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 개발

        길혜지(Hyeji Kil),박지민(Jimin Park)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3 핵심역량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중등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하위요인을 디지털 에티켓, 디지털 권리와 책임,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 안전과 웰빙,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온라인 정치 및 사회참여로 설정하였다. 예비문항 초안에 대해 중·고등학교 교사 11명에게 내용타당도를 검토받았고, 문항 선정을 위해 C도에 소재한 사범대학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구인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151명). 41개 예비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8개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구성된 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시민성을 구성하는 6가지 하위요인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측정문항에 대한 적절성 검토 결과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변량분산분석을 통해 예비교사의 학년, 전공계열에 따라 디지털 시민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전공계열에서 디지털 시민성의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중등 예비교사가 자신의 디지털 시민성을 성찰하여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경험으로 이어지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로서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digit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based on literature review, 6 sub-factors were set as digital etiquett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privacy and security, safety and well-being, media information literacy, and political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content validity of the 41 draft items was reviewed by 11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select the 28 final items by 151-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on 6 sub-factors of digital citizenship, it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valid and to hav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addition,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6 sub-factors of digital citizenship by the grade and major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major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proposed to use it as a measurement tool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o reflect on their digital citizenship.

      • KCI등재

        학생평가 정보 제공에 대한 중학교 교원과 학부모의 요구도 분석

        최원석(Won Seok Choi),길혜지(Hyeji Kil)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3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7 No.3

        교원과 학부모는 학생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협력하는 관계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학생의 성장 현황과 개선 방향에 대한 유용한 정보는 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평가를 통해 생성되기 때문에, 교원과 학부모 모두 평가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이 연구는 중학교가 학생평가와 관련하여 어떠한 정보를 학부모에게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해 교원과 학부모가 어느 정도의 요구를 갖고 있는지를 비교한 것이다. 학생평가와 관련된 정보의 중요성과 현재 제공되고 있는 실행 정도에 대해 학부모의 인식이 교원과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함으로써, 향후 학교가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평가와 관련하여 생성되는 정보를 ‘교과목별 학생의 강·약점’과 ‘정의적 성취수준’, ‘교과목 성취수준’과 ‘수행평가 기준’, ‘과거 대비 개선 정도’, ‘핵심역량’, ‘성취수준 향상 방법’, ‘과제 수행에 대한 해설 및 교정’의 8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우리나라 K도 소속 중학교 교원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8개 영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Borich 계수를 신출하고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교원과 학부모의 요구도를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과목별 학생의 강·약점’과 ‘정의적 성취수준’에 대해서는 교원과 학부모 모두 높은 요구도를 나타내었고, 둘째, ‘교과목 성취수준’과 ‘수행평가 기준’에 대해서는 교원과 학부모 모두 낮은 요구도를 보였다. 셋째, ‘과거 대비 개선 정도’, ‘핵심역량’, ‘성취수준 향상 방법’, ‘과제 수행에 대한 해설 및 교정’에 대해서는 교원과 학부모의 요구도에 상대적으로 큰 차이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차이가 향후 학교의 학생 평가 관련 정보의 활용에 시사하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eachers and parents collaborate to support student growth, and that requires good communication. Student assessments are of great interest to both teachers and parents because they are a source of valuable information about how students are growing and how they can improve. In this context,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egree to which teachers and parents demand what information middle schools should provide to parents in relation to student evaluation. By the comparision, we hope to gain insights on what schools need to improve for communication with parents in the future. This study developed 8 categories of information generated from student evaluation, which cosists of 'student strengths and weaknesses by subject', 'psychological achievement level', 'academic achievement level' and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degree of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ast', 'core competency', 'how to improve the level of achievement', and 'explanation and correction of task performance'. A survey on middle school teachers and parents belonging to K-province in Korea was administrated on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level of the 8 areas and a Borich coefficient was developed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was performed. As results, teachers and parents showed the highest demand for 'strengths and weaknesses of students by subject' and the lowest demand for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While teachers showed relatively higher demand for 'psychological achievement level' and 'degree of improvement compared to the past', parents have higher demand on 'explanation and correction of task performance' and 'how to improve the level of achievement'. The meaning of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한 개방적 학교풍토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 부산 다행복학교를 중심으로

        엄문영(Eom, Moonyoung),길혜지(Kil, Hyeji),이재열(Lee, Jaeyeol),황정훈(Hwang, Junghun),서재영(Seo, Jae Y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5

        본 연구에서는 탐색 설계라는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개방적 학교풍토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및 구성원 면담을 통해 이론적 모형을 도출하고, 부산교육종단연구 제4차연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를 확증하였다. 그 걸과 개방적 학교풍토의 형성 요인으로 ①학교장의 리더십, ②민주적인 교육활동/학교운영, ③자발적 모임을 기반으로 협력하는 교사, ④열의가 있고 교직에 만족하는 교사 등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부산시교육청 및 부산시 중등학교들의 관련 구성원들은 학교풍토를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첫째, 학교장 리더십을 제고하기 위한 교장 자격 과정, 자격 이후 연수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활동과 학교운영에 민주적 의사결정 체제를 규칙과 제반 제도로서 명확히 확립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비롯한 자발적 교사모임을 다양하게 지원하고 격려하며 보장해주어야 한다. 넷째, 학교장과 교사가 모두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긍정적 교직관과 열의를 장려하는 풍토를 조성해야한다. 다섯째, 학교풍토를 측정하는 설문 문항을 보다 다양하게 구성하여 확장하고, 유사한 설문 문항을 학생들을 통해 응답하게 하여 학교풍토가 교사뿐만 아닌, 학생들에 의해서도 측정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질적 연구 결과 인정된 다행복학교의 개방적 학교풍토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추후 부산교육종단연구 조사 설계에서 다행복학교 샘플 추가 또는 학교풍토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장기적 시각에서 계속적으로 관찰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factors influence the open school climate with an exploratory mixed methods approach. A theoretical framework was deriv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FGI, and verified by using data from the 4th year of the BELS. As a result, as factors for an open school climate are ①leadership of the principal, ②democratic educational activities/school management, ③teachers who cooperate voluntarily, ④teachers who are enthusiastic and satisfied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Research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incipal qualification course and post-qualification training program to enhance the principal"s leadership. Second, it is needed to clearly establish a democratic decision-making system as rules for school manage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a variety of voluntary teacher meetings. Fourth,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a school climate that encourages teachers" positive teaching intuition and enthusiasm. Fifth, the questionnaire that measures the school climate should be expanded in a variety of ways, and the school climate should be investigated not only for teachers but also for students.

      • KCI등재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김유미(Yumi Kim),길혜지(Hyeji K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여고생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C도에 소재한 카톨릭계열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척도(MLQ), 자기자비척도(K-SCS)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자비가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지 Processmarco를 활용하여 분석한 후, 이러한 결과에 있어 종교 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자기자비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자기자비는 의미추구보다는 의미발견과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자비는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교가 있는 경우 두 변인 간 관계에 있어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반면 종교가 없는 경우 자기자비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여고생이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자기자비가 높으며, 자기자비의 수용적인 태도는 의미발견을 촉진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종교 유무에 따라 종교가 없는 경우에만 자기자비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난 것은 삶의 의미발견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긴장과 고통을 완화하고 긍정적인 자기개념과 정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자기자비의 역할이 종교가 없는 경우 더욱 크게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자비 증진을 통하여 삶의 의미발견을 도울 수 있는 교육적 방향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of high school girl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Meaning of Life Scale (MLQ) and Self-Compassion Scale (K-SCS) for 235 girls'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province C.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major variables, and Process-marco was used to analyze whether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the Presence of Meaning, and self-compassion, and self-compassion showed a higher correlation with the Presence of Meaning than the Search for Meaning. Self-compass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life in high school girls' lives. Third, in the presence of relig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not significant, whereas in the absence of religion, self-compassion was partially mediated, showing a differenc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tendency of high school girls to pursue the meaning of life, the higher their self-compassion, and the receptive attitude of self-compassion can act as a factor that promotes the Presence of Meaning. Also,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found only in the absence of religion according to religious beliefs. The role of self-compassion in helping people maintain positive self-concepts and emotions and relieve tension and pain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seems to be more effective in the absence of religion.

      • KCI등재
      • KCI등재

        대학교수 교육역량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민혜리(Hyeree, Min),길혜지(Hyeji, Kil),윤지영(Jiyoung Yoon)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0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수의 교육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S대학교 우수강의자 인터뷰 분석,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교육역량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측정영역 및 하위요소를 구성한 후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구인타당도 검증과 신뢰도 분석, Rasch 모형을 적용한 문항특성 분석 등을 통해 기초소양 21개, 교수역량 44개로 구성된 교육역량 진단도구를 최종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대학교수의 교육역량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대학본부 차원에서는 진단결과를 기초로 하여 교육역량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 등을 통해 대학교육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n tool for assessing the educational competencies of the professor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 analysis of an interview with an excellent lecturer at S University, and a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to define the educational competencies, measurement domain, and to developed draft items. Next, a pilot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construct validity, reliability, item difficulty and fitness by rating scale model. In result, assessment tool for educational competencies consisting of 21 basic literacy and 44 teaching competencies was finally developed.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enhanc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by diagnosing professors’ educational competencies and support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using this tool practically.

      • KCI등재

        프로파일 분석에 기반한 초등교사 경력별 수업전문성 연구

        이옥화(Lee Okhwa),길혜지(Kil Hye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6단계 경력(0-4년, 5-9년, 10-14년, 15-19년, 20-24년, 25년 이상)에 따라 수업전문성이 어떻게 다른지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업관찰 전문가들이 2017년부터 2019년 4월까지 ICALT 수업관찰 도구를 활용하여 직접 관찰한 수업 283건을 다차원척도법을 사용한 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AMS 분석결과, 초등교사의 대표적 프로파일은 2개 차원에서 ‘수업관리형’과 ‘학생맞춤형’으로 나타났으며 개인모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학생맞춤형’에 대한 유사성지수와 학생참여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수업관리형’에 대한 유사성지수와 학생참여 간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경력별로 수업전문성에 관한 프로파일을 추출한 결과 경력별로 다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통계 분석결과, 다른 경력집단들에 비해 10-14년과 20-24년 경력교사 집단의 전문성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반면 25년 이상 경력교사 집단은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전문성을 요구하는 영역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수업전문성을 다룬 선행연구들과 달리, 20-24년 경력교사들이 수업전문성에 한해서는 그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높은 난이도가 요구되는 영역에서의 수업전문성이 높을 때 학생참여 또한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skill development differs according to six levels of career (0-4, 5-9, 10-14, 15-19, 20-24, 25 years and above) by using PAMS(Profile Analysis via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This study analyzed 283 lessons of 283 primary school teachers that were observed by classroom observation experts using the ICALT class observation tool from 2017 to April 2019.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AMS, the representative profi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two: class management type and student-centered type ,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dividual paramet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imilarity index for student-centered type and student participation,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milarity index for class management-type and student participat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profiles of teaching skills by carrer showed different patterns individually. The level of teaching skills in the group of 10-14 teaching career years and that of 20-24 years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in other career groups. Teachers with more than 25 years of experience had a high level of expertise while the teaching performance level for lower domain was low. This study showed that the group of 20-24 career years could have the highest teaching skills while most previous studies did not and higher level of teaching domain drove higher students’ participation.

      • KCI등재

        중학생의 컴퓨터ㆍ정보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ICILS 2018을 중심으로

        박지민 ( Park Jimin ),길혜지 ( Kil Hyej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학생의 컴퓨터·정보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 성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ICT 활용, ICT 과업 수행, ICT 자기효능감 그리고 컴퓨터·정보 소양 간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였고, 국제 컴퓨터·정보 소양 연구(ICILS) 2018 한국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 2,872명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에서의 ICT 활용(학업 목적, 의사소통 목적, 여가 목적), 학교 수업에서의 ICT 과업 수행, ICT 자기효능감이 컴퓨터·정보 소양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ICT 자기효능감이 컴퓨터·정보 소양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상생활에서 ICT 활용과 학교 수업에서의 ICT 과업 수행이 ICT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컴퓨터·정보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의 경로계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Z점수를 통해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직접 및 간접효과의 경로계수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컴퓨터·정보 소양을 제고하기 위하여 이들의 ICT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ICT와 관련된 과제에서 성공적인 경험을 갖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CIL)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se relationships. To this end, A structural model among ICT utilization, ICT task performance in school classes, ICT self-efficacy, and CIL was established, and 2,872 middle school students in Korea were analyzed from the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2018(ICILS 2018).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pathways among ICT utilization in the daily life, ICT task performances in school classes, ICT self-efficacy, CI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the impact of ICT self-efficacy was the greatest relative influence on CIL. Second, the indirect effects of ICT utilization in the daily life, ICT task performances in school classes mediating ICT self-efficacy on CIL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rd, when comparing by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at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education to increase ICT self-efficacy is necessary, and in particular, successful experiences in ICT related tasks is important.

      • KCI등재
      • KCI등재

        사회통합전형 맞춤형 프로그램의 학교적응, 학업성취, 사회통합의식 효과분석

        이재덕(Jae-Duck, Lee),장희선(Heesun Chang),길혜지(Hyeji, Kil)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3

        이 연구에서는 사회통합전형 맞춤형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회통합전형학생과 일반학생의 학교적응, 학업성취, 사회통합의식에서 나타난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사회통합전형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국제고, 외고, 서울지역 및 서울 이외지역 자사고 가운데 총 44개 학교를 표집으로 선정하고,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최종분석 자료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사회통합전형학생 341명, 일반학생 177명의 총 518개 자료였다. 분석은 대응표본 t 검정, 반복측정변량분석, 혼합 공변량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학교적응’과 ‘학업성취’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학업성취’와 ‘사회통합의식’ 영역에서는 사회통합전형 학생과 일반학생의 집단 간 효과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배경변인별 효과를 살펴보면, 학교유형에 따른 학교적응, 학업성취 효과는 국제고에서 가장 높았고, 사회통합의식은 외고에서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 참여기간에 따른 학업성취는 1~2개월 참여할 때 높은 효과를 보였다. 지역별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 효과는 대도시 지역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참여한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효과는 학교적응 유형맞춤형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모두 높은 학교적응 효과를 보인 반면, 학업성취, 사회통합의식 관련 프로그램 유형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통합전형 대상자 맞춤형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있어 사회통합전형 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적합한 내용구성과 배경변인(학생집단구성, 학교유형, 참여기간, 지역, 프로그램 유형)을 고려한 효과적 적용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school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integration awareness between students through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and general students. For this study, we selected 44 samples among foreign language and international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in Seoul and other regions of South Korea. We conducted pre- and post-tests with 518 students. 341 social integration admission students and 177 gener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integration support programs. We analyzed the data with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ment variable analysis and co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students showed improvement in the level of ‘school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re was an effec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integration awareness’ level between two of the student group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of program effects according to school types in all aspects of school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integration awareness. School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the highest in international high schools and social integration awareness consciousness was the highest in foreign language high schools. All students showed high effect when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one or two months. According to region, school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higher in metropolitan area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integration awareness. As for the effect of program type, al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integration support program for school adaptation, showed a high school adaptation level. This study focused on an effective program application method that considered proper composition and background variables of the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