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성숙 상악 영구 중절치에서의 치근파절 치험례

        김기백,선미,최남기,양규호,Kim, Ki-Baek,Kim, Seon-Mi,Choi, Nam-Ki,Yang, Kyu-Ho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3

        성장 발육중인 어린이나 청소년에서 치아에 가해지는 외상성 손상은 성인에 비하여 흔히 일어난다. 외상이 일어난 후부터 적절한 치료가 시행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은 특히 예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며, 외상성 치아 손상을 입은 환자를 검사하고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적절한 치료가 시간 내에 시행되지 않는다면 환자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전 연구들에 의하면, 외상의 발생율은 8-10세 아이들에게서 가장 흔하고, 가장 많이 이환된 치아는 상악 영구 중절치이며, 남자의 경우가 여자보다 2:1로 빈도가 높았다. 상악 중절치의 치근 완성시기는 평균 10세 정도로 알려져있다. 외상성 손상에 이환된 호발 연령대의 상악 영구 중절치는 대부분 발육중인 미성숙된 치아로, 혈류공급이 왕성하여 손상시 재혈관화에 의한 치유가 비교적 쉽게 일어날 수 있어 치수 생활력에 대한 긍정적인 예후가 기대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외상성 손상을 받은 미성숙 상악 영구 중절치의 치근파절 치험례로, 통상적인 근관치료를 하지 않고 보존적인 술식을 통하여 치아의 생활력을 유지할 수 있었기에 그 치료 경과 및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Traumatic dental injuries in childhood and adolescent occurred more frequently than in adult. The time between the accident and the treatment i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to prognosis, and because of the limited time available to examine and treat patients with traumatic dental injuries, if not treat appropriately, the result would be critical for the patient. In the previous studies, th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traumatic injuries were the most frequent at the age of 8 to 10 years, the majority of dental injuries involve the anterior teeth, especially the maxillary incisors, and males were more prevalent than females in an approximated proportion of 2:1. As the mean age of complete root formation is 10 years old, the maxillary permanent incisor involved in the most affected age group is usually immature, and the possibility of pulpal healing through excellent revascularization exists, more positive prognosis for pulp vitality would be expected. These are treatment cases of the immature maxillary permanent central incisor involved in the traumatic injury, and reports for progress and results of preserving the pulp vitality through the conservative treatment instead of the conventional endodontic root therapy.

      • KCI등재

        Lithium Disilicate (IPS e.max CAD) 코어와 전장 도재 사이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김기백 ( Ki Baek Kim ),재홍 ( Jae Hong Kim ) 한국치위생과학회 2013 치위생과학회지 Vol.13 No.3

        본 연구는 심미 치과보철물에 사용되는 지르코니아, li-thium disilicate 코어와 전장도재 사이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금속도재관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직사각기둥 모양의 시편을 각각 10개씩 제작하여 코어와 전장도재 사이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한 후 파절면의 양상을 실체현미정을 통해 관찰하였다. 제한된 조건하에 시행된 실험을 통하여 심미보철 분야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치과용 세라믹 코어의 전단결합강도를 확인하였으며, 측정 후 비교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종의 치과용 세라믹 코어와 전장도재 간에 전단결합강도는 금속도재관의 진단결합강도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본 실험 결과를 토대로 ZB군은 임상적으로 받아 들여지는 전단결합강도 범위 내 분포를 보이지만, LB군은 임상허용 범위에 못 미치는 결과값을 보였다. 금속도재관과 달리 지르코니아, lithium eracllisid 전부도재관은 모두 혼합형 파절양상을보였다. 결론적으로 전단결합강도 실험에 사용된 시편이 임상적인 치과보철물의 형태와는 달리 실험을 위한 시편의 형태로 제작되어 임상적 결과를 반영하지 못했으며 구강 내의 상황과도 다르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추후에는 이를 보완하여 치과보철물과 유사한 형태의 시편을 이용한 전단결합 강도의 측정과 구강 내 조건을 고려한 추가 실험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various commercial all-ceramic system core and veneering ceramics,and evaluate the clinical stability by comparing the conventional metal ceramic system. The test samp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i-Cr alloy (metal bond), yttria-stabilized, tetragonal zirconia polycrystal (Y-TZP) (zirconia bond), lithium disilicate (lithium disilicate bond). The veneering porcelain recommended by the manufacturer for each type of material was fired to the core. After firing, the specimens were subjected to shear force in a universal testing machine. Load was applied at a crosshead speed of 0.50 mm/min until failure. Average shear strengths (mega pascal)were analyzed with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Tukey test (α=0.05). The mean shear bond strength±SD in MPa was 44.79±2.31 in the Ni-Cr alloy group, 28.32±4.41 in the Y-TZP group, 15.91±1.39 in the Lithium disilicate group. The ANOV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p<0.05). None of the all-ceramic system core and veneering ceramics could attain the high bond strength values of the metal ceramic combination.

      • KCI등재

        듀얼 마이크를 이용한 교차 파워 스펙트럼 위상 기반의 음성 구간 검출 알고리즘

        김기백(Gibak Kim) 대한전기학회 2020 전기학회논문지 Vol.69 No.1

        To detect voice activity in adverse noisy environment, multichannel signal processing can be considered to exploit spatial selectivity. In this paper, a dual-microphone voice activity detection method is proposed to cope with the presence of strong coherent interferenc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direction of the target speech signal is known and the time delay between the two microphones is compensated, it is shown that the maximum of windowed averaging of real coherence function provides a reliable feature for the voice activity detection even in low signal-to-interference ratio case. The coherence function is based on the cross power spectrum phase between the two microphones. In the experiments, isolated digit utterances are convolved with impulse responses to simulate dual-microphone signal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more reliable feature for the voice activity detection in the presence of strong coherent interference.

      • KCI등재

        웨이블릿 평면의 픽셀별 가중 결합을 이용한 위성 영상 융합

        김기백(Gibak Kim) 대한전기학회 2020 전기학회논문지 Vol.69 No.1

        We propose a wavelet-based method for fusing satellite images. The proposed scheme is based on the wavelet decomposition. A linear combination of wavelet planes is presented, which includes terms for avoiding overlapping high frequency component and enhancing details. To consider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image, weights are imposed on each pixel of the image and the high resolution image is synthesized in a pixel-wise fusion. The weights are estimated by least squares method with lowered resolution images and multiplied by a proper scaling factor. In the experiments, using IKONOS and QuickBird satellite image data, we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conventional methods in terms of various objective quality measures.

      • KCI등재

        MPM을 병합하여 인트라 예측 모드를 시그널링하는 방법

        김기백(Kibaek Kim),이원진(WonJin Lee),정제창(Jechang Jeong)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1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6 No.3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intra coding method with merging intra prediction mode to achieve intra coding gain. The proposed method uses signaling of prediction mode with merging prediction mode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If the number of blocks that has the same prediction mode compared to that to be predicted from neighboring blocks exceeds the predefined threshold, then the proposed method is used in order to reduce bits of intra prediction mode for coding efficiency. Otherwise the conventional method is us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the PSNR gain of about 0.05 ㏈ in RD curve and reduces the bit rates about 1 % compared with H.264/AVC. In particular, the PSNR gain of about 0.1 ㏈ in RD curve and reduces the bit rates about 1.7 % compared with H.264/AVC at low bit-rates. we can kn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icient tool at low bit-rates.

      • KCI등재

        샌드블라스팅 처리와 라이너가 지르코니아와 전장도재의 전단결합 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기백,재홍,Kim, Ki-Baek,Kim, Jae-Hong 대한치과기공학회 2021 대한치과기공학회지 Vol.43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cores and veneer ceramics as per the sand blasting and liner treatments. Methods: The following 4 groups of zirconia-veneering ceramic specimens were prepared: (1) Group I, untreated; (2) Group II, with 110 ㎛ aluminium oxide (Al2O3) sandblasting; (3) Group III, with liner (IPS e.max ZirLiner; Ivoclar Vivadent); and (4) Group IV, with 110 ㎛ Al2O3 sand blasting and liner. Surface roughness was measured for all the prepared specimens, and the surface morphology was observ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ll the samples (n=40) were fixed with measuring jigs, and shear bond strengths were obtain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a crosshead speed of 0.5 mm/min. The shear bond strength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test. The post hoc comparison was performed using the Tukey's test (α=0.05). Resul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face roughness was observed between the specimens of groups I and II (p<0.05). Surface treatment with liner and sandblasting showed higher shear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core and veneering ceramic (p<0.05). Conclusion: The sand blasting and liner treatment increased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core and veneering ceramic.

      • KCI등재

        무기체계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신뢰성 공학 프로세스

        김기백(Ghiback Kim),이재천(Jae-Chon Lee) 한국통신학회 2011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4 No.6

        무기체계가 첨단 복합화 형태로 진화하면서 물리적 구현에서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은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특히 네트워크 중심전(NCW)으로 대변되는 현대의 전장 상황에서 신뢰성 있게 운용되는 무기체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국내 무기체계의 연구개발 과정에서 하드웨어 구성품과는 다르게 소프트웨어 요소에 대한 신뢰성 관련 기술 활동은 일부 구현된 소프트웨어에 대해 신뢰도 평가를 수행하는 수준이다. 그러나 연구개발 기간에 소프트웨어의 목표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기체계 개발 초기 단계부터 체계적인 신뢰성 공학 활동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범위가 제약되어 있던 그 동안의 소프트웨어 신뢰성 관련 연구 활동을 무기체계 연구개발 수명주기 동안 목표 신뢰도를 만족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시스템 공학 관점에서 접근법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무기체계의 연구개발 수명주기 동안 적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는데 이를 무기체계의 소프트웨어 신뢰성 공학 프로세스 (Software Reliability Engineering Process for Weapon Systems: SREP-WS)로 명명하였다. 각종 첨단무기체계 개발에 도출된 SREP-WS를 적용함으로써 소프트웨어 신뢰도를 정량적 관리할 수 있고, 또한 목표 신뢰도를 개발기간 중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As weapon systems are evolving into more advanced and complex ones, the role of the software is becoming heavily significant in their developments. Particularly in the war field of today as represented by the network centric warfare(NCW), the reliability of weapon systems is definitely crucial. In this context, it is inevitable to develop software reliably enough to make the weapon systems operate robustly in the combat field. The reliability engineering activities performed to develop software in the domestic area seem to be limited to the software reliability estimations for some projects. To ensure that the target reliability of software be maintained through the system's development period,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performing software reliability engineering activities are necessary from the beginning of the development period.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software reliability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a weapon system as a whole. Thus, from the systems engineering point of view, we analyze the models and methods that are related to software reliability and a variety of associated activities. As a result, a process is developed, which can be called the software reliability engineering process for weapon systems (SREP-WS). The developed SREP-WS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a weapon system to meet a target reliability throughout its life-cycle. Based on the SREP-WS, the software reliability could also be managed quantitatively.

      • KCI등재

        Direct Show 기반 UCC 컨텐츠 제작 시스템

        김기백(Kee-Baek Kim),최종호(Jong-Ho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3 No.2

        최근 들어 인터넷 사용자가 주체가 되어 생산하고 공유하는 UCC(User Created Contents)의 발달로 컨텐츠 제작 분야에서의 가장 중요한 이슈는 동영상을 쉽고 편리하게 편집하고 재생하는 시스템의 개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COM Component로 지원하고 있는 Direct X에 포함된 동영상 편집 기술인 Direct Show를 이용하여 UCC 제작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제안한 시스템은 Direct Show 기반의 변환필터 삽입 방식으로 사용자가 각종의 영상효과를 손쉽고 편리하게 UCC에 삽입할 수 있음은 물론, 기존의 프레임 단위 방식과는 달리 동영상 재생중에 각종의 영상효과를 삽입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실험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필터를 사용하여 동영상의 재생과정에서 각종의 영상효과를 삽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UCC 및 광고영상 제작 등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it has developed that UCC(User Created Contents) is made and created by the users. The mainly issue of production of contents parts is how can make easier and paly the moving picture more useful. In this paper, for this, we implemented UCC production system using Direct Show which is included Direct X. Direct Show is a moving picture editing technique and has been supported in Microsoft with COM component. Our system has features that the various effects can be easily inserted into moving picture by users. Moreover, our system can efficiently apply the effects at playing the moving picture differently from the frame processing method. We confirmed these merits through experiments. The proposed system can be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which high efficiency is required such as advertisement movi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