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식민지 대만 역사교육 정책 연구

        김보림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0

        본 논문은 일제 식민지기 대만에서 역사교육에 대한 정책과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일제 식민지기 대만교육을 대만공학교령 시기(1895-1918), 대만공학교령 시기(1919-1940), 국민학교령 시기(1941-1945)로 나누어 그 시기적 특징을 고찰하고 각 시기별 역사교육 정책과 그 실제를 살펴보았다. 대만공학령 시기에는 국어전습소를 설립하고 대만인에 대한 국어교육을 실시하였다. 또한 소학교와 공학교로 구분하여 일본인과 대만인의 구별을 두었다. 국민학교령 시기에는 비록 소학교와 공학교의 명칭상 구분을 없앴지만 제1호표, 제2호표, 제3호표 과정의 구분을 만들어 여전히 일본인과 대만인 학교의 구분은 깊었다. 역사교육은 1922년의 제2차 대만교육령 시기에 이르러서 일본역사라는 이름으로 공학교의 정규 교과목이 되었다. 1938년 일본역사라는 이름은 다시 국사로 바뀌지만 역사 내용은 일본의 역사였으면 인물을 중심으로 한 내용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교과서는 대만의 상황에 따라 대만 총독부에서 편찬한 교과서를 사용하였다. 1941년 초등학교에서는 국민과라는 이름의 교과를 만들어 거기에서 수신, 국어, 국사, 지리 과목을 두었는데, 국사과 목의 목적은 황국민의 연성에 있었다. 일본은 이처럼 동화주의의 기조아래 역사교육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aimed to overview the history education policy in the period of Japanese rule in Taiwan. Japanese colonial period is divided in three; Taiwan Public School time(1895-1918), Taiwan Education System time (1919 - 1940), Elementary School time(1941-1945) Taiwanese students begin to learn in the Public School and Japanese students learn in their elementary school from 1898. This shows a serious separated policy between Taiwanese and Japanese. Even though Elementary School became the only one school for the elementary education in 1941, there was the educational course separation from ‘one course’ for Japanese and ‘two course’ or ‘three course’ for Taiwanese. History subject could be the regular course in the second Taiwan Education statute, 1922. The subject name ‘Japanese History’ was changed to ‘Nation History’ in 1938. The history textbook was published i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Taiwan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hoolsin Taiwan including Japan presented the practice on the ‘right way of emperor country’ Especially national history(Japanses History) in the nation course was occupying a pivotal position from the level of practicing ‘right way of emperor country.’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역사 용어 사용과 서술상의 제문제

        金寶林 한국일본문화학회 2014 日本文化學報 Vol.0 No.63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description about Ganghwa Treaty in eight cur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of high school based on four criteria: an inconsistent terminology, the term(fact) evaluation, the lack of commentary. Until now, we have examined the distortion of Japanese history textbook or we have been interested in the left and right of Korean history textbooks. But back to the basics of teaching Korean history textbooks, we have to acknowledge that many of the errors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also needed to be corrected. History term is the form of recognition and representation with the public agree. In the case of Ganghwa Treaty, there are the term mismatch between eight textbooks, the problem of evaluation, the lack of commentary and the factual incorrectness. As you have seen, when we say the historical evaluation about the Ganghwa Treaty in the textbooks, we have to reveal the definition of "Modern" and "inequality" in the historical context.

      • KCI등재

        온라인 박물관을 활용한 역사 수업 방안 -국립청주박물관을 중심으로-

        김보림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23 중원문화연구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ethods using an online museums in history classes. Despite its utility, museum classes have not been an active teaching method in history education until recently. This is because students learn about museum artifacts before going to the museum, and after the teacher submits the assignment, students visit the museum to perform the assignment and then return to the classroom for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lasses, as well as administrative matters such as permission from magagers and reporting to them, parent notification, and safety inspection were burdensome to the teacher. Therefore, museum history classes have been replaced by after-school activities such as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programs or club activities in the museum itself. In this paper, we will look at various ways to teach history using the platforms and homepages currently provided by online museums with techniques such as VR, AR, 3D, and video. Online museum classes allow teachers to get the same information as they actually saw in the museum without taking the time to visit, and to give faithful history classes without doing cumbersome administrative matter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visit Cheongju National Museum online and introduce various history class plans that can be conducted using various artifacts displayed here in history classes around the country. Currently, many museums display artifacts online and do their best to make them more accessible to students and the public. As a result, museums in various regions can also look at local relics without actually visiting them. In particular, the Cheongju National Museum has a permanent exhibition representing metal crafts and houses relics from prehistoric to modern times, allowing students from different regions to explore the history of each period and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excavated artifacts in the Jungwon area without visiting the museum. Focusing on these artifacts, this paper introduces various examples of classes using online museum exhibits, especially inquiry classes and flipped learning and smart learning techniques, and uses them in museum classes that can be done in classrooms.

      • KCI등재후보

        ‘폐교(廢校)’ 아카이브를 활용한 향토사 수업 방안

        김보림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건지인문학 Vol.- No.38

        최근 인구 절벽하에 학교의 학생수가 줄고 있는 경향이 사회 문제가 되어 가고 있다. 심지어 서울에서도 폐교하는 상황이 늘어나자 여러 교육청에서는 폐교의 역사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을 발빠르게 하고 심지어 폐교에 대한 활용에 지역민과 함께 힘을 합쳐 나가고 있다. 대부분 농어촌 지역의 소도시 학교들인데 향후 폐교 현상은 도심지역으로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학생수 감소가 폐교의 가장 큰 원인이지만 지역의 댐건설로 인한 인위적 수몰 등 많은 원이으로 폐교가 되어 폐교의 역사를 살펴보는 것은 향토사 학습의 또하나의 중요한 소재가 된다. 특히 충청권 지역에서 최근 3개년간 코로나19의 여파까지 겹쳐 20여곳이 폐교되었는데 가장 많은 폐교 현황을 보이고 있는 충북교육청은 2004년에 폐지된 학교의 역사 자료를 찾아 책으로 발간하였고, 2020년에는 폐교의 역사를 데이터화하는 폐교 역사자료 디지털 아카이브 누리집(http://oldschool.cbe.go.kr) 폐교 역사자료를 디지털화하여 지역공동체희 사회.문화적 유산으로 보존 및 관리하고 지역의 중심 기능을 해 온 학교과 마을의 문화적 관계성 복원을 위해 폐교 디지털 아카이브 홈페이지를 구축하였습니다.폐교 디지털아카이브 홈페이지 : 을 구축해 폐교에 대한 학교 현황과 추억을 되새길 수 있는 각종 자료를 탑재하였다. 또한 도내 폐교 재산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제공을 위히 2022년부터 폐교 항공VR(Virtual Reality·가상현실) 서비스를 구축했다. Recently, the trend of decreas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schools under the population cliff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As the number of closed schools in Seoul increases, various education offices are working quickly to make the history of closed schools a database and even joining forces with local residents to utilize them. Most of them are small urban schools in rural areas, and the closure phenomenon is expected to expand to urban areas in the future.

      • KCI등재

        일본의 다문화교육정책과 역사교육

        김보림 역사교육학회 2012 역사교육논집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flect on the history of the educational policy in Japan from 'assimilation' to 'coexistence' and its present and future in relation to the rapidly changing multicultural situation in Japan.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concepts of “assimilation” and “coexistence”.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se two concepts come in and out of conflict in Japan. Japan has been multi racial nation because it is composed of Ainu in Hokkaido, Ryukyu in Okinawa. But since Japan was defeated in the World War Ⅱ, they set the educational policy for the foreigners in Japan which is symbolized as 'assimilation'. Also, this article discusses Koreans in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ism. They has been discriminated against during the policy of 'assimilation' in Japan. Japanese government didn't accept they went to their ethnic school in 1950's for this 'assimilation' policy.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has most deeply influenced on the surrounding Japanese multicultural society such as the case of Gawasaki, the small city. In 2000's, Government of Japan announced the policy of 'coexistence' with foreign people since the practice for the multiculturalism with Koreans in Japan had been vigorously pushed forward in Gawasaki. The Discourse for the Multiculuralism in Japan is about 10 years earlier than in Korea. But the concrete contents in history education such as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are not reflected on this discussion well. They empathize 'Japanse tradition', 'patriotism' instead of describing the discrimination on the minority in Japan.

      • KCI등재

        청말 중국인의 일본 유학 연구

        김보림 전북사학회 2017 전북사학 Vol.0 No.51

        청말 일본에서 공부한 중국 유학생은 서양의 문화와 기술을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13명의 학생들이 1896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 이래 중국 중심의 역사관이 깨지는 상황을 맞게 되었다. 중국의 유학생들은 근대 중국을 세우는 데 앞장섰다. 그들은 처음에는 속성교육이라는 단기간 기술을 배우는 교육에 집중하였다. 중국의 유학생 정책은 청과 일본과의 관계, 또는 청과 러시아와의 국제적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기본적인 정책은 높은 소양을 가진 유학생을 기르는 것이 목표였다. 1896년과 1906년 사이에 유학하고 있는 학생들은 증가 추세에 있었다. 또한 외국에 유학생을 파견하는 중국 정부의 움직임도 활발하였다. 그러나 곧 두번째 국면이 찾아오게 되는데 중국은 여러 조항들을 만들어 수적으로 많은 유학생을 보내기 보다는 국내의 교육 활동을 보다 활발히 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소수의 유학생들을 파견하는 정책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는 과거제 폐지 등 신정의 부활과 신해 혁명 등의 정치적 변혁기에서 국내의 상황을 견고히 하려는 중국 내부 사정과 관련이 깊다. 중국 학생들은 일본인들에 의해 무시되어지고 정치적 변혁이 중국에서 일어날 때마다 중국으로 돌아가는 길을 택했다. 남은 유학생들은 공부와 정치적 활동을 병행하면서 학업을 끝낸 후 고국으로 돌아가 정치가, 번역가, 작가 등의 활동을 하며 여러 업적을 남기거나 일본에 체류하면서 교수가 되거나 정치적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을 끝으로 중국의 일본 유학생 파견은 종국을 맞았다. 결론적으로 일본 유학생 정책은 외국 문명에 대한 내부적 응답을 통해 제한되거나 지원되는 형태로 나타났던 것으로 보인다.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in the late period of Qing(淸) played the important role 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knowledge and skills. The 13 young students towards Japan in the late Qing were dispatched in 1896. The first dispatched students including 13 young students made a role to set up the modern Chinese like Japan fast. They pursued the first to take an accelerated education in Japan. The Chinese policy of study-abroad had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like the war between Qing and Japan or Qing and Russia. But the basic idea of the policy was to make a high quality students. The first phase is between 1896 and 1906 when the number of students studying abroad were increasing and the government activity about dispatching students to foreign countries were very aggressive. The second phase is the period that there were restriction of the dispatching students to other countries by the rule. Chinese students were despised by the Japanese, but when political reforms took place in China, they came back to study with interest. The remained students studied more and harder and made a big role in the Republic of China later as intellectuals. In conclusion, the studying abroad policy were supported or restricted through the internal response about the foreign country civ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