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이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 특성화고를 중심으로

        김동심 ( Dongsim Kim ),윤미현 ( Meehyun Yoon ),정을호 ( Eulho Jung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論集 Vol.51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기본심리욕구가 청소년 발달과정에 있어서 요구되는 진로성 숙도와 생활의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 진로성숙도,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경기도의 A특성화 고등학교의 198명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델링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사용의 유능성은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폰 사용의 자율성은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의 관계성은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서 유능성과 자율성이 가지는 의미를 확인하였으며, 디지털리터러시 기반의 스스로 조절된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교육에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competence, autonomy, relatedness) based on basic needs theory for the use of smartphones on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157 boy and girl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s a result, first, competence for the use of smartphones predicted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econd, autonomy for the use of smartphones predicted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ird, relatedness for the use of smartphones did not predict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regarding school education and counseling, limitations and proposal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청소년의 생활만족도 영향변인 규명 및 이성교제에 따른 차이 검증

        김동심(Kim, Dongsim),정수인(Jeong, Su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고자, 자아인식으로 자아정체감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로 학습활동, 교우관계를 선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성교제 경험에 따라 잠재평균과 각 변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영향력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잠재평균 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6차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 2,00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아정체감와 자아탄력성이 학습활동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력과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학습활동과 교우관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둘째, 이성교제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학습활동, 교우관계 및 생활만족도의 수준 차이를 비교한 결과, 이성교제를 하지 않는 청소년이 자아정체감과 자아탄력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성교제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자아탄력성, 학습활동, 교우관계 및 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자아탄력성이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이성교제를 하지 않는 청소년에게서 이성교제를 하는 청소년 보다 강력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아인식을 관리해 주고, 학교나 가정 차원에서 이성교제를 하고 있는 청소년의 자아인식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 관심과 방법을 마련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ego-resilience, learning activities, peer relationships,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dating experience. This study is based on the panel study on Korean adolescents; which was a large, population-based study conducted by the NYPI.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009 students(1,570 students with no dating experience, and 439 students with dat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go-identity and ego-resilience affected learning activities and peer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ego-identity, ego-resilience, learning activities, and peer relationships affected life satisfaction. Third, according to latent means analysis, students with dating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ego-identity and ego-resilience than those with no dating experience. Forth, according to our multi group analysis, the path difference between ego-resilience and learning activities was significant in both the no dating experience and dating experience groups. With these results in mind, this study suggests a number of management strateg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 school life.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적응성, 진로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와 취업시도에 따른 잠재평균 분석

        김동심(Dongsim, Kim),정윤경(Yoonkyung Ch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중심으로 진로적응성, 진로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취업시도에 따른 각 구인의 평균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대학생 261명을 대상으로 해당변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진로적응성이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고 상기 구인들이 취업스트레스를 예측하며, 이들이 다시 삶의 만족도를 예측하는 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대학생의 취업시도 경험에 따른 상기 구인들의 평균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진로적응성은 진로준비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진로준비행동은 취업스트레스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진로적응성, 진로준비행동, 취업스트레스 모두 삶의 만족도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취업시도의 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진로적응성, 진로준비행동, 삶의 만족도에 대한 평균이 취업시도를 하지 않은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진로적응성과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대학의 진로프로그램 개발 시, 취업스트레스 관리와 삶의 만족도 추구라는 상위 목표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상담프로그램이 연계될 필요가 있다. 또한 취업시도도 진로에 대한 적응적인 특성을 높일 수 있는 학습형태로 여겨질 수 있으며, 이를 촉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탄력성 있게 운영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areer adaptabiliti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ob-seeking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and to analyze the mean differences of each construct according to employment attempts. Methods For this purpose, 261 university students who attend a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survey research. In a structural model, we posited that career adaptability predi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both of them predict job-seeking stress. We also hypothesized that the above constructs predict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we examined latent mean differences among the constructs according to the job-seeking related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Results Career adaptability positively predic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ositively predicted job-seeking stress. Moreover, all of the aforementioned constructs positively predicted life satisfaction. Meanwhile, the latent mean of the employment attemp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its counterpart in term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adapt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When educators develop a university career program to promote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link with a counseling program that can consider the higher goals of managing job stress and pursuing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employment attempts can be regarded as a form of learning that can enhance career adaptive characteristics, and programs that can promote this need to be operated flexibly.

      • KCI등재

        청년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를 중심으로

        김동심 ( Dongsim Kim ),윤성혜 ( Seonghye Yoon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論集 Vol.49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년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행복에 대한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의 영향력을 규명하고,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대규모 조사자료 중 하나인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의 1,4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청년취업자의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 직무만족도 및 행복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취업자의 수면시간, 자기인식 및 사회신뢰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청년취업자의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 및 직무만족도는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이 노력하여 취업자의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를 증진한다면, 청년취업자 개개인의 직무만족도와 행복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social trust,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youth worke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a large, population-based study conducted by the KRIVE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articipants attended a youth worker in Korea. A hypothetical model was proposed, which was composed of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social trust, as exogenous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happiness as endogenous variables. The hypothetical model was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and social trust had significant effects on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Second,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soci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youth workers’ happiness. Therefore, the company and government should prepare youth workers’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and social trust to control for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교사 수업혁신행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및 예측 변인 분석

        김동심 ( Kim¸ Dongsim ),장선희 ( Jang¸ Seon 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혁신행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와 교사의 수업에서의 혁신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초ㆍ중등학교 교사 17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교사의 수업혁신행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학교급, 성별, 경력(5년 기준), 보직 여부, 세대에 따라 t/F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사의 수업혁신행동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교직경력), 개인적 변인(기술적 호기심, 교사효능감), 조직적 변인(교사학습공동체)을 선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학교급, 성별, 경력(5년 기준), 보직 여부, 세대에 따른 수업혁신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교급, 경력(5년 기준)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성별, 보직 여부, 세대에 따른 수업혁신행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사의 수업혁신행동를 예측하는 변인을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 기술적 호기심은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나, 교사학습공동체, 경력은 교사의 수업혁신행동 수준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수업혁신행동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 및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nd ascertain the factors affecting teachers' innovative instructional behavio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innovative instructional behavior, we conducted a t/F test analysis by school level, gender, years of experience, head teachers, and generation. In addition, we selected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 and years of experience), individual factors (curiosity of technology and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factors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the factors predicting teachers' innovative instructional behavior.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172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by school level and years of experience were significant. Second, curiosity of technology and teacher efficacy had an effect on teachers' innovative instructional behavior. However, teacher learning community and years of experien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it. From the above results, we propose a plan to support teachers' innovative instructional behavior.

      • KCI등재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김동심(Kim, Dongsim),주현(Kim, Juhyun),주경희(Ju, Kyonghe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고정관념, 노화, 차별의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22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교사, 청소년, 연령주의 전문가 등의 검토를 거쳐 수정되었다. 수정된 문항을 바탕으로 중학교 2개, 고등학교 4개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772명의 학생이 참여했으며, 교차타당화를 위해 무선으로 양분하였다. 231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541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초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서 6문항을 삭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을 확인하고, 5문항을 삭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11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최종 문항의 전체 Cronbach’s α가 .839이고, 하위 요인 간의 상관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를 측정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대이해를 기반으로 한 세대통합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geism scales for adolescent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 study addressed stereotypes, aging, and discrimination based on 22 questions. The developed questions were examined by teachers, adolescents, and ageism specialists. Based on the revised question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a total of 772 students at 2 middle schools and 4 high schools. Participants were divided for cross-validatio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231 adolescents, whi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541 adolescents. Through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6 questions were deleted. 3 factors were confirm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5 questions were dele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final 11 questions to ensure validity. The total Cronbach"s α in the final question was .839,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us, developed scales throughout this study were validated for measuring ageism of adolescents. Using this developed scale, study researchers have identified meaningful basic materials that can be used to confirm the awareness of ageism and to discuss various methods that can help different generations to understand it.

      • KCI등재

        대학교 전임교원의 역량 모델 개발 및 생애주기별 교육요구도 분석

        김동심 ( Dongsim Kim ),박현경 ( Hyeonkyeong Park ),이영선 ( Youngsu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대학교 전임교원의 총체적 역량을 행동지표로 개발하고, 생애주기에 따른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과 개방형 설문면담, 전문가 검토를 바탕으로 교원 역량모델링을 실시한 후,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교수역량, 연구역량, 기본역량을 측정하는 13개 영역 50문항을 개발하였다. 대학교교원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 A대학교 전임교원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 Borich 요구도 공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전임교원의 역량은 ① 수업 설계, ② 강의 계획서 작성, ③ 테크놀로지 활용, ④ 수업 운영, ⑤ 커뮤니케이션, ⑥ 평가 및 피드백, ⑦성찰과 개선, ⑧ 연구 수행, ⑨ 연구 윤리, ⑩ 직업 윤리, ⑪ 조직 헌신, ⑫ 학생 상담, ⑬협업으로 제시되었다. 둘째, 전임교원의 연령과 경력에 따라 각 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수업 설계,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운영, 연구 및 학생 상담에 대한 역량의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교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대학교 전임교원의 역량을 총체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교육을 통해 증진가능한 영역을 다루고자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competencies for developing faculty’s competenc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competencies at university. The measurement tool was adapted from existing studies relevant to the faculty competencies for developing faculty’s competency. The tool includes 50 items on a 5-point Likert scale, measuring current performance and perceived importance as well. The Borich formula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13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rom all faculty members. They included ① instructional design, ② write syllabus, ③ use technology, ④ operate class, ⑤ communication ⑥ evaluation and feedback, ⑦ reflection and improvement, ⑧ research, ⑨ research ethics, ⑩ work ethics, ⑪ organizational commitment, ⑫ student counseling, and ⑬ cooperation. Second, The differences in importance-performance of competence were confirmed by the age and experience of the faculty. Thir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needs of competencies on instructional design, use technology, operate class, research and student counseling were ranked within top f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educational programs for enhancing faculty competencies in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university.

      • KCI등재

        장학사업 기반의 교사 : 학생 멘토링 프로그램 성과 연구

        김동심 ( Kim Dongsim ),정유진 ( Jung Youj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장학사업을 기반으로 한 교사-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의 성과를 검증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예측요인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가족관계, 교사관계, 학교만족도, 내재화된 문제행동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적 요인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사회적 요인인 또래관계, 가족관계, 교사관계가 종합적 성과인 학교만족도와 내재화된 문제행동을 예측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E기업에서 운영하는 장학사업에 참여한 중·고등학생 10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t검정과 변인간의 예측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 프로그램의 통해 자아존중감, 교사관계가 향상되었다. 둘째,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한 또래관계, 교사관계가 학교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교사관계가 내재화 문제행동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장학사업의 성과를 검증하고, 이를 예측하는 변인을 검증함으로써. 향후 장학사업 운영 방향과 전략을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outcomes and analyze effect factors for a mentoring program based on scholarship project. In this study, we confirm the change of the individual factor, social factor, and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self-esteem, relationships of peer, family, teacher, satisfaction of school,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104 participants who attended a scholarship project which is operated by E company. The scholarship program offers a teacher-student mentoring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teacher relationships is improved by attending the mentoring program. Second, peer relationships, teacher relationships predict a satisfaction of school. Third, self-esteem, family relationships, teacher relationships predict a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 In this study, we verified the outcomes of the scholarship project, and confirmed effect factors, and provide a direction and strategy of scholarship project fo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