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전공 학부생에게 요구되는 졸업생 역량에 대한 델파이조사 연구

        조항(Jo, Hang),금창민(Keum, Chang-Mi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2 교육치료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전공 학부 졸업생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는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담전공 대학교수패널 7인, 상담현장전문가패널 7인, 상담학부졸업생패널 7인 등 총 21명의 전문가패널을 모집하고 세 차례의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상담전공 학부 졸업생에게 요구되는 3개의 역량군 및 24가지의 역량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상담역량군의 하위요소는 상담이론, 상담기술, 심리평가, 내담자이해 및 사례개념화, 상담윤리, 위기개입역량, 프로그램기획 및 운영이며, 두 번째 직업기초역량군의 하위요소들은 비판적사고, 창의성, 의사소통역량, 문제해결역량, 대인관계역량, 자기관리역량, 자원정보기술의 활용 등이며, 세 번째 인성 및 태도군에는 책임감, 자기존중감, 자기성찰, 타인배려 및 공감, 개방성, 일치성/진정성, 공정성, 공동체의식, 도전의식 등이 포함되었다. 각 도출된 역량요소들의 대표성, 중요성 점수를 중심으로 상담자교육, 특히 상담학부 교육과정으로의 적용 및 개선점에 대한 시사점 및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학부수준에서 요구되는 역량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상담학부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competency factors are required of undergraduate counseling graduates. For this purpose, we recruited a total of 21 expert panels including 7 professors in counseling major, 7 practitioners in counseling field, and 7 undergraduate counseling graduates. Three competency groups and 24 competency sub-factors were derived using three-times Delphi surveys. The first competency group is the counseling competency group including counseling theory, counseling skills, psychological evaluation, client understanding and case conceptualization, counseling ethics, crisis intervention, program planning and operation, and the second group, named the basic job competency, involves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management, utilization of resource, information, and technology. Lastly, the personality and attitude group includes responsibility, self-esteem, self-reflection, consideration and empathy for others, openness, unity/authenticity, fairness, sense of community, and a sense of challenge. Based on the representativeness and importance scores of each derived competency factors, we discussed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counselor education, especially regarding the application to the curriculum for undergraduate counseling progra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ounseling department's curriculum by deriving the competency factors required undergraduate students in counseling.

      • KCI등재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및 메타분석

        정여원(Jeong Yeowon),금창민(Keum Cha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 변인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메타분석으로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연구동향은 1993년부터 2020년까지 이루어진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52편 중 효과크기의 분석이 가능한 42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동향은 연도별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 변인의 게재현황은 2000년 이전 2편이었으며 2000년에서 2009년 사이에 19편이던 것이 2010년에서 2019년에는 31편으로 그 수가 꾸준히 증가하였다. 메타분석은 대학생 이성커플의 갈등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무선효과모형을 적용한 결과 전체 상관관계 효과크기는 .0549(p<.001)로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였다. 결론 범주별로 긍정 원가족 역동 .15(p<.001), 부정 원가족 역동 -.11(p<.001), 긍정 정서 .22(p<.001), 부정 인지형성 .14(p<.01), 긍정 대인관계 .1(p<.001) 변인이 이성커플 갈등해결 변인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모두 작은 효과크기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related to the conflict of opposite romantic couples in domestic colleg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 size of the conflict-related variables through meta-analysis Methods For research trends, a total of 52 domestic master 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 dissertations conducted from 1993 to 2020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publication status by year and source, research content trends, and research method trends. Among them, 42 pieces that can analyze the effect size were selected a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First of all, the number of papers on conflict in the opposite romantic couple of college students by year was published in 2 papers before 2000, and then has steadily increased from 19 between 2000 and 2009 to 31 between 2010 and 2019. Second,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onflict in the opposite romantic couple were found to be personal psychological, cognition, emotion, original famil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ception. Thir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wireless effect model to find out the effect size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flict in the opposite romantic couple between college students, the overall correlation effect size was .0549 (p<.001), showing a small effect size,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By category, positive original family .15 (p<.001), negative original family -.11 (p<.001), positive sentiment emotion .22 (p<.001), negative perception .14 (p<.01),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 perception .1 (p<.001) variable wa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opposite romantic conflict variable, but all showed only a small effect size.

      • KCI등재

        한국인의 소득수준과 자기 삶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혜은(Hyeeun Lee),금창민(Changmin Ke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chanisms linking income and happiness, focusing on how Korean individuals' self-evaluation of their lives and stress levels influence this relationship among various other variables. Methods To this end, we used the 2022 data from the National Assembly Future Research Institute's ‘Korean Happiness Survey’ to determine how stress regulates the impact of income level and life evaluation on happiness, and 12,998 people were surveyed, excluding those without personal income.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was verified using the responses. Results As a result, first, the suitability of the measurement model was verified, and all direct effects between latent variab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s' income level and overall happiness, we confirmed through a conditional indirect effect test whether the indirect effect of life evaluation is moderated by stress. As a result,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regardless of the stress level. Conclusion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describ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made. 목적 본 연구는 돈과 행복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 중에서 한국인의 자기 삶에 대한 평가와 스트레스 변인을 중심으로 소득과 행복 간의 관계 사이의 메커니즘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국회 미래연구원의 ‘한국인의 행복 조사’ 데이터 중 2022년 자료를 활용하여 소득수준과 삶에 대한 평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스트레스가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개인소득이 없는 대상을 제외한 12,998명의 응답을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모형 검증하였다. 결과 그 결과, 첫째, 측정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고, 잠재 변인 간 직접 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인의 소득수준과 전반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삶에 대한 평가의 간접효과가 스트레스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조건부 간접효과 검정을 통해 확인하였고, 그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관계 없이 조건부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기술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노출 유형에 따른 회복과 적응을 위한 요인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김동일(Dongil Kim),이혜은(Hyeeun Lee),금창민(Changmin Keum),박알뜨리(Altteuri Park),오지원(Jiwon Oh) 한국교육심리학회 2018 敎育心理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자료 중 3차 년도(2012년)에 학교폭력 가해 경험과 피해 경험을 보고한 초등학교 6학년 1,137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교폭력노출 청소년 유형(가해, 피해, 중복) 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 6(2012), 중2(2014), 고1(2016)의 세 시점에서의 학교폭력노출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자기회귀계수를 측정한 결과, 학교폭력노출의 모든 유형에서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에 정적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이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사회적지지에 대한 지각을 매우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교차지연효과의 경우, 이전 시점의 사회적지지가 다음 시점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은 피해 경험의 경우에만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가해 집단과 중복 경험 집단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특히, 세 번째 연구 결과로, 회복탄력성에서 사회적지지로의 반대 경로에서는 가해 경험과 피해경험의 경우에 이전 시점의 회복탄력성이 다음 시점의 사회적지지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의 보호요인이라는 그동안의 횡단적 연구 결과를 종단적인 관점으로 보완하여, 학교폭력 가해 집단과 피해 집단에서 회복탄력성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오히려 사회적지지에 대해 낮게 지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해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의 종단적 관계와 본 연구의 한계를 논하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school violence exposure types including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and dual experience. The study used data obtained from the third year (2012)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1,137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6 who reported experiencing school violence. The results of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self-regression coefficien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the youth exposed to school violence at 3 time points (2012, 2014, and 2016), it was found for all types of violence that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t the previous time point showed a signig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ame variable at the next time point. Second, in the case of the cross-lagged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effect of previous social support on resilience at the next time poi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victimization group, but not for the bullying or dual experience groups. Third, considering the opposite path from resilience to social support, resilience at the previous time poi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ocial support at the next time point for both the bullying and victimization groups. This result is new and can be complementary to the cross-sectional studies so far using a longitudinal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ullying and victimized students who are relatively more resilient are less likely to perceive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are not resilient. Finally, we discus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이은실 ( Eunsil Lee ),정주연 ( Juyeon Jeong ),금창민 ( Changmin Keu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전국 지자체에 근무하는 사회복지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189부의 응답자료 중 184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Model 4.0을 활용했으며, bootstrap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마음챙김, 소진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마음챙김에 부적 영향을, 그리고 소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음챙김은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마음챙김을 매개하여 소진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스트스레스로 인해 소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정적 영향을 줄이는 데에 마음챙김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공무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마음챙김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job stress on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 survey was conducted on social welfare officials working in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and data from 184 copies out of 189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SPSS PROCESS Macro Model 4.0 was used for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checked using bootstrap.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mindfulness, and burnout. The job str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mindfulness and a positive effect on burnout. Also, it was found that mindfulness had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job stress on burnout by mediating mindfulness was verified. Finally, it was mentioned that burnout can occur due to job str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that mindfulness can help reduce these negative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supporting a mindfulness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social welfare officials was discussed.

      • KCI등재

        고등교육기관 다양성 지표 개발 연구

        김동일(Dongil Kim),안예지(Yeji An),금창민(Changmin Keum),임희진(Heejin Im),곽다은(Daeun Kwa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2

        Diversity is an important value in the knowledge-based and globalized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diversity indicator to contribute to the acceptance and enhancement of 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In this study, a diversity framework and its indicator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garding university and diversity related indicators. The indicator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and three rounds of focus group interview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indicator, which consists of 14 evaluation areas and 34 specific indicators, was finalized. Indicators are both descriptive and normative in a way that they objectify and quantify the social phenomenon, and also show changes in them. This diversity indicator will offer an abundancy of valuable information that will be needed to maintain education quality and help set university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a time of change. 본 연구는 21세기 지식기반 글로벌 사회에서 교육의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는 장애, 성, 문화 등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성 지표를 개발하여 기관의 다양성 수용 및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표의 틀과 문항을 구성하였고, 두 차례에 걸친 델파이 설문조사와 3차례에 걸친 집단심층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지표를 수정 및 보완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해 총 14개의 평가영역과 34개의 세부지표로 구성된 다양성 지표가 확정되었다. 지표는 현상을 객관적인 수치로 나타내는 기술적 성격과 변화를 나타내는 규범적 성격을 모두 갖추고 있는 도구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양성 지표가 대학 교육의 질을 유지하는 것뿐만 아니라 새로운 대학의 역할이 요구되는 시대적 변화의 흐림 속에 대학의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