치는 개인적 요인과 사회적ㆍ물리적 환경 요인의 영향

        김봉정,현혜순 보건의료산업학회 2021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15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s and walking behavior of adults in rural communiti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t sample of 1,529 adults aged 20-64 years from 38 rural areas (eup or myeon) in Chungbuk province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χ ²-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individual factors associated with walking activities of adults in rural communities were age, household monthly income, and self-efficacy for physical activities.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social support for physical activities and safety level of the neighborhood. Finally,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attractive environment for walking and availability of exercise facilities.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suals could be motivated to walk more by providing a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that is favorable for walking. Thus,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afety and scenic beauty, among other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interventions to encourage more walking in rural adults.

      • KCI등재

        初中級レベルの日本語文法の授業におけるCMの活用 について

        김봉정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2 日本語敎育 Vol.- No.99

        본고에서는 초중급 레벨의 일본어 문법 수업에서의 TV광고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광고에 나오는 표현 속의 문법 항목을 분석하였다. 종래의 연구에서 광고의, 외국어 학습 교재로서의 유용성과 가능성에 대해서는 언급되어 왔으나, 문법 수업에서의 구체적 활용안에 대해서는 고찰이 부족하였다고 판단된다. 이에,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학습에 곤란을 겪는 표현 중, 조건, 아스펙트(テイル), 양태표현, 수수표현의 일부를 구체적인 광고 문구와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광고 속에는 비교적 쉬운 단어가 제시되어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의미 용법이 나타나 있는 경우가 있음을 명시함으로써, 초중급 레벨의 문법 수업에서 TV광고가,보다 널리 활용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 John Bull's Other Island의 상징성

        김봉정 檀國大學校英美文化硏究所 1996 英美文化 Vol.5 No.-

        Shaw는 John Bull's Other Island의 주제가 영국과 아일랜드 '양국의 운명'이며, 인물들은 현실에서 고통받는 수백만 인간들의 축약이라 설명하면서, "나는 영국과 아일랜드의 정수를 3시간 15분 안에 전해야 했다. 아일랜드인에게 영국인을, 영국인에게 아일랜드인을, 캐도릭에게 신교도를, 신교도에게 케도릭을 보여준 것이다. "(Wisenthal 87) 라고 말한다. 이 말은 양국인이 상대방에 대해 갖는 환상을 교정하여 각자의 장단점을 바로 보게 하겠다는 의도로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작품에서는 영국인이 아일랜드인에 대해 갖는 환상에 대해 Broadbent-Tim Haffigan 장면이 잘 묘사하고 있으나 그 반대의 경우는 설명이 부족하여 작가의 의도가 충분히 실효를 거두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극장이나 음악당에서 형성된 아일랜드인의 이미지는 '가난하면서도 명랑하고, 거친 반면 인정미 넘치는 낭만적인 사람'이다. 19세기 초엽부터 George Coleman Jr.같은 극작가나 Charles Lever같은 소설가들이 이러한 이미지를 구축하여 둔한 영국인들을 속여왔다. (Valency 241-242) John Bull's Other Island 1 막에서 Glasgow 출생 Tim Haffigan은 무대배우들의 쓰는 아일랜드말과 음성적 특성을 배워 사용함으로써 Broadbent를 속이고 소액의 돈을 챙겨 달아나 버린다. Shaw는 Tim이란 인물을 통해 아일랜드인에 대한 허상의 허위성을 희극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