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에 대한이미지와 갈등의 변화 분석

        김나림,곽경화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4

        본 연구는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에 대한 이미지와 갈등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J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9명으로, 6주간 이미지 그림자료, 면담, 저널, 실습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육실습을 통하여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과 보육교사에 대한 이미지는 변화하였다. 첫째, 예비보육교사는 자신에 대한 새로운 발견을 하고, 보육실습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와 태도를 형성하였다. 둘째, 실습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갈등에 직면하고 경험하며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꿈을 찾고, 자신을 조각하면서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형성하게 되었다. 즉, 예비보육교사들은 실습을 통해 보육실습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며, 다양한 상황과 관계 속에서 갈등과 어려움을 경험하나, 스스로의 자기반성과 성취감을 통해 변화하고 성장하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 processes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teacher-image and internal conflict through the experience of teaching practicum at early childhood edu-care center. To this end, we select nine sophomores in community college, whose major i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analyze their self-image paint as preschool teachers, interview, journal writing and practical training note during six weeks. We find that the field practicum at early childhood edu-care center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 participated students. First, the students in the practicum discover new image of child care teacher and develop a positive attitude on that. Second, by facing various types of conflicts and solving the complex problems in the practicum, they acquire a specialty as a child care teacher based on reflective thinking and achievement.

      • KCI등재

        로봇 플랫폼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행동 연구

        김나림,이종향 교육종합연구원 2013 교육종합연구 Vol.11 No.4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ildren’s social behavior related to platform ofR-learning using robots. For this study, 137 children from three-year-old tofive-year-old in the kindergartens were participated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groups. Each children group was intended to play with only one robot, iRobiQ orGenibo. Following Lee(1995), we observed their ‘free choosing activities’ during sixweeks with recording the frequency of their social behavior in the first, third, and fifthweek for three times. We fi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iRobiQ groupand the Genibo group in terms of social behavior of children. In addition, whilechildren’s positive social behavior increases with their age, declining negative socialbehavior was observed for five-year-old children, regardless of the robot type inplatform.

      • 유아의 내러티브 표상에 나타난 어머니상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김나림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8 아동중심실천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유아의 내러티브 표상에 나타난 어머니상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시 어린이집 만 5세 유아 100명(남아 47명, 여아 53명)이며, 연구도구로 유영미와 이영(2001)이 번안한 Bretherton(1990)의 이야기 완성 과제(MacArthur Story-Stem Battery: MSSB)를 도구와 이원영(1983)이 번안한 Schaefer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의 적합성, 적용가능성, 검사자 훈련에 관한 예비검사와 유아의 내러티브 표상을 알아보기 위한 10일간 유아 면담, 어머니의 양육태도 검사를 위한 질문지 발송 등의 절차를 거쳤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두 독립표본 t검증,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유아의 내러티브 표상에 나타난 어머니상은 긍정적 표상이 가장 많았고, 남아에 비해 여아가 좀 더 많이 긍정적 표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유아의 내러티브 표상에 나타난 긍정적 어머니상과 애정적 양육태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글없는 그림책 관련활동이 유아의 쓰기 능력과 쓰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나림,심성경 한국유아교육학회 2004 유아교육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글없는 그림책 관련활동이 유아의 쓰기 능력 및 쓰기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것이다. 가정의 문식성 환경이 동질적이라고 확인된 실험·통제집단 각 20명씩 만4세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 실험 설계 방법에 의해 총 14주간 처치가 이루어졌다. 김소양(1994)의 쓰기 발달 단계 검사와 박상희(1997)의 쓰기 인식 면접을 실시한 결과, 유아의 쓰기 능력을 유의하게 증진시켰고, 쓰기에 대한 인식 수준을 향상시켰다. 이에 글없는 그림책 관련활동은 만 4세 유아의 쓰기 능력 및 쓰기에 대한 인식의 발달을 돕는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wordless picture book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writing ability and perception of writing.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wordless picture book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writing ability? 2) What is the effect of wordless picture hook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writing?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aged four in two classes at J Children's House in I city. Twenty children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in the control group. Both groups had similar home literacy environments. The wordless picture book activities in this study were constructed by researchers based on Lee (1998), Lee (1999), and Hong & Kim (2000) and were employed for a 14-week period. The Writing Ability Test (Kim, So Yang, 1995) and the perceptions of Writing Interview forma (Park, Sang Hee, 1997) were administered and analyzed by M, SD, two independent t-test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ith spss/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wordless picture book activities increased children's writing ability significantly. 2) The wordless picture book activities improved children's perception of writing in all the sub-areas.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김나림,권이정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5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과 다문화교육 태도 및 다문화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이다. J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총 296명을 대상으로 Pang(2005)의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교사의 관점, Ponterotto와 동료들(1998)이 개발한 교사 다문화 태도 척도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 Survey: TMAS)를 옥장흠(2009)이 수정 보완한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척도, 최충옥과 모경환(2007)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수효능감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일원변량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에 대해 많은 교사들이 다문화교육은 ‘인간관계 강조’나 ‘배려중심’교육이 목표라고 인식하였다. 두 번째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만 ‘교육과정에 대한 태도’에서 교사의 관점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태도와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정적 상관을 보여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문화교육에 대한 일반적 태도, 교사역할에 대한 태도, 교사교육에 대한 태도 모두 교수효능감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현직교육과정의 필요성과 결부하여 논의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교사의 역사에 대한 인식 정도와 관심도 및 역사교육 경험이 교사의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나림 구성주의 유아교육학회 2022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egree of teachers’ perceptions and interest in history, as well as the impact of history education experience on teachers’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research question proposed first asked what a teacher’s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then, it asked what the effects of a teacher’s degree of perception and interest in history and educational experience are on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research tools for this study were distributed through email to 240 teachers of classes of 3- to 5-year-old children that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n J City. 226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These tools were adapted through a modification of a questionnaire from Kwon Yijeong (2022) and Kim Na-rim (2022) for use as a testing tool for a historical consciousnes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18, one-way variable analysis, and Scheffe post-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possessed an above-average historical consciousness, but their awareness of the usefulness of history was the highest, whereas their actual historical knowledge was the lowest. Moreover, it was found that a higher degree of perception and interest in history as well as history education experienc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 higher historical consciousness.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eachers’ perception and interest in history as to cultivate their senses of history.

      • KCI등재

        Feminine Travel in L. Frank Baum’s The Wonderful Wizard of Oz

        김나림 한국아메리카학회 2024 美國學論集 Vol.56 No.1

        In L. Frank Baum’s 1900 The Wonderful Wizard of Oz, a girl named Dorothy is displaced from her home in Kansas by a cyclone. Upon finding herself in the magical land of Oz, Dorothy travels toward the most powerful wizard in the region, in the hopes that he might be able to send her back to Kansas. Although she encounters many life-threatening threats, ultimately Dorothy proves herself as a competent traveler and finds her way home. In Baum’s America, travel was for long gendered male and writers rarely sent female characters on quests. In this sense, Baum’s heroine was unconventional. At the same time, however, Dorothy adheres to traditional gender norms, as they were laid out in conduct books for women travelers; she finds male escorts and keeps herself both clean and pretty. These dual qualities explain the girl’s immense popularity among Baum’s contemporaries—she appealed to both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readers.

      • KCI등재후보

        유아의 성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김나림,김지영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34

        This study is investigated to the young children's concept formation about sex.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s there any difference about concept of sex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age and sex? 2) Is there any difference about concept of difference on the sex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age and sex?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8 children of 4 and 5 years of age from D and S Children's House in J city. The researchers interviewed the subjects by using a specially designed interview format. Responses of children we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criteria developed by researchers on the basis of the researcher's previous studies, the study of Jeong(1991), Jeong(1996) and that of Park(2001). The data was analyzed by M, SD, two independent t-tests and frequencies, percentages with spss/pc program.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1)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ability of 4 years old and 5-year-old children were developed almost mostly, and Young girls were expose that develop little more. 2) The 4 years old and 5-year-old children were recognizing about biologic difference of man and woman regardless of age and that girls were recognizing little more high. Children who respond that biologic special quality is same responded that appearance and psychological special quality are equal. And that consecrated vessel is identical, ratio that recognize is low. If examine infants who respond that there is biologic difference, was recognizing that dress and sexual gland are different mainly. But, that body part is different when painted, ratio that express is high.

      • 보육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불안과 적응과정 연구

        김나림 ( Na Rim Kim ) 영유아교육학회 2009 영유아교육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3년제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들이 보육실습과정에서 인식하는 불안의 정도와 실습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총 20명이며, 보육실습 전후에 Hart(1987)가 제작한 STAS를 번역한 신은희(2003)의 실습 불안도구를 사용하여 불안감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두 종속표본 t 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보육실습이 어떤 적응과정을 통하여 변화되어 가는지를 4명의 예비유아교사 저널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예비유아교사들은 보육실습을 통하여 불안감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또한 불안에서 시작된 보육실습은 불안감은 사라지고, 사회화 과정을 통한 교사로서 자신의 모습에 대한 긍정적 상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보육실습은 예비유아교사들의 불안감을 감소시키며, 교사로서의 긍정적인 자신감을 형성하고, 확신을 갖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tent of anxiety and the adaptation process through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of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The subjects were 20 sophomore apprentices and the differences in the feeling of anxiety were analyzed by the Instrument for Practice Anxiety (Shin, Eun-Hee, 2003-translated from STAS (Hart, 1987)) before and after the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and the two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o. In addition, how the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can be changed through some adaptation processes was analyzed from the journals of the student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feeling of anxiety has decreased notably. Moreover, the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have built up the feeling of conviction as a teacher and they have experienced the enjoyment from the affirmative communication with the children. Through these process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child care and teaching practice had a positive effect upon the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building up the feeling of efficiency as a tea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