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교과서 단원 구성 방식과 체제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2011 고등 『국어 Ⅰ, Ⅱ』를 중심으로-

        김동욱 ( Dong Uk Gim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교수·학습의 구체적 실행 단위인 교과서 단원(unit)의 구성 방식과 체제에 관련된 교사들의 다양한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1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국어Ⅰ, Ⅱ』를 대상으로 중등 교사 92명의 인식을 설문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단원 구성 방식에 대한 인식의 경우 『국어Ⅰ, Ⅱ』교과서 단원 구성 방식인 목표 중심 구성 방식에 대한 만족도는 높았으나 개인적으로는 문종 중심 구성 방식을 더 선호했다. 또한 다양한 단원 구성 방식의 적용에 대해서는 다양성을 선호하는 입장과 일관성을 선호하는 입장으로 구분 되었다. 둘째, 단원 구성 체제에 대한 인식의 경우 『국어Ⅰ, Ⅱ』교과서 단원 구성 체제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으며, 이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함께 존재했다. 또한 단원 구성 요소의 배열 순서는 만족하지만 단원 구성 요소들의 내용, 종류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셋째, 교과서 단원 구성 방향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 학습자의 흥미, 자기주도적 학습 여부, 효과적인 교수·학습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통해 교과서 단원 구성 방식과 체제가 다양해질 필요가 있으며 추가로 다각적인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various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unit organization method and system which is specific practical basi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this examination, investigation was proceeded targeting 92 secondary teachers with 『Korean LanguageⅠ, Ⅱ』textbooks which 2011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First, teachers are satisfied with aim-focused organization method which is chosen in nowadays textbooks, but they more prefer genre-focused organization method personally. Also, two different stances are appeared with the issue about application of various unit organization methods. One is preferring variety, the other is preferring consistency. Second, teacher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current unit organization system.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coexist. Also, generally they evaluated the order of the unit organization elements positively, but side of contents and type are negatively evaluated.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students’ interest,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ies,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are should considered to make textbooks through the demand survey about textbook’s unit organization direction. Finally, considering the result of survey, it is proved that textbook’s unit organization method and system should be varied and additional discussion is necessary for this change.

      • KCI등재

        고등학생의 논증적 텍스트 독해에서 드러나는 편향 양상 연구

        김동욱 ( Gim Donguk ) 한국독서학회 2017 독서연구 Vol.0 No.44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논증적 텍스트 독해에서 드러나는 편향 양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첫째, 논증적 텍스트 독해 전후 주제에 대한 입장 변화 양상, 둘째, 자신의 입장과 동일한 입장과 동일하지 않은 입장에 대한 질적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독자의 반응을 유형화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논증적 텍스트의 주제에 대한 독해 전 입장과 동일한 입장의 글에 대해 더 높은 점수를 부여했으며, 이들 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학생 들은 독해 전 입장과 동일한 입장의 글에 대해 더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독해 전 입장과 제시 글의 독해 전후 평가 점수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해 후 질적 반응 양상은 자신의 입장과 같은 글을 독해할 때와 다른 글을 독해할 때 다른 태도를 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독해 전 입장이 제시 글 독해에 미친 영향에 대한 반응은 강화, 유지, 거부, 혼란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논증적 텍스트 독해에 편향이 작용했음을 보여주며,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합리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독해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bias expressed when they read argumentative text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 d out targeting 128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survey, this study focused on two aspects - first, change of readers` position before and after reading argumentative texts and second, readers` qualitative responses for opposite position. After this investigation, this study typed readers` responses. As a result, students gave high marks to texts which have same opinion with them and correlation is existed between their opinion and marks. Also, students judged the text which have same opinion more pursuasive, and their positions before reading and marks for texts before and after reading made no odds. Qualitative reponses were different when they read supportive or opposite positions` texts. Positions before reading were affected reading process and responses after reading were typed reinforcement, maintenance, rejection and confusion.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argumentative text reading was affected by bias, and suggest that high school teachers have to seek the way for reading instruction with reasonable thinking in their classroom.

      • KCI등재

        매체 문식성 수업에 대한 중등 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김동욱 ( Gim Dong U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4 한국어문교육 Vol.16 No.-

        디지털 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매체의 발달은 사회 구성원 간의사소통 방식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이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언어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문식 능력인 매체 문식성(media literacy)이 필요 해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에 맞춰 매체 문식성 수업에 대한 중등 국어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 연구는 ‘매체 문식성 수업에 대한관심과 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8문항, ‘매체 문식성 수업을 진행하는 데있어 어려운 점과 요구사항’을 살펴보기 위한 7문항의 총 1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바탕으로 총 90명의 중등 교사의 매체 문식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 연구했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의 매체 문식성 수업에 대한 관심과 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면, 교사들은 대체로 관심이 있는 편이었고, 실제로 진행해 본 경험도 3-4차시 이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들은 매체를 수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나 수단 등 보조적 수단으로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생각하는 매체 문식성 수업 진행 시 어려운 점은 교수방법이나 기자재 등의 교실 환경의 문제를 많이 지적했다. 이는 교수학습 가능성을 무엇보다 중요시한 교사들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라 볼 수 있다. Recently, there has been a call for interest in media literacy not only in the field of reading and literacy but also in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Korea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media literacy in the secondary schools. This study examined 1) teachers’ interest in media literacy instructions and its current state and 2) their difficulties and needs in the media literacy classes. Data were collected from 90 Korean teachers. This study found out that Korean teachers generally showed interest in media literacy instructions and they actually used media literacy instructions 3-4 times per semester. However, they perceived media as ancillary tools for achievements of the learning goals. Moreover, Korean teachers perceived that the most difficulty in media literacy class was the factor of the class circumstance such as teaching methods or educational instruments. This result showed that they set a high value

      • KCI등재

        중등 국어 교사의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 양상 연구

        김동욱(Gim, Dong-uk),장은주(Jang, Eun-ju)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5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중등 국어 교사의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 양상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 국어과 교사 12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을 어떻게 실행하였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었는지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지속적 비교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범주화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국어과 교사들의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 양상은 1) 수업 목표가 복합양식 문식 능력 신장과 관련이 있으며, 복합양식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 수업 유형, 2) 수업 목표가 복합양식 문식 능력 신장과 관련이 없지만 복합양식 텍스트를 활용하여 표현보다는 이해에 중점을 둔 수업 유형, 3) 수업 목표가 복합양식 문식 능력 신장과 관련이 없지만 복합양식 텍스트를 활용하여 이해보다는 표현에 중점을 둔 수업 유형, 4) 수업 목표가 복합양식 문식 능력 신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복합양식 텍스트를 제작하거나 생산하는 데 중점을 둔 수업 유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둘째, 중등 국어과 교사들이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 중 겪는 어려움은 교수자, 학습자, 수업 실행, 평가, 교수·학습 환경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중등 국어과 교사들의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을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multimodal literacy instruction(hereafter MLI) on Korean language classes at secondary schools. In doing so, 129 korean teachers at secondary schools were asked to explain MLI and teaching difficulties in their Korean language class. The MLI of Korean teachers categorized as followed; A type were aimed explanding of multimodal literacy therfore focused on understanding multimodal text; B type aimed were not aimed explanding of multimodal literacy but focused on understanding multimodal text; C type aimed were not aimed explanding of multimodal literacy but focused on producing multimodal text; D type aimed were aimed explanding of multimodal literacy therfore focused on producing multimodal text. And the difficulties of MLI on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instructor, student, instructing, evaluating,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From the findings, this paper suggest that Korean teachers needs supporting for MLI in various ways.

      • KCI등재

        마그네틱 기어의 극수 변화에 따른 효율 및 손실 분석

        김승현(Seung Hyun Kim),김동욱(Dong Wook Kim),이도엽(Do Yeop Lee),김찬승(Chan Seung Gim),김용재(Yong Jae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2018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3 No.5

        직접 접촉 방식의 기계적인 결합을 사용하는 기어는 접촉 마찰로 인한 소음, 진동, 발열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기 때문에, 비접촉 자기(magnetic)결합을 이용한 마그네틱 기어(magnetic gear)가 제안되었다. 마그네틱 기어에 대한 연구 중 동일한 기어비에서 극수에 따라 손실의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으며, 철손과 영구자석 와류손이 극수에 따라 일정한 경향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마그네틱 기어의 극수에 따른 경향성을 확인하고 구체화하여 마그네틱 기어의 효율 개선 설계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Mechanical gears driven by direct contact have problems including noise, vibration and hea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magnetic gears having a non-contact magnetic coupling have been proposed. Through various studies on magnetic gears, we found that losses are changed when the number of magnetic poles varies in the same gear ratio. For this reason, research team expect the iron loss of the magnetic gear and the Eddy current loss of the permanent magnet will have a certain tendenc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oles. This paper identified the magnetic gear’s loss tendency according to the number of poles, and laid the basis for efficiency improvement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