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형요소와 원리 및 창의적 발상법을 활용한 조형 교육 연구

        김대유 ( Kim Dae Yoo ),고정훈 ( Ko Jeong Hoo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5 No.-

        미술은 색다른 시선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세계를 펼칠 수 있는 시각적 장을 제공한다. 미술 분야에서 조형 능력이란 형(形)을 만드는 능력으로, 조형 감각이나 미의식을 재료와 매체, 용구 등의 물질을 사용하여 구체적 형상으로 가시화시키는 능력을 말한다. 여기에는 미술작품뿐만 아니라 환경을 개선해나가는 능력까지도 포함된다. 실재하는 대상이나 사물을 재현하거나 심상(心像)을 시각화할 때 조형요소와 조형원리는 하나의 시각적 문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평면 또는 입체 형식의 작품에서 구체적인 대상이나 느낌을 시각화하는 방법은 정해진 것이 없으나, 기본기를 익히고 시각적 소통이 가능한 표현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조형요소와 원리에 대한 충실한 학습이 필요하다. 한편 미술의 효용성을 논할 때 대표적인 요소로 창의성 신장을 꼽을 수 있다. 창의성이란 새롭게 사고하고 발견하고 만들어낼 수 있게 하는 정신적 능력으로, 융통성 있고 유연한 사고과정을 기본성격으로 한다. 창의성은 이미 가지고 있던 경험과 지각, 개념 등을 기반으로 한 연합과 연상, 상상 등에 의해 나타난다. 따라서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개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풍부한 발상지도, 충분한 참고 자료의 제시, 교사의 적절한 동기부여 등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최근 미술과 교육과정의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을 고려한 미적 감수성, 시각적 소통 능력, 창의·융합 능력, 미술문화 이해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학습 능력의 다섯 가지 미술 교과 역량이 새롭게 제시되었다. 이러한 교육적 역량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미술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조형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를 통해 미래의 창의·융합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하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여나가는 미래형 교육의 바탕을 이루어가기를 기대한다. Art provides a visual field where you can understand the world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and open your own world. In the field of art, formative ability is the ability to create a shape, and it refers to the ability to visualize the formative sensation and aesthetics in a specific shape using materials, media, and tools. This includes not only works of art, but also the ability to improve the environment. When reproducing an existing object or object or visualizing an image, the formative elements and the formative principle play a role as a single visual grammar. There is no set method for visualizing a specific object or feeling in a flat or three-dimensional work, but faithful learning of the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is necessary to learn the basics and develop the expressive ability that enables visual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when discussing the utility of art, the representative factor is the increase of creativity. Creativity is a mental ability that enables us to think, discover, and create new ideas, with a flexible and flexible thinking process as the basic character. Creativity is manifested by associations, associations, and imaginations based on experiences, perceptions, and concepts that they already have.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creativity, systematic and rational education is required to create an open atmosphere, provide abundant idea guidance, provide sufficient reference materials, and motivate teachers appropriately. Amid the recent paradigm shift in art and curriculum, five art curriculum competencies have been newly presented: aesthetic sensibility,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creativity and convergence ability, art culture understanding ability, and self-directed art learning a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future society. In order to increase such educational capacity, creative formative education based on a new perception of art education is desperately need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futur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and ultimately lay the foundation for future-type education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 시각장애인용 독서 스탠드 개발

        김대유 ( Dae-yoo Kim ),호성 ( Ho-sung Kim ),지상 ( Ji-Sang-Kim ),수철 ( Soo-Cheol-Kim ),황광일 ( Kwang-il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2

        시각장애인이 책을 읽을 수 있는 방법은 점자책 또는 오디오북이 있다. 그러나 점자책과 오디오북은 그 개수가 한정적이다. 또한, 점자책과 오디오북을 제작하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의 기본적인 독서권이 침해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영상처리, OCR, TTS 기법을 적용해 시각장애인용 독서 스탠드를 개발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문자 인식률 향상을 위해 왜곡된 이미지를 보정한 후 단편 블록화 과정을 추가로 적용하여 문자 인식률을 93%까지 증가시켜 실용성을 높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도서관 및 서점 등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의 독서권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아킬레스 건염? 염증이라고 다 같은 염증이 아니야

        김대유,이동연,Kim, Dae-Yoo,Lee, Dong Yeo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2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5 No.2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Achilles tendinopathy and resultant degeneration of the Achilles tendon could be either due to vigorous physical exertion or due to inflammation of the tendon associated with systemic disease. The overuse injuries are generally multifactorial in origin and are caused by repetitive strain of the affected tendon till the tendon can no longer endure the tensile stress. Various alignment and biomechanical faults are claimed to play a causative role. Only 2% of patients complaining of Achilles tendon pain are caused by systemic disease. However, to ensure the right approach to treatment, it is necessary to rule out inflammatory tendinitis caused by systemic diseases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gout, and seronegative spondyloarthrosis.

      • KCI등재
      • KCI등재

        중수골 간부 골절에서 골수강내 K-강선 삽입술과 금속판 내고정술의 비교

        주용(Joo-Yong Kim),이영근(Young-Keun Lee),공규민(Gyu-Min Kong),김대유(Dae-Yoo Kim),박준호(Jun-Ho Park),정영란(Young-Ran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4

        목적: 중수골 간부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골수강내 K-강선 삽입술과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0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중수골 간부 골절로 골수강내 K-강선 삽입술 혹은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 받은 3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으로 골유합 시기 및 후방 각형성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임상적으로는 최종 추시에서 관절의 운동범위와 파악력, quick-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점수,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전 예에서 골유합이 관찰되었으며, 골유합 기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방사선 사진상 최종 추시에서 후방 각변형은 골수강내 K-강선 삽입술을 시행 받은 경우 평균 14o,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 받은 경우는 평균 5o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관절의 총 운동 범위, 파악력과 quick-DASH 점수 및 VAS 점수도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중수골 간부 골절 치료에서 골수강내 K-강선 삽입술은 유의한 후방 각형성을 보였으나 임상적으로 K-강선 삽입술과 금속판 내고정술 모두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두 방법 모두 고려해 볼 수 있는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patients with metacarpal midshaft fracture following surgery using either intramedullary K-wire nailing or internal fixation of plat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9 metacarpal midshaft fracture patients between October 2008 and September 2012. Of these 39 patients, 15 patients underwent intramedullary K-wire nailing and 24 patients underwent internal fixation of metal plates. We analyzed bone union time and final posterior angulation radiologically and the range of motion, grip power, and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s,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 clinically. Results: Bone union was observed in all cases and bone union tim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surgical methods. The final follow-up radiograph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erior angulation, which was 14°, on average,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intramedullary K-wire nailing and 5°, on average,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internal fixation of plat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the range of joint motion, power, and quick-DASH scores and VAS scor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Intramedullary K-wire nail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erior angulations, but both intramedullary K-wire nailing and internal fixation of plates produced good clinical outcomes in the treatment of metacarpal midshaft fracture. Therefore both techniques are considered good treatment methods.

      •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최적화 모델 연구

        승학(Seung-Hak Kim),윤창민(Chang-Min Yoon),김대유(Dae-Yoo Kim),정기현(Ki-Hyun Jung) 대한전자공학회 2018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6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the Internet, security threats have also become more diverse and complex.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olve these problems efficiently. In this paper, various models of incident response are introduced and analyzed, and a new optimal model is proposed.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preparation, detection and initial countermeasure, collection and analysis, and remove infection and recovery proc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