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기방치 건축물의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원주시 우산동 사례를 중심으로

        김누리(Kim, Nu Ri) 한국부동산산업학회 2018 부동산산업연구 Vol.2 No.1

        공사가 중단된 채 건축물이 장기간 방치될 경우 토지가 한정적인 우리나라는 국가적으로 큰 낭비가 발생된다. 장기간 방치된 건축물은 도시 미관을 저해하고 도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구축시킨다. 비정비로 인해 그대로 노출된 시설물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부식이 진행되며 안전을 위협한다. 제대로 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각종 범죄 및 탈선 장소로 악이용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국가는 공공개입의 필요성을 느끼고 2013년 「공사중단 장기방치 건축물의 정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하였다. 그러나 체계적 관리 및 정비에 대한 제도가 미약하여 그에 따른 명확한 기준 제시가 필요하다. 현재 장기방치 건축물의 선도 정비 사업을 통해 국토부에서 지정된 1차, 2차, 3차 선도 정비사업 추진현황 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고 ‘원주시 우산동 공동주택’의 사례를 심층 분석하여 정비사업 선도 모델로서 시행과정을 살피고 그에 따른 문제점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꾸준한 문제점으로 사회적 악영향을 끼치고 있는 장기방치 건축물은 더 이상 특정 지역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의 문제로서 심각성을 인지하고 정비 방침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한다. 본 연구는 실제 선도 정비사업의 사례를 심층 분석하고, 사례 분석상의 문제점과 법ㆍ제도상의 문제점을 도출한 뒤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long-abandoned building means the building which is left abandoned or unattended for a long time after the suspension of its construction works and is referred to as the building whose construction has been suspended for more than two years. In case the building is left abandoned, it comes to cause the great waste of land at the national level in our country whose national land is limited. The abandoned building defiles the appearance of the city and builds up its negative image, coming to exert a socially adverse effect. The facility left unattended due to long non-management is deteriorated by the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deteriorated facility comes to threaten the safety of neighboring residents. The actual situation is that long-abandoned buildings are not properly managed, and at length their site becomes the crime-ridden area and is badly used as the place for all sorts of crimes and delinquencies. Korean government felt the need for intervention of the public sector in regenerating long-abandoned buildings having a diversity of social problems, enacted the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Regeneration of Long-abandoned Buildings Due to the Suspension of Construction Works」 in relation to long-abandoned buildings in 2013 and made continuous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through the 2nd partial amendment of the Act in 2017. Nonetheless, it is now a high time that a clear criterion should be presented for long-abandoned buildings as there is currently a weak legal system that enables long-abandoned buildings to be managed and regenerated in a systematic way. By conducting the nationwide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 about abandoned buildings for the leading regeneration project of current long-abandoned buildings, the leading project site is currently selected and the regeneration project i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generation plan. This study attempted to survey and analyze the case of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promotion of the designated 1st, 2nd and 3rd leading regeneration project and make an in-depth analysis of the case of ‘Apartment Houses located in Wusan-dong Wonju City’. And it presented how the Act on the Regeneration of Abandoned Buildings has been enforced as the leading model of the regeneration project and the accompanying problems.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at the long-abandoned building having a socially adverse effect as the continuous problem is a serious problem at the national level, not at the local level, and to continue to improve the relevant guideline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n in-depth analysis of the case of the actual leading regeneration project and elicit the problem related to case analysis and the relevant legal and institutional problem, thereby presenting the improvement scheme for them.

      • KCI등재

        박완서 장편소설 『서있는 여자』에 나타난 식욕의 전시성과 재생산 노동

        김누리(Kim, Nu-li)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이 글은 박완서의 장편소설 『서있는 여자』에 나타난 식욕의 전시성과 재생산 노동을 연구한다. 여성 인물은 전략적으로 미각을 의식하여, 역사적으로 맛을 욕망하고 향유할 식욕의 주체가 아닌, 남성의 식욕을 해소하는 요리라는 노동을 부담할 주체로 살아온 입장에서, 새로운 감각을 마주할 자리와 몫을 추구한다. 고로 소설에 묘사된 음식은 세태적인 소재에 머물지 않고 미시 정치의 가능성을 담보한다. 식욕도 의식주라는 일차원적 욕구의 수준을 넘어서 자아를 욕망하고 실현할 동력으로 거듭난다. 아울러 미식에 맹목적으로 집착하는 허위의식을 생산하는 중산층의 계급성 혹은 가부장제에 대항할 육식을 수행하여, 사적이지만 주요한 일상생활을 형성하는 식습관을 공적 문제로 확장할 정치성을 드러낸다. 더불어 요리 등의 가사노동이 부과되는 부엌이라는 젠더지리학적인 장소에서 여성이 주체적으로 식욕에 응답하기로 각성하고 실천하는 변화의 양상을 살핀다. This paper studies the exhibition of appetite and reproduction labor shown in Park Wan-seo"s full-length novel Standing Woman. Female characters have historically not been the subjects of appetite to desire and enjoy taste, but have lived as subjects to bear the labor of cooking that relieves men"s appetite. However, from that point of view, they seek a place and share to face new senses by strategically conscious of taste. Therefore, the food depicted in the novel does not remain in a secular subject, but guarantees the possibility of micro-politics. The appetite goes beyond the level of one-dimensional desire of food and is reborn as a driving force to desire and realize the self. In addition, they carry out carnivorous food to counter the false consciousness of the middle class, which is unconditionally obsessed with gourmet, or the patriarchal order dominated by men. As a result, it reveals the politics of expanding the eating habits that form private but major daily life into public problems. In addition, this paper will creatively look at changes in women"s awakening and practicing to respond to appetite independently in a gender geographic place called the kitchen where housework such as cooking is imposed.

      • KCI등재

        독일통일 3대 신화 : 독일통일 30년과 한반도

        김누리(Kim, Nu Ry)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통일인문학 Vol.84 No.-

        이 논문은 독일통일 30년을 맞은 오늘날까지도 한국 사회에 팽배해 있는 독일통일에 대한 잘못된 통념을 바로잡고, 독일통일이 한반도의 미래에 주는 의미를 짚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통일독일 30년의 명암은 매우 뚜렷하다. 독일은 통일된 이후 국제적 위상이 치솟아 세계에서 ‘가장 존경 받는 나라’가 되었다. 독일 대통령 프랑크 발터 슈타인마이어는 지금의 독일은 ‘역사상 최고의 독일’이라고 상찬한다. 그러나 동서독 주민들 간에는 여전히 ‘머릿속의 장벽’이 버티고 있다. 내적 통일은 아직도 요원하다. 한국은 독일통일에 가장 관심이 많은 나라지만, 동시에 독일통일에 대한 잘못된 ‘신화’가 가장 널리 퍼져있는 나라이기도 하다. 세 가지 신화가 지배한다. 첫째, 한국 사회의 지배적인 담론인 ‘흡수통일론’은 동독 주민들이 통일의 주역이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놓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둘째, 통일에 천문학적 비용이 들었다는 ‘통일비용론’도 그 대부분이 복지비용이었다는 사실을 은폐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의 현실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셋째, 독일 통일의 국제적 환경이 한국보다 좋았다는 통념도 이웃 국가의 두려움 때문에 독일에서는 ‘통일’이라는 용어조차 금기어였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주장이다. 독일통일 30년은 한반도의 미래에 많은 시사점을 준다. 이 논문은 특히 세 가지 점에 주목한다. 첫째, 통일 한반도의 사회적 실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존중이 성공적인 통일의 필수조건이라는 점이며, 셋째 통일이 성숙한 민주국가의 건설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반도 통일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민족 이성’의 견지에서 통일 과정에 임하는 것이다. 냉전적 사고를 깨고, 진영의 논리보다 민족의 현실을 중시하는 거시적 관점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correct the myth and misconceptions around the German reunification that prevailed in South Korea for over 30 years-and reflects upon its consequences for the Korean Peninsula"s future. The contrast of 30 years of unified Germany is apparent; since unification, Germany"s international status has soared, becoming South Korea"s most respected country. German President Frank-Walter Steinmeier praised it, claiming that "Germany today is historically the best." However, between East and West residents, the "Wall of the mind" has not faded away. The inner unification is still far away. It is a paradox that South Koreans, who are the most interested in Germany"s unification, have the most widespread myths, of which three prevail: reunification by absorption, astronomical unification cost, and good geopolitical circumstances. First, reunification by absorption denies that people in East Germany were genuine protagonists for reunification; second, the German reunification"s astronomical cost concealed that most of it was related to welfare; third, the geopolitical circumstances failed to recognize neighboring countries" fears of German reunification. The 30 years of German reunification has many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is article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ree points. First, it is crucial to imagine what kind of society we would like to live in after Korea"s reunification. Second, reciprocal consideration and respect is a prerequisite for a successful unification. Third, systematic preparation is required for the unification to be a step toward a mature democratic society. Reunification must be worked on with "national reason": it is now time to break the Cold War thinking and focus on the nation"s reason over the bloc"s logic.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학급관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누리(Kim Nu ri),안도희(Ahn Doe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급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학급관리 역량 척 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인천·경북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급관리역량 척도는 ‘관계역량’ 요인, ‘교수역량’ 요인, ‘훈육역량’ 요인으로 총 3요 인 3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구성된 학급관리 역량 척도의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뢰도 검증을 통해 학급관리역량 척도는 26개 문항의 3 개 하위요인(관계역량, 교수역량, 훈육역량), 총 1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요인별 신뢰도는 .569∼.832로 나타났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학급관리역량 척도 는 총 3개요인(관계역량, 교수역량, 훈육역량) 3요인 18문항으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학급관리역량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854, 3개 요인의 신뢰도는 .634∼.858로 나타났 다. 셋째, 수렴 타당도 검증을 통해 학급관리역량의 3개 요인들은 교사효능감, 소진, 직무 만족도, 직무몰입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준거 관련 타당도를 통해 근속연한에 따른 4집단의 학급관리역량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해 일원 다변량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학급관리역량 전체와 하위 요인 중 ‘교수역량’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타당도가 입증된 학급관리역량 척도는 초등학교 교사의 학급관리 역량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Classroom Management Competency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cale was developed ‘Relationship competency’, ‘Instructional competency’, ‘Class discipline competency’ 3 factors and 18 items. This subjects were 275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Seoul, Kyunggi, Incheon, Kyungbuk area. First, samples was used to generate the factors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resulted in a scale of 3 factors which contains ‘Relationship competency’, ‘Instructional competency’, ‘Class discipline competency’ and 18 items. Second, convergent validity was supported through correlations betwee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competency scale and teacher’s efficacy,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Third, one 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ere indicated that experienced teachers had higher classroom management competency(i.e., instructional competency) than novice teacher.

      • KCI등재

        다양한 발목 경사를 통한 균형 훈련이 건강한 성인의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김누리,강미,이정은,이하경,차유리,Kim, Nuri,Kim, Kangmi,Lee, Jeongeun,Lee, Hakyeong,Cha, Yuri 대한물리치료과학회 2018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25 No.3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balance training through various ankle inclination on dynamic balance in healthy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participated in 20 healthy subjects. Twenty healthy adul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10 ankle inclination group and 10 flat group, 3 kinds of exercised were performed in $30^{\circ}$ of the plantar flexion, $0^{\circ}$ of the neutral angle and $30^{\circ}$ of the dorsiflexion. Above 3 kinds of exercises were also performed in the flat group. Dynamic balance of each group was evaluated using a Figure-of-8 hop test, Up-down hop test, and Functional reach tes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Results: In the ankle inclination, the post-experi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igure-of-8 hop test, Up-down hop test, and Functional reach test in comparison to pre-experiment(p<.05). Conclusion: The exercise applied in the ankle inclination i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the dynamic balance.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 교사특성, 수업분위기와 창의성과의 관계

        김누리(Kim Noo Ree),이희현(Lee Hee Hyun),효원(Kim Hyo Wo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맥락 중 학교의 수업환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조사 2013(KELS)의 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수업방식과 교사특성이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수업방식, 교사특성(교사지원, 교사열의, 성취압력), 수업분위기는 창의성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에 따라 교사의 수업방식과 교사특성은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학생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수업방식은 학생의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특성 중 교사지원과 교사열의는 창의성에 정적인 영향을, 성취압력은 창의 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사의 지원과 열의는 수업분위기를 매개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및 논의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교사들에게 초등학생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인 교수-학습방법, 학급경영, 교실환경 조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lass environment of school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context affects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For the study 7,280 students' data from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KE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 metho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teachers, teacher characteristics, class atmospher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Second,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and teache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model studies were identified affect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mediating a class atmosphere. As a result,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showed that only a direct impact on the creativity of the students. Teachers enthusiasm and teacher support gave a positive effect on creativity,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d a negative effect on creativity. In particular, the positiv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ppeared to affect creativity to mediate the class atmosphe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rmulated several educational suggestions with respect to creative class environment

      • KCI등재

        유아누리과정의 활동목표에 나타난 창의융합관련 요소 분석

        전경원(Kyung Won, Jeon),조현서(Hyeon Seo, Jo),김누리(Noo Ree, Kim)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3~5세의 누리과정 내에서 창의융합 교육활동이 전체 교육활동 중 어느 정도의 비율을 차지하는지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적용과 변화 가능성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2권을 면밀하게 분석결과 창의융합 교육활동은 전체 2116개의 활동중 총 231(10.92%)개였고, 생활주제별로 살펴보면 ‘봄‧여름‧가을‧겨울’이 39(17.89%)개로 가장 많았으며, ‘교통기관’이 10(5.56%)개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이를 다시 연령별로 살펴본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창의융합 활동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활동유형별 창의융합 활동을 살펴보면 3세와 5세는 자유선택활동, 4세는 대소집단 활동의 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누리과정 하위영역을 중심으로 창의융합 활동을 분석한 결과 예술경험과의 창의융합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반면에 신체‧운동 건강과 의사소통과의 창의융합 활동의 비율이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center has performed an analytic study of creative convergence related factors reflected in the activity goal of the teacher's manual for 3-5 year's “Nuri Curriculum” as announced for 2011. It was the intent of this study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how much creative convergence related factors can be applied and put into practic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study, all activity objectives listed in book 32 of the Teacher's Manual for 3-5 year old “Nuri Curriculum” was selected for use as sampling.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nvolved creative convergence activities were full of activities, a total of 231 of 2116 (10.92%). And in the “Life Themes” ‘Spring Summer Autumn Winter' was the most activity with 39 (17.89%),’ ‘Transportation’ was the lowest in 10(5.56%) activities. And the more creative convergence activities were found to the elder years. In the activity types, free choice activities for 3 and 5 years the number of Large-small group activities were more. Creative convergence was the most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arts. Exercise health and communication was the lowest. Finally, several suggestions to be considered for creative convergence activity in Nuri Curriculum were present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