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의 불도관 연구

        김귀만,이경원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7 대순사상논총 Vol.29 No.-

        한국은 삼국시대 이래로 ‘삼교(三敎)’의 영향아래 놓여있었다. 그러나 근대에 접어들면서 ‘삼교’라는 표현과 함께 ‘삼도(三道)’라는 술어가 한국의 신종교를 중심으로 퍼져나갔다. 특히 대순사상에서는 ‘유불선’과 함께 ‘관왕(冠旺)’이라고 하는 종교적 경지에 대한 언급이 있어 주목된다. 이 연구는 ‘삼교’와 ‘삼도’를 구분하고 그 차이점에 착안하여, 대순사상에 나타난 ‘관왕’이라는 경지를 이해하며, ‘삼도관왕’의 관점에서 종교로서의 불교와 종교적 원리로서의 불도를 밝혀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먼저 동양전통에서 ‘도’와 ‘교’ 그리고 서양전통의 ‘종교(Religion)’ 개념을 확인하고, 근대 시기 한국의 종교가를 중심으로 퍼진 ‘삼도’라는 술어가 동양과 서양의 종교를 포괄적 원리로 말하기 위한 관점으로서의 ‘삼도론(三道論)’임을 규명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전경』 전반에 걸쳐 언급되는 내용에서 불도 혹은 불교문화적인 의의를 불보살 신앙과 불교교리, 승려 그리고 사찰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Ⅳ장에서는 대순사상의 불도관 특징을 불지형체(佛之形體)로서의 불도, 불지양생(佛之養生)으로서의 불도 그리고 불도 종장(宗長)으로서의 진묵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볼 때 대순사상의 불도관 연구는 대순사상의 정체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관점을 제기하고 있다. 즉 대순사상의 위상은 불도나 불교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 불도가 지닌 ‘형체’ 혹은 ‘양생’의 특징을 하나의 축으로 한 관왕의 경지를 지향하고 있으며, 오늘날의 종교현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다양한 모습의 불교를 불도의 원리 하에서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시각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Currently, the whole world is being swept away by spiritual movements.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s, Korea has been under the influence of “The Three Teachings”. But during the modern times, the word “The Three Daos” began to be widely used alongside the expression “The Three Teachings” within various circles of New Korean Religions. Regarding this, Daesoon Thought is particularly noteworthy due to its description of the religious realm spoken of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the figurehead of that realm, the “Gwan-wang (Crowned K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a distinction no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Teachings” and “The Three Dao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Gwan-wang” in Daesoon Thought and to facilitate the study Buddhism as both a religion and a religious principle within the context of “The Gwan-wang of the Three Daos”. Chapter Ⅱ, details the conceptions of “Dao” and “Teaching” in the Eastern tradition and “Religion” in the Western tradition. This chapter includes a discussion of how the word “The Three Daos” could be approached as a “Theory of the Three Daos” that explains the religions of the East and the West through comprehensive principles. Chapter Ⅲ goes through descriptions in the Jeon-gyeong of Buddhistic faiths, doctrines, monks, and temples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Dao of Buddhism and Buddhist culture as contained in the Jeon-gyeong. In chapter Ⅳ, the Buddhistic characteristics of Daesoon Thought is clarified in three ways: the Dao of Buddhism as the “substance of form”, oneness as “growth and nurturing”, and “Jinmuk” as the leader of the Dao of Buddhism. From this discussion, it is shown that research on the Dao of Buddhism in Daesoon Thought is a crucial avenue for understanding the identity of Daesoon Thought. In other words, the status of Daesoon Thought is not irrelevant to the Dao of Buddhism or to Buddhism proper, but Daesoon Thought should instead be understood as pursuing the state of Gwan-wang (Crowned King), which has the Dao of Buddhism as an axis characterized as “the substance of form” or as “growth and nurturing”. Also, it provides a comprehensive view by which the various aspects of Buddhism as a modern day religious phenomenon of can be understood under the principle of the Dao of Buddhism.

      • KCI등재

        대순진리회의 상생생태론 연구 : 상생의 의미를 중심으로

        김귀만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4 대순사상논총 Vol.48 No.-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meaning of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within the context of ‘Sangsaeng ecological theory,’ a form of discourse of that has emerged from Daesoon Jinrihoe’s perspective on ecology. Sangsaeng ecological theory applies the concept of interdependence to ecology in order to explain how Sangsaeng, which is commonly used as an ethical system for humans, can be applied to the realm of ecology such that it extends its scope of application to include non-human beings. Interdependence, when applied to ecology, is formed via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Such relationships can be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and the type of interdependence that emerges can be competitive, predatory, parasitc, and symbiotic. Even i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ends negatively, it can still exert a positive effect on the ecosystem. Consequently, all of these produce a type of ‘dependence’. However, relationships that end negatively can generate grievances, and from the perspective of Sangsaeng ethics, this type of interdependence is to be avoided. Therefore, by way of contrast, ecological Sangsaeng may include both relationships of positive interdependence and relationships of predation, parasitism, and competition in so far as there no grievances. Ecological theory requires a perspective that enables an understan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in an integrated way that does not separate them. One view of universe, known as Cheonji-saengin-yongin (Heaven and Earth give produce humans make use of them) provides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from an interdependent perspective. Heaven and Earth take humans as the basis of their existence, and only after humans discover the law of nature and the sacredness behind it can a deep interdependence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be established. However, as modern humans emerge, the interdependence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s collapses as they destroy nature and lower the authority of Shindo (divine order). Haewon Sangsaeng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Boeun Sangsaeng (the reciprocation of favors for mutual beneficence) is the solution to reestablish the interdependence that has been disconnected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The practice of Haewon Sangsaeng through Gongbu rituals is the way to restore interdepe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process of humans achieving Dotong (mastery of the Dao) through religious practices is the practice of Boeun Sangsaeng, and humans will be reborn into Injon (Human Nobility or ‘divine humans’) with ecological nature and enjoy an eternal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 nature. In summary, Sangsaeng in the context of Sangsaeng ecological theory is the idea and practice of allowing nature and humans to restore their interdependence and live on eternally. 이 글의 목적은 대순진리회의 생태주의 담론인 ‘상생생태론’에서 ‘상생’의 의미를 생태적으로 규정하는 데 있다. 인간을 대상으로 윤리적 측면에서 통용되던 상생이 그 적용 범위를 비인간까지 확장시키는 생태학의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상호의존성이라는 생태학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생태학에서의 상호의존성은 개체와 개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인 관계를 조합하여 경쟁, 포식, 기생, 그리고 공생으로 구분한다.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끝나더라도 생태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모두 ‘의존’이라는 개념에 포함된다. 그러나 개체와 개체 사이의 부정적 결말은 원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상호의존은 상생윤리의 관점에서는 그대로 통용될 수 없다. 따라서 생태적 상생은 긍정적 상호의존의 관계만 해당하거나 혹은 포원이 존재하지 않는 포식, 기생, 경쟁의 관계도 포함될 수 있다. 생태론은 자연과 인간을 분리하지 않고 둘 사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요구한다. 천지생인용인(天地生人用人)이라는 우주관은 우주와 인간,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상호의존적 관점에서 포착할 수 있게 한다. 천지는 자신의 존재 근거를 인간으로 삼았고, 지인은 자연의 법칙을 발견하고 그 배후에 있는 천지의 신성성까지 깨달아 비로소 천지와 인간, 자연과 인간의 깊은 상호의존의 관계가 성립한다. 그러나 근대적 인간이 등장하면서 자연을 짓밟고 신도의 권위를 떨어뜨림으로써 천지와 인간의 상호의존성은 붕괴된다.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은 천지와 인간, 자연과 인간 사이에 끊어진 상호의존성을 다시 잇는 해결책이다. 공부 의례를 통해 해원상생을 실천하는 것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의존성을 회복하는 길이다. 수도를 통해 도통에 도달하는 과정이 보은상생의 실천이며 이로써 인간은 생태적 본성을 지닌 인존으로 거듭나 자연과 영원한 상호의존을 누리게 된다. 요컨대 상생생태론에서의 상생은 자연과 인간이 상호의존성을 회복하고 그것을 영원히 지속할 수 있게 만드는 이념이자 실천이다.

      • KCI등재

        대순사상의 우주론 연구

        김귀만(金貴滿)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7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4 No.-

        우주의 근원에 대한 탐구가 인간의 본질을 밝히는 데 우선되어야 함은 이미 여러 종교사상의 연구에서 제시되어 왔다. 대순사상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서도 역시 우주론적 접근이 요청된다. 우주론은 철학의 영역에서 형이상학의 범주에 속한다. 그리고 그 주된 방법은 우주를 생성의 관점과 구조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물론 현대의 과학적 우주론은 형이상학적인 부분을 다루지 않지만 물리법칙을 넘어선 영역인 우주의 근원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종교적 고찰이 필요하다. 대순사상의 우주론의 체계는 크게 우주의 생성과 구조를 다룬다. 대순사상의 우주생성론은 구천상제의 대순을 기반으로 한 창조론에 가깝다. 그리고 우주는 삼계라는 구조를 지닌다. 천·지·인의 삼계(三界)는 천지가 인간을 낳아 쓰고자 하는 데서 유래한다. 따라서 인간은 무심코 이 우주에 던져진 존재가 아니라 천지의 기획에 의해 의도적으로 출현한 존재이다. 이것이 바로 대순사상에서 인간의 본질을 이해하는 시작점이 된다. 그러나 인류의 교만은 삼계의 혼란을 불러와 결국 우주적 진멸상태에 봉착한다. 삼계의 역사(役事)를 위해 탄생한 인류는 그 목적을 이루지 못한 채 좌절하게 되지만 구천상제의 대순에 의해 삼계의 질서가 회복되고 인존시대가 도래해 다시 우주적 존재로서의 역할을 다하게 된다. 우주가 탄생하고 변화하는 그 근원에는 대순이라는 궁극적 실재의 역사가 자리한다. 그리고 그 대순이라는 우주적 가치가 인간에게 내재되니 그것이 바로 인존(人尊)으로 드러나게 된다. 인간은 인존이라는 현실태를 지닌 가능태로 거듭나게 되며, 이것이 대순사상에서 말하는 인간의 본질이라 할 수 있겠다. It has been suggested in various studies of religious thoughts that the source of the universe must be explored first in order to discover the human nature. This is the same for defining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a cosmological approach is the first step. Cosmology is in the category of metaphysics in philosophy. The main way to study cosmology is to see how the universe was originated and become into this structure. Of course the current scientific cosmology do not deal with metaphysical views. However, we need a religious view to understand the source of the universe, which goes beyond the rules of physics. Cosmology of Daesoon thought in large deals with the birth and evolution and structure of the universe. Cosmogony of Daesoon thought is close to creation doctrine based on the Reordering Works of the Universe by Gucheon Sangje(Supreme God) through His Daesoon(Great Itineration of Three Realms). Here, the universe is made of Three Realms: Heaven, Earth, and Humanity. In Daesoon thought, this three-world structure of the universe had been formed to give birth to humanity and use them for heavenly purpose. Therefore, human beings were not just thrown to the universe but they were intentionally born according to the plan of heaven and earth. This is the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However, the arrogance of humanity brought chaos in Three Realms and in the end made the world fall on the verge of universal annihilation. Then humanity, who were originally born for fulfilling the great universal purpose, became frustrated as they became unable to achieve it. At this time of crisis, Gucheon Sangje made Daesoon around the Three Realms to restore order, open the era of Human Nobility, and let human beings to play their roles for their existence. Under the phenomenon of birth and evolution of the universe is the universal work called Daesoon which became the principle of ultimate reality. Also, the universal value of Daesoon is given to humanity, who will then manifest the value by enhancing themselves to the state of Human Nobility. Through the Daesoon of Gucheon Sangje, human beings are reborn into the potentiality that contains actuality of Human Nobility. I would say this is the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 15-16세기 관요 백자 제작 양상의 변화와 그 배경 -광주 대쌍령리 2호 요지를 중심으로-

        김귀한 ( Kwi Han Kim ) 단국사학회 2013 史學志 Vol.47 No.-

        일반적으로 15-16세기 관요 백자는 양질백자인 갑번백자(匣燔白磁)와 조질백자인 상번백자(常燔白磁)로 구분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가마의 성격도 갑번요(匣燔窯)와 상번요(常燔窯)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최근 발굴조사가 진행된 광주 대쌍령리 2호 가마를 예번백자(例燔白磁)를 전문적으로 번조한 예번요(例燔窯)로 추정하고, 예번백자의 제작이 증대되고 예번요가 운영되는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광주 대쌍령리 2호 요지에서 출토된 유물의 현황을 검토한 결과, 대쌍령리 2호 가마가 예번요임을 밝힐 수 있었다. 그리고 이 가마의 운영 시기가 16세기 후반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이 시기에 예번백자를 전문적으로 번조하는 예번요가 운영되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둘째, 적어도 광주 번천리 5호 요지가 운영된 1554년을 전후로 하여 양질백자인 갑번백자와 조질백자인 상번백자의 이원적(二元的) 백자 공급 체계에서 벗어나 양질백자가 갑번백자와 예번백자로 공급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는 예번백자가 갑번백자의 대체품으로서 제작 수량이 증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양질백자를 제작하는 번조방법으로서의 예번은 갑번에 비해 번조 효율성이 낮지만, 갑번에 필요한 인력·경비·시간이 충분히 제공되지 못할 경우 차선책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예번백자의 제작 수량이 증가하고, 예번요가 축조되는 것을 당시 관요의 운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the production patterns of royal kiln porcelain in the 15th and 16th century are divided into saggar-firing kilns producing saggar-firing porcelain and stack-firing kilns producing stack-firing porcelain.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white porcelain kiln site No.2 in Daessangnyeong-ri, Gwangju-si,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was a one by one-firing kiln which professionally produced one by one-firing porcelain,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time of one by one-firing porcelain and the background behind the emergence of one by one-firing kilns. As a result, the study confirmed a couple of facts as follows: First, the study reviewed the artifacts excavated in white porcelain kiln site No.2 in Daessangnyeong-ri, Gwangju-si and confirmed that the kiln site used to be a one by one-firing kiln that could not defined as a saggar-firing or stack-firing one. Based on the estimation that the kiln was in opera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16th century, the study also judged that it was during the period when users ran one by one-firing kilns that professionally produced one by one-firing porcelain. Secondly, the excavation results of royal kilns so far indicate that they grew out of the old dual porcelain supply system, which included saggar-firing porcelain of high quality and stack-firing porcelain of low quality, by the mid-16th century at the latest and produced saggar- and one by one-firing porcelain as high quality porcelain. Those findings suggest that one by one-firing porcelain increased in production as an alternative to saggar-firing porcelain. Finally, there are two methods to make high quality porcelain, namely the saggar- and one by one-firing method. It was understood that the one by one-firing method was lower in efficiency than the saggar-firing method and practiced as the second best policy when there was not enough supply of manpower, expenses, and time required to make saggar-firing porcelain.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estimated that the increasing production of one by one-firing porcelain in the mid-16th century and the emergence of one by one-firing kilns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were closely related to the operational state of royal kilns those days.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관요 백자 명문의 성격–‘天·地·玄·黃’銘을 중심으로–

        김귀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82 No.-

        This thesis h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eon(天)·Ji(地)·Hyeon(玄)·Hwang(黃) inscriptions on the white porcelain which was produced in the royal kiln from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royal kilns till the 1560s, which set forth two preconditions by using different methods from existing research to infer the function of the inscriptions through the process of answering these preconditions. First, this thesis is about the system of inscription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天·地·玄·黃 inscriptions were disappeared around 1560s and Left(左)·Right(右) inscriptions began to be used instead. I assure that the 天·地·玄·黃and 左·右were different inscriptions from each other. Second, this thesis also examines at which stage were the 天·地·玄·黃inscriptions used in the process of the production, inventory, receipt of delivery and distribution of the white porcelai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天·地·玄·黃inscriptions and dot carved 天·地·玄·黃 inscriptions, it has been proven that the 天·地·玄·黃inscriptions were used in the processes of receipt of delivery and distribution of the white porcelain. With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the preconditions and analysis of the inscriptions on the white porcelain which were tributed to the royal court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royal kilns, the 天·地·玄·黃inscriptions were also marked to indicate specific storage place of the white porcelain. At Saongwon, they used these simple 天·地·玄·黃inscriptions through the entire process from production, inventory, receipt of delivery to distribution of the white porcelain to unify all of the various steps in the process. 본고에서는 1467년경 관요가 설치된 이후부터 1560년대까지 관요 백자에 표기되는‘天·地·玄·黃’銘의 성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天·地·玄·黃’銘의 성격을 검토하기 위한 두 가지 전제 조건(①‘天·地·玄·黃’銘과‘左·右’銘의 관계, ②‘天·地·玄·黃’銘의 사용 단계)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면서 명문의 의미를 추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1560년대‘天·地·玄·黃’銘이 소멸되고‘左·右’銘이 표기되는 것에 주목하여 두 명문의 체계에 대해 비교 분석한 결과 이들은 서로 다른 성격의 명문임이 밝혀졌다. 즉, 전자는 백자의 수납·출납 단계에서, 후자는 백자의 제작 단계에서 활용된 구분 기호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유면음각과點刻으로새겨진‘天·地·玄·黃’銘을분석하여명문의사용단계를검토한결과,‘ 天·地·玄·黃’銘은 백자의 수납·출납 단계에서 사용되었던 명문으로 추정되었다. 이는‘天·地·玄·黃’銘과‘左·右’銘의 명문 체계를 분석한 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전제 조건에 대한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관요가 설치되기 이전 貢納磁器에 새겨지는 명문의 성격을 분석하여‘天·地·玄·黃’銘이 司饔院의 倉庫名을 의미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司饔院은 천자문 자호라는 간단한 명문을 통해 백자의 제작·수납·출납을 일원적으로 관리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