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남대학교 지형 기반 Unity3D 네트워크 레이싱게임

        김대영(Daeyoung Kim),송대현(Daehyun Song),이칠우(Chilwoo Lee)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본 논문에서는 Unity3D 게임 제작 툴을 이용하여 전남대 투어 3D 레이싱게임을 구현하였다. 실제 국립대학교인 전남대학교의 지형을 레이싱 맵으로 하여 사용자는 레이싱 게임과 동시에 전남대 지형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사용자는 레이싱에 사용할 자동차 및 전남대의 특정 지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게임 모드로는 싱글모드(Single Mode)와 멀티모드(Multi Mode)를 선택할 수 있다. 싱글모드 플레이시 레이싱 경로를 따라 자동으로 주행하는 AI 자동차와 레이싱게임을 할 수 있다. 멀티모드 플레이시에는 방장이 대기방을 만들면 대기방에 접속한 사용자들끼리 채팅 및 레이싱게임을 할 수가 있다. In this paper, we mad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our 3D Racing Game using Unity3D game making tool. This racing game used actua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eographical features as a map, so user can become familiar with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hile playing this racing game. User can select a car and racing area of specific Chonnam National University before playing game and can select single game play mode or multi game play mode. When playing single mode, user can play racing game with many AI car which can be drived automatically along the racing road. And When playing multi mode, if one player create a waiting room, other user can connect the waiting room and can chat and play racing game with the connected players.

      • 융합정의론

        김대영(DaeYoung Kim) 한국기독교경제학회 2015 OIKONOMOS Vol.2 No.2

        경제학이 인간 사이에 일어나는 법칙을 다루는 학문이므로 인문학적 법칙, 특히 인성(혹은 인격)에 대한 법칙의 연구가 중요하다. 이 논문은 개인과 전체 공동체의 존재론적인 융합을 기반으로 기하학과 인문학을 융합한 인문학적 융용 기하학을 도입하고 레비나스에 의해 정의된 삼자와 타자의 개념을 유추해서 설계한 삼자융합체를 적용한 융합정의론을 제시한다. 기존 정의론의 장점을 융합하고 개인과 전체가 분리된 한계를 극복한 융합정의론은 정태적 정의와 동태적 정의 그리고 그것들이 융합된 정의로 이루어지며 삼자융합체를 통해 합리성과 이타성이 융합된 정의론이다. 그리고 본 논문은 삼자융합체를 기업구 조 안에서 구현하는 방법과 융합정의론을 자본시장에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것을 통해 융합경제론이 경제에 적용되어 자본시장의 문제를 자본시장 민주화를 통해 해결함으로서 경제 민주화를 이룰 수 있음을 보인다. Economics is the study which handles principles that occur between human being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humanistic principal, especially the principal of personality or character. This paper introduces humanistic applied geometry which is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of geometry and humanities based on the ontological convergence of individuals and whole community. It suggests the theory of convergence of justice which applies the third party converged body analogized by the concept of the third party and the other defined by Emmanuel Levinas. The theory of convergence of justice on which the strong points of the existing theories converge and overcomes the limits of disconnection of individuals and the whole community is composed of static justice, dynamic justice, and the convergence of them. It is the convergence of rationality and altruism through the third party converged body. This paper also shows the theory of convergence of justice can be applied to economy by explaining the way of implementing the third party converged body in company structure and applying the theory of convergence to capital market, and achieve the economic democratization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apital market through the democratization of capital market.

      • KCI등재

        교육과정 담론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 인식론에 대한 비판

        김대영 ( Kim Daeyoung ),우옥희 ( Woo Okhee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최근 교육과정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 담론에 나타난 인식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교육과정 연구에서 지식에 관한 질문이 그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에 포스트모더니즘 교육과정 담론에서 강조하는 지식관이 교육과정 연구에 어떠한 대답을 제공할 수 있을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포스트모더니즘의 인식론을 분석하였으며, 그것이 교육과정 연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 교육과정 담론에 나타난 인식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새로운 대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 교육과정 담론은 지식과 관련된 교육과정 연구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고, 그 수준을 한 차원 높여주었다. 즉, 포스트모더니즘에서 강조하는 `차이`와 `다양성`은 이제까지 공식적 담론의 장에서 배제되어 왔던 소외된 약자들의 담론을 공론화하였지만, 계속해서 새롭게 증가하는 담론들 중 어떤 지식이 학교 지식으로 선택되고, 혹은 배제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포스트모더니즘 교육과정 담론이 대답을 못하고 있기에 새로운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an postmodernism`s epistemology which has been emphasized in curriculum discourse. To be more specific, since the question(what is the most worthwhile knowledge) holds a key position in curriculum studies, we have to examine the view of knowledge in post-modern curriculum discourse for answering the question. To this end we analyze the postmodernism`s epistemology and trace a influence of postmodernism`s epistemology on curriculum discourses. Finally we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postmodernism discourses and investigate a possibility as a new alternative. As a result, postmodernism`s discourse enriches the contents of curriculum studies related to knowledge. That is, post-modernism`s discourse makes the narratives of the alienated and dispossessed into a public issue in curriculum studies. However in the circumstance of gradually increasing discourses in curriculum studies the postmodernism`s discourse cannot suggest the basis of the including or excluding knowledge in curriculum studies. Therefore a new alternative of epistemology is needed for post-post modern era.

      • KCI등재후보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대영(Daeyoung Kim),이길석(Gil Seok Lee),정원호(Wonho Jeung) 대한리더십학회 2016 리더십연구 Vol.7 No.2

        최근 조직은 급격한 내․외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수직적 조직에서 수평적 조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새로운 형태의 리더십에 주목 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리더십 유형이 임파워링 리더십이다. 임파워링 리더십은 솔선수범과 코칭, 의사결정에 조직 구성원의 참여 독려, 자율성과 권한 부여 등을 통해 조직 구성원들로 하여금 심리적으로 임파워먼트 되도록 하는 리더십 유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 이직의도,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그러한 영향력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자 하였다. 임파워링 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 과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육군 중대급 간부 23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또한 임파워링 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긍정심리자본이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만족, 이직의도, 직무스트레스 와의 관계를 매개함이 검증되었다. 특히, 긍정심리자본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만 족간의 관계는 부분매개를,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는 완전매개함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로 조직 구성원의 직무 태도인 직무만족, 이직의도,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함으로써 임파워링 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의 폭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나아가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요인으로써 임파워링 리더십의 영향을 확인하고, 긍정심리자본 이 직무만족, 이직의도, 직무스트레스 등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선행연구의 폭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실무적으로는,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고,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를 감소시켜 조직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조직 관리자의 임파워링 리더십 행동을 장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Empowering leadership has been one of the effetive leader behaviors which has become more and more significant for modern organizations due to the fast-changing nature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of organizations. While previous literature in empowering leadership provides evidence of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various organizational outcomes, there are still unchartered questions that should be explored.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followers' work attitudes such as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follow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syCap)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ap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on empowering leadership and PsyCap this study developed theoretical arguments and hypotheses. Sampling from 231 officers and NCOs from Korean Arm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PsyCap an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Moreover, this study found that PsyCap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Specifically, PsyCap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while it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mpowering leadership increase the level of PsyCap in followers, which in turn enhance the level of followers' job satisfaction and reduce the level of followers'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and the extant understanding with regards to the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outcomes. In particular, this study provides explanation of the influential processes through which empowering leadership exerts influence on work attitudes of followers. Moreover, organizations should encourage organizational members to have capabilities to become empowering leader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reduce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order to do so, organizations should provide appropriate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their current and future managers.

      • KCI등재

        한국 문학 작품에서의 호칭과 존칭 표현에 대한 프랑스어 번역

        김대영 ( Daeyoung Kim ),기욤장메르 ( Guillaume Jeanmaire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2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 문맥 내에서 출발어 문화권이나 도착어 문화권에 생소한 요소를 번역하는 것은 어렵고 복잡한 일이다. 따라서 프랑스 독자에게 한국어 독자만큼의 보편적인 연상 작용을 불러일으킬 수 없는 한국어의 호칭과 존칭 표현을 프랑스어로 번역하는 일은 번역자에게 큰 어려움으로 다가올 수 있다. 이러한 표현들에 해당하는 동등하거나 유사한 어휘들이 도착어 문화권에는 존재하지 않거나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기에, 이 경우 번역자는 문화적 차이를 매우기 위해 적절한 번역 전략을 택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 문학 작품에 나타난 한국어의 호칭과 존칭표현을 프랑스어로 번역하기 위한 전략들을 출발언어 문화 중심의 번역과 도착언어 문화 중심의 번역이라는 두 관점 하에 이를 살펴보고, 더 나아가 이러한 이분법을 넘어서서 `역동적인 등가(equivalence d`effet/equivalence fonctionnelle/dynamique)(Nida, 1964)`의 관점 하에, 대안 번역을 제안해 보았다. 문학 작품 내에서 한국어의 호칭과 존칭표현을 프랑스어 독자에게 익숙한 방식과 표현으로 번역하는 자국화(domestication) 혹은 생략 번역의 경우, 독자는 호칭과 존칭표현에서 드러나는 등장인물 간의 정서적, 사회적 위계 관계 유형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반대로 직역(traduction litterale)으로 호칭과 존칭 표현을 번역할 경우 의미가 왜곡되어 프랑스어 독자는 이를 전혀 다르게 해석할 수도 있다. 하지만 두 경우 모두, 프랑스어 독자에게 한국어 독자가 느끼는 의미와 동일한 효과를 산출해 줄 수 있는 번역의 경우에는 독자의 오해를 줄일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어 독자와 프랑스어 독자 간의 동일한 효과를 산출하여 문화 간 차이를 보상해 줄 수 있다는 이러한 능동적 등가 방식의 번역 전략 하에, 프랑스어에서 이에 상응하는 어휘 및 표현 첨가 등의 방식으로 언어 사용 역을 고려하여 호칭이나 존칭 표현을 번역한다면 번역가는 프랑스 독자에게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번역 전략은 텍스트 내적(intratextuel), 텍스트 외적(extratextuel), 상호 텍스트(intertextuel)차원에서 프랑스어 독자가 느끼는 상호 문화적 격차 또한 어느 정도 상쇄해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En coreen, l`usage du prenom isole etant proscrit envers un aine et celui des pronoms personnels etant limite, les appellatifs permettent avant tout d`instaurer des relations fort complexes et subtiles ou se melent respect et affectivite ou distance. On appelle alors son allocutaire ou le delocuteur le plus souvent selon la relation qui le lie au locuteur, a l`aide de termes de parente, y compris hors des liens biologiques. Face aux appellatifs et aux marques de deference aux degres multiples qui les accompagnent, quelles strategies adopter en francais ? Sans doute afin de mieux plier le lecteur a ses normes de reception, le traducteur les supprime-t-il souvent ou recourt-il a des strategies acclimatisantes. Ces pratiques, lorsqu`elles sont systematisees, risquent de priver le lecteur des relations sociales (hierarchiques) et/ou affectives (degre d`intimite ou de distance) liant les differents protagonistes, et de la nature tres hierarchique des relations interpersonnelles. Selon la situation de communication, d`autres strategies (choix lexicaux, registre ou niveau de langue) exploitant toutes les ressources linguistiques de la langue d`accueil pourraient pourtant restituer les liens hierarchiques et psychologiques qui refletent la societe coreenne confuceenne et extremement hierarchisee.

      • KCI등재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과 프로그램 평가 표준에 기초한 프로그램 평가 사례 연구

        김대영(Daeyoung Kim),임승완(Seung-wan Lim) 한국경영학회 2021 Korea Business Review Vol.25 No.4

        CIPP 평가 모형은 국내 연구에서 1990년대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2010년을 전후로 국내 HRD 분야의 평가 연구에도 종종 적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CIPP 평가 모형을 활용한 연구들은 CIPP 평가 모형의 외형적 접근에는 충실하지만, 대개 총괄적 기능에만 주로 초점을 두고 한두 가지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한다는 점, 그리고 프로그램의 핵심 가치를 반영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참여토록 하는 것에 소극적이며, 평가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불충분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과 JCSEE의 프로그램 평가 표준을 충실히 이행하여 평가의 질을 확보하고자 노력한 프로그램 평가 사례를 검토, 논의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해당 평가 사례는 CIPP 평가 모형의 지향 원칙 가운데 무엇을 어떻게 준수하였는지, 프로그램 평가 표준을 어떻게 이행하였는지, 그리고 평가 오 · 남용의 가능성을 줄이고 바람직한 평가 활용 촉진을 위해 어떻게 대응하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인적자원개발 분야 프로그램 평가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researches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began to emerge in Korea in the 1990s and the model has been often applied to HRD evaluation researches before and after 2010. The studies using CIPP evaluation model in Korea, however, has been pointed out as follows: 1) mostly collecting data with one or two ways focusing on the summative function 2) being passive about having various stakeholders to be involved and applying core values 3) not making enough efforts to have the quality of evaluation. Even though they are devoted to apparent approach. As being aware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presents and discusses cases that conducted the oriented principles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and endeavored to secure the quality of evaluation. More specifically, the cases were reviewed 1) how and what principle they followed among oriented principles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2) how they conducted the program evaluation standard of JCSEE 3) and lastly, how they cop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evaluation misuse and to promote using evaluation prop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