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明代 前七子의 法古와 創新의 문제

        權津鈺(Kwon Jin-ok) 중국어문학연구회 2011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68

        This paper aims to consider argument of the following old thing(法古) and the making new thing(創新) that happened in the Ming(明) dynasty’s the former seven masters(前七子). Writer to study is Lee, mong-yang(李夢陽, 1472~1529) and Ha, kyung-myung(何景明, 148 3~1521) that is typical person. The problem of the following old thing(法古) that Lee, mong-yang(李夢陽) and Ha, kyung-myung(何景明) think is intelligible. The target of the following old thing(法古) that Lee, mong-yang(李夢陽) thinks is underlying rule like ruler, is not following old mean(古意), old form(古形), old word(古辭). The ruler is rule of composition method such as heupbyeok (翕闢), donjwa(頓挫), cheokchon(尺寸), somil(疏密), hwalse(闊細), silheo(實虛). Moreover, is seeking an ideal style such as yudam(柔澹), hamchuk(含蓄), jeonhu(典厚), gogo(高古), wanliang(宛亮), chimchak(沈著). The target of the following old thing(法古) that Ha, kyung-myung(何景明) thinks is not immanent rule like ruler that Lee, mong-yang(李夢陽) suggests, external rule such as writing force and novel expression. The making new thing(創新)’s argument is different according to viewpoint which evaluate the value. If the making new thing(創新) that Ha, kyung-myung(何景明) insists is thing which creates a style of his own through the following old thing(法古), Lee, mong-yang(李夢陽) emphasizes the making new thing(創新) that complete naturally through the following old thing(法古)’s observance. Ha, kyung-myung(何景明) clears the making new thing(創新)’s method as philosophy of evacuation, and Lee, mong-yang(李夢陽) premises that do not obess over the making new thing(創新). Through method to keep the rule without being caved, Lee, mong-yang(李夢陽) emphasizes the making new thing(創新) that the expression changes in a person naturally even if do not search conspicuousness. Moreover, when writer creates poetry and prose, Lee, mong-yang(李夢陽) asserts the making new thing(創新) that describes the present matter by own emotion, he presents the following old thing(法古) that do not steal the expression with old rule.

      • KCI등재

        지정(止亭) 남곤(南袞)의 한문 산문 소고(小考) - 산재(散在)된 현전 작품들을 중심으로 -

        권진옥 ( Kwon Jin-ok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1 No.-

        This thesis is a study of prose works by Jijeong(止亭) Nam, gon(南袞, 1471-1527). The works studied in this paper are Haejuhyanggyojungsugi(海州鄕校重修記) and Yubaeksajeonggi(遊白沙汀記). The former work is a record of public buildings that described the repair of Confucian school, and the latter work is a travelogue of Baeksajeong(白沙汀) in Hwanghaedo(黃海道). This is the result of considering the evaluations of Yu, manju(兪晩柱) and Song, in(宋寅).` Haejuhyanggyojungsugi(海州鄕校重修記)'purpose is clear because it is a document posted on a public building called Confucian school. Since the main reader class is Confucian scholars, it is to persuade and induce these people to give more effort for learning and writing. He spreads and persuades the logic of the emergence of talented people and the nature of classical scholars, and also conveys his viewpoint of learning and literature and requests future talented people.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Yu, manju(兪晩柱)'s evaluation, Confucian scholars are naturally persuaded by weaving various meanings and arguments. Yubaeksajeonggi(遊白沙汀記) is a work that, unlike general sansuyugi(山水遊記), focuses considerably on discussion rather than article and description. However, the content of discussion is multilayered and complex. If the reality is correct, the name and the work will naturally be left to posterity, so we should pursue only the reality, not the name and the work. However, in order to request future readers to live a life that pursues reality, ironically, it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work. In the end, he found a kind of compromise in pursuit of 'the reality' of the ideal human being by leaving 'the work' called sansuyugi(山水遊記).

      • KCI등재

        망자를 위한 글쓰기의 장르 간 특성 연구 -겸재(謙齋) 조태억(趙泰億)을 중심으로-

        권진옥 ( Kwon Jin-ok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5 No.-

        이 논문은 겸재(謙齋) 조태억(趙泰億, 1675-1728)이 망자(亡者)를 위해 지은 다양한 글쓰기를 대상으로 각 장르 간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전통 시대에는 망자를 애도하고 추억하기 위해 다양한 장르의 문학 작품을 창작하였는데, 주목할 점은 한 명의 망자를 위해 글을 짓는 작자는 하나의 장르에 국한하여 망자를 애도하거나 추억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문학 작품을 창작하기도 했다는 점이다. 그래서 이 논문은 조태억 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망자를 위한 글쓰기 장르를 고찰하되, 동일한 망자를 위해 창작한 2개 이상의 장르에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조태억이 동일한 망자를 위해 지은 작품들은 만시(挽詩)-제문(祭文), 만시-시장(諡狀), 만시-묘갈명(墓碣銘), 제문-치제문(致祭文), 묘지명(墓誌銘)-묘표(墓表) 등의 형태로 한 묶음을 이루고 있으며, 가장 많은 사례는 만시-제문 형태이다. 특히 만시-제문 형태의 경우에 만시를 연작시(連作詩)로 창작한 것이 절반을 넘었다. 3장과 4장에서는 각각 만시와 제문, 만시와 묘도문자를 대비하여 정서와 표현의 측면과 인물 형상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정서와 표현의 측면에서 강준부(姜浚溥, 1668-1697)를 대상으로 한 만시와 제문을 비교하였는데, 만시에서는 회화처럼 담박하게 묘사하거나 함축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애도의 정서를 에둘러 드러내는 것에 비해서 제문에서는 애도의 정서를 전편에 걸쳐서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조태억의 스승인 최석정(崔錫鼎, 1646-1715)을 대상으로 한 만시와 제문에서도 함축적인 언사와 내용을 통해 에둘러 드러내고 담박하게 묘사하고 있는 만시에 비해서 제문은 구체적이면서 비유를 통해 핍진하게 표현하였다. 4장에서는 인물의 형상화 측면에서 조주석(趙錫周, 1641-1716)을 대상으로 한 만시와 묘갈명을 살펴보았다. 만시에서는 망자에 대한 정서와 뜻을 응축하고 담담하게 드러내어 간접적이고 추상적으로 망자의 인물됨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묘갈명에서는 망자의 진면목이 효과적으로 각인될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인물을 형상화하고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through examining various writings written for the dead by Gyeomjae(謙齋) Cho, taeeok(趙泰億, 1675-1728). Writers of the traditional era created literary works of various genres to mourn and remember the dead.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an author who writes for one dead does not mourn or remember the dead by limiting to one genre, but creates literary works of various genres. So, as part of a literary study on Cho, taeeok(趙泰億), this study examined the genre of writing for the dead, but limited it to two or more genres created for the same person. The works that Cho, taeeok(趙泰億) wrote for the same person forms a bundle, mansi(挽詩)-jemun(祭文), mansi(挽詩)-sijang(諡狀), mansi(挽詩)-myogalmyeong (墓碣銘), jemun(祭文)-chijemun(致祭文), and myojimyeong(墓誌銘)-myopyo(墓表). And most of the examples are in the form of mansi(挽詩)-jemun(祭文).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ansi(挽詩)-jemun(祭文) form, more than half of mansi(挽詩) were created as a series of poems. In Chapters 3 and 4 of this thesis, I searched the aspect of emotion and expression and the aspect of formalizing characters by contrasting mansi(挽詩) and jemun(祭文), mansi(挽詩) and myodomunja(墓道文字). In Chapter 3, mansi(挽詩) and jemun(祭文) were compared with Kang, junbu(姜浚溥, 1668-1697) in aspect of emotion and expression. In mansi(挽詩), the emotion of mourning was expressed in a simple description or by using implicit expressions, and in jemun(祭文), the emotion of mourning was expressed directly and concretely throughout the entire volume. In Chapter 4, mansi(挽詩) and myogalmyeong(墓碣銘) were examined for Cho, juseok(趙錫周, 1641-1716) in the aspect of formalizing characters. In mansi(挽詩), the emotions and meanings are condensed and revealed in an indirect and abstract way, and in myogalmyeong(墓碣銘), the characters are portrayed objectively and concretely so that the real worth of the dead can be effectively imprinted.

      • KCI등재

        朴趾源의 ‘眞’ 문학론 一考 : 金聖嘆과 袁宏道의 영향관계를 통해서

        권진옥(Kwon, jin-ok) 동양한문학회 2011 동양한문학연구 Vol.32 No.-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자료는 燕巖 朴趾源(1737~1805)의 『孔雀館集』으로, 안의현감 재직[1792년 이후] 중에 필사해 간직했던 手澤本이다. 이 책은 박지원의 개인 저작이 아니고 金聖嘆(1608~1661)과 袁宏道(1568~1610)의 글을 모은 것이다. 본고는 이 책에 수록되어 있는 두 작가의 특정 작품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여 박지원의 “眞”과 관련된 문학론에 접근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작업이 비록기존의 연구 성과를 재확인하는 데에 머물 수 있지만, 박지원이 ‘특수한’ 이유로 엮은 자료집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집에 수록된 두 작가의 작품’을 통해 박지원의 그것과 비교하는 일은 특수성과 신빙성을 전제하기 때문에 유의미하다고 본다. 또한, 박지원이 만년에 이르도록 김성탄.원굉도의 문장을 애독했다는 물증에 대한 폭넓은 시각을 제공하고, 나아가 타자와의 영향관계에서 박지원을 바라볼 수 있는 또 하나의 계기가 될 것임은 두말 할 나위가 없다. 첫 번째로, 박지원의 “寫眞”을 김성탄의 “창작자의 현재성과 특수성”과 비교분석하였다. 박지원은 古法.格式 등과 같은 엄정하고 근엄한 작법을 긍정하지 않았는데, 이는 글을 창작하는 주체의 개성과 더불어 작품 창작시에 일어나는 현재성.일회성을 강조한 김성탄과 무관하지 않다. 두 번째로, 박지원의 “眞法”을 원굉도의 “창작자의 주체적 정신”과 비교분석하였다. 박지원은 法을 따르지 않음을 法으로 삼고 古를 따르지 않음을 古로 여기는 眞法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창작자의 주체적 정신을 그대로 유출시키는 데 요체가 있는 원굉도의 문학론과 무관하지 않다. 18세기 후반에 박지원을 비롯한 개성적 작가들이 사유했던 창작관과 비평관이, 시내암과 김성탄 그리고 원굉도를 위시한 공안파의 자장 안에서 논의되고, 또 그 실체를 확인하는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연구 성과들의 결과로 인해, 더 이상 ‘내재적 발전론’을 거론하기가 힘들어졌고, 수수관계-일방적이든-를 통한 발전론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발전론이 아니라, 투사론.반영론까지 운위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들의 진정성은 타자와의 영향관계를 통한 면밀한 비교분석을 통해 확보된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는 영향관계의 범주 및 비교 대상을 주제나 내용에 기초한 의론과 사유를 기초로 작법 기술상에 기인한 제반 수사법까지 확대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tudy Park, Ji-won(朴趾源, 1737~1805)'s 'Jin(眞)' literature theory, by comparing Kim, Seong-tan(金聖嘆, 1608~1661) and Won, Goeng-do(袁宏道, 1568~1610)'s prose that is included in Gongjakgwanjib(孔雀館集). This research becomes another opportunity that can offer wide sight about evidence that Park, Ji-won(朴趾源) read two writers' sentence, and also see Park, Ji-won(朴趾源 in effect relation with China writer. First, this treatise compares Park, Ji-won(朴趾源)'s "SaJin(寫眞)" with Kim, Seong-tan(金聖嘆)'s "currency and peculiarity of the writer". This is related with Kim, Seong-tan(金聖嘆) who emphasizes character of writer and currency that happen at work production. Second, this report compares Park, Ji-won(朴趾源)'s "Jinbeok(眞法)" with Won, Goeng-do(袁宏道)'s "autonomous mind of writer". He stresses "Jinbeok(眞法)" that resisting rule is considered the real rule and uncomplying old is considered the real old, this is related with Won, Goeng-do(袁宏道)'s theory of literature that debouch autonomous mind of writer just as it is. A individual writers' work and criticism in the latter half of 18th century is discussed in magnetic field of Kim, Seong-tan(金聖嘆) and Won, Goeng-do(袁宏道) and research that confirm the true also is activated. By the result, can no longer refer 'immanent development' and development through effect relation is accomplishing main current. Even, that is discussed to theory of projection and reflection. The genuineness of these argument is defined through meticulous comparative analysis with China writer.

      • KCI등재

        중등 한자·한문 교육 방법론에 대한 모색 -학습자 활동 중심 교수· 학습 방법-

        권진옥(權津鈺) ( Kwon Jin-o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2

        이 글은 중등 한자 및 한문 교육 방법론을 모색하기 위해서, 학습자 활동중심의 교수 및 학습 기법에 초점을 둔 것이다. 최근에 한자 및 한문의 교육에서는 중등 교과 교육 방법론으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교육 방법론을 참고하여 ‘한문의 이해 영역’과 ‘한문의 활용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및 학습 기법은 다음과 같다. ‘한자와 어휘’에서는 주요 부수를 익히게 한 다음 해당 부수가 들어간 한자를 찾아내는 방식에 적용할 수 있다. ‘한문의 독해’에서는 비교적 짧은 한문 산문이나 한시를 제시하고 그 내용과 주제를 중심으로 올바로 독해하는 과정에서 문장의 구조와 유형을 자연스레 체득하게 학습 방법이 효과적이다.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에서는 학습자의 취미나 관심 분야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활용할 수 있는데, 일상 용어를 학습자가 조사하여 발표하면 이에 대해 교수자가 피드백을 진행한다. ‘한문과 인성’에서는 현재적 가치를 지닌 한문 문장을 정선하여 제시하면,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자신의 견해를 세울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문과 문화’에서는 전통문화 가운데 현대에 시의성이 있는 주제를 교수자가 제시하여 학습자의 호응을 이끌어 내고, 학습자는 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여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도록 지도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eaching and learning techniques regarding learners’ activities to improve the teaching methodology for Chinese characters in secondary school. Secondary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first refer to the goals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goal of secondary Chinese and Chinese education is to learn Chinese and Chinese vocabulary and utilize them in modern language life, and to cultivate the values and personality of modern people through reading Chinese materials containing the lives and wisdom of their predecessors. At the same time, it is to inherit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 Thus, students acquire basic knowledge about the culture of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area and have an attitude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mutual understanding and exchange within the culture area. The content system of the Chinese charact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is divided into the “Comprehens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Either topicis divided into “Chinese characters”, “Chinese reading comprehension”, and “Chinese vocabulary and language life.” These include the core concepts of “Chinese and humanity” and “Chinese culture”, among others. Additionally, since the core learning elements are complex and multi-layered, the instructor needs to utilize various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learners to effectively achieve the learning elements.

      • KCI등재

        도암(陶菴) 이재(李縡) 비지류(碑誌類) 문장의 일고찰 ― 신도비를 중심으로 ―

        권진옥 ( Kwon Jin-ok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4

        본고는 도암(陶菴) 이재(李縡, 1680-1746) 문학 연구의 일환으로, 그가 남긴 비지류(碑誌類) 문장에 주목하되 신도비(神道碑)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도암집(陶菴集)』에는 4권에 그치는 한시에 비해 46권이 모두 산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문 가운데서도 편지글과 비지류 문장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이재의 당파적 입지나 학자적 위상의 방증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이재가 비지류 문장을 많이 남긴 것은 17세기 이후 비지류 문장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반영하기도 한다. 이재가 살던 당시에는 그의 비지류 문장이 매우 각광을 받았으며, 또한 그 문학적 성취는 전장류와 비지류 문장에서 전범이 되는 사마천(司馬遷)과 구양수(歐陽修)에 비견될 정도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재는 총 32명에 대한 신도비를 남겼는데, 친족과 외척, 당파적 동류, 스승 등에 이르기까지 직간접적으로 관계된 인물들이 신도비의 주인공이다. 2장에서는 이재의 신도비를 분석하기에 앞서 그가 지향한 문학론, 문학론 가운데 한문 산문을 위시한 문장론을 살펴보았다. 우선 그의 문학론은 작자의 덕성, 인품을 강조하는 자질론, 도를 전하고 의리에 근본해야 하는 당위를 주장한 도본문말론(道本文末論), 세교(世敎)와 교인(敎人)으로서의 문학의 기능을 일정정도 인정하는 효용론으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그의 문장론은 문장 학습의 전범 측면에서 확인하였고, 그 전범의 대상은 사마천, 한유(韓愈) 그리고 주희(朱熹)였다. 3장에서는 이재의 신도비 가운데 그가 문장의 전범으로 삼았던 한유와의 연결점을 확인케 하면서 동시에 규격화된 신도비 문체를 벗어나 문학성을 추구한 작품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는데, 이상을 고려하여 분석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오중주를 위해 쓴 「좌윤오공신도비(左尹吳公神道碑)」이다. 이 작품은 구성적인 측면에서 한유의 비지류 문장을 계승한 점이 확인되고,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신도비의 문학적 성취를 이루어내었다. 특히 이 작품을 분석하는 잣대로 김창협 비지론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간엄(簡嚴)에 주목하였는데, 편장 구성에서의 간엄은 곧 묘주의 진면목을 간단하고 요령 있게 드러내는 구성 원리라고 정의하였다. 「좌윤오공신도비」는 간엄을 성공적으로 구사하여 문학적 성취를 획득했으며, 또한 비지류 문장의 고정된 형식을 벗어나기 위해 서술 전개방식을 의도적으로 변화시키고, 시간적 착종이나 서사·의론의 착종을 사용하며, 대화나 일화를 통해 생동감을 자아내는 등 작자가 문학성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비지류 문장의 작자는 유묘(諛墓)의 유혹과 공기(公器)의 엄정함에서 고민하기 마련이다. 은악양선(隱惡揚善)이 비지류 문장의 미덕이라고 하지만, 진실이 결여된 묘주의 형상화는 결코 문학성을 보증할 수 없다. 이면백(李勉伯)은 「비지설(碑誌說)」에서 비지류 문장을 짓는 작자의 올바른 자세를 언급하였는데, 그것은 묘주 그 사람만이 가진 실상을 찾아내어 사실대로 기록하는 것이었다. 이런 본질적인 의미에서 이재의 「좌윤오공신도비」는 성공적인 비지류 문장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ry accomplishments of memorial stone’s epitaph among the epitaph contained in collection of Leejae(李縡)’s works, Doamjip(陶菴集). He left epitaph works a total of about 32 people, including paternal relatives, maternal relatives, factionists, teachers, and so on. In Chapter 2, before analyzing his epitaph works, examined the literary theory. In addition, examined the theory of Chinese prose in literary theory. His literary theory is the traits theory that emphasizes the virtue and personality of the author, the Dobonmunmal(道本文末) theory that passes on the truth(道) and asserts the justify(義理), the utility theory that educates the world and the people. His Chinese prose’s theory were confirmed by the canon, and the canon were Sama, cheon(司馬遷), Han, yu(韓愈) and Ju, hei(朱熹). In chapter 3, we searched for the works which pursued the literature beyond the standardized memorial stone’s epitaph style, at the same time, which is identified the connection points with the Han, yu(韓愈). In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the work is jwayunogongsindobi(左尹吳公神道碑) for (吳重周). This work inherited Han, yu(韓愈)’s epitaph works from a constructive point of view and achieved literary achievement due to this feature.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d on the ganeom(簡嚴) theory that is core of Kim, changhyup(金昌協)’s epitaph theory. The ganeom(簡嚴) of composition is a constitutional principle that simply reveals the truth of memorial stone’s main character. This work succeeded in achieving literary achievement by successfully using the ganeom(簡嚴), and intentionally changed the narrative in order to escape the fixed form of the epitaph works, used the time complexity and narrationargument complexity, made a vividness through dialogue and anecdotes. These are the writer’s efforts to pursue literature.

      • KCI등재후보

        삽교(삽橋) 안석경(安錫儆)의 산문 비평과 산문 창작의 실제

        권진옥 ( Jin Ok Kwon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0 漢城語文學 Vol.29 No.-

        본고는 한 인물의 문학에 대한 주도면밀한 비평 행위가 그의 실제 문학 창작에 어떻게 작용되는가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그 대상 인물은 조선 후기 문인의 한 사람인 삽橋 安錫儆(1718~1774)이고, 대상 텍스트는 그의 저서인 『삽橋藝學錄』과 『삽橋集』이다. 물론, 한 작가의 문장관 혹은 비평의식과 창작의 실제라는 문제는 그 양자의 연관 양상이 뚜렷할 수도 있지만 거개가 포착되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연유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안석경의 비평 행위와 그 창작 실제에 있어서는 그 양자의 수수관계의 일단을 살펴볼 수가 있다. 그것은 바로 안석경의 비평 행위가 산문 수사 중에서도 특히 篇章字句의 운용 위에서 대부분 일어났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안석경이 비평을 가한 대상 작가군을 국외의 당송팔대가와 국내의 李穡·崔립·張維(李植과 金昌協을 포함한) 등으로 한정해 보면, 이들의 산문 중에서도 序跋類, 雜記類, 贈序類 등의 장르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특정 장르의 작품에 대한 그의 비평과 분석은 실제 그와 같은 장르를 창작함에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안석경의 산문 중에서 위와 같은 장르에 한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산문 비평 방법을 운용한 창작의 실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안석경은 한 산문 작품을 분석함에 있어서 대체로 주제파악을 기본으로 삼아 그 편장의 구분, 편장의 배치, 자구의 운용, 자구의 안배 등 비교적 일관된 비평 의식을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몇 개의 비평 의식을 그의 실제 작품에서 어떻게 운용하고 있는지를 살필 수 있을 것이다. 그 대상 작품은 序跋類와 雜記類중에서 이러한 비평 의식이 비교적 명료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遠遊篇序>와 <足乎堂記>가 될 것이다. This treatise wishes to investigate how in literature production lit-crit acts. Person to examine is Sapgyo(삽橋) An Seok-gyeong(安錫儆, 1718~1774), and target text is Sapgyoyehakrok(삽橋藝學錄), Sapgyojip(삽橋集). First, examined demeanor of his prose criticism. By next time, investigate prose criticism by genre, and attempted comparison with prose genre that he writes. Finally, analyzed how in his work production prose criticism method applied. Examined composition method about key points(宗旨) and essential points (綱領), rhetoric method of host-guest(主客). Also, examined component relation and expressions(字句) operation. Analyze relation establishment and correspondence(照應) between paragraph, and investigated expressions methods(字句法) in work-chapter-expressions(篇章字句). For front, in big appreciative eye countenance of An Seok-gyeong(安錫儆) approaching by more wide and objective sight, Chinese writing prose rhetoric and Gomun(古文) production, expect methodology that is effective and do so that graft together these rationally.

      • 택당 이식의 서발류ㆍ증서류 산문 일고

        권진옥(Kwon Jin-ok)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9 동아한학연구 Vol.- No.5

        본고는 澤堂 李植(1548~1647)의 산문 중에서 序跋類[序跋文]와 贈序類[贈序文] 작품을 대상으로 주요한 작품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 시기의 문학이라는 것은 관각문을 제외하면 증시ㆍ화답시, 서발류, 증서류 산문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즉 교유를 중심으로 한 문학 활동이 더욱 의미가 있던 시기였던 것이다. 서발류는 때에 따라 타자에 대한 술회나 작자의 문학론을 함께 펼치는 경우도 있으며, 증서류도 의론, 서정, 서사를 뒤섞어 쓰기도 한다. 한마디로 서발류나 증서류 모두 의론, 서사, 서정을 넘나드는 자유로운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이식은 서발문을 지을 때, 앞 단락과 이어지는 단락 혹은 단락이 건너뛰면서 연결되는 交織이 매우 精選되고 嚴密하였다. 이는 한 저자의 시문집에 대한 소개라는 서발문의 성격에 가장 적합한 편장을 구성한 작자의 세심함이 보이는 부분이기도 한다. 이식의 증서류는 다양한 주제의 의론을 다루고 있다. 그것은 바로 증서인과 피증서인의 관계, 피증서인의 전별 성격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증서문을 짓기 때문이다. 이식은 증서문을 지을 때, 자신의 의론을 개진하여 길 떠나는 사람의 마음을 위로해 주기도 하는데, 이는 議論를 통해 抒情을 부각시키는 방법으로 증서문과 같이 교유를 중심으로 하는 글에 매우 효과적인 글쓰기라 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증서문이 의론을 자주 끌어와 서정을 술회하지만 그 서정의 강도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마련이다. 이식의 증서문 중에서 비교적 서정성이 짙은 작품들은 대체로 전송하는 대상이 좌천되는 인물이거나 인척 관계의 인물인데, 이러한 인물들에게 써 준 증서문은 떠나는 이에 대한 위로와 당부, 그리고 이식 자신의 입장과 소망하는 바를 잘 드러내고 있어 교유의 장으로서 가지는 증서류의 성격이 잘 드러난 글이라 하겠다. In this paper, the head and front of Taekdang(澤堂) Lee, sik(李植)'s works is viewed; especially on given Seo-bal[Prefaces, 序跋] and Jeung-seo[Farewells, 贈序] among his masterworks. Prefaces, in some cases, include author's reminiscences on the other or his theoretics about literature. And arguments, lirycs, or description sometimes are melted into farewells. To sum up, prefaces and farewells are very liberal styles that cover argumentation, poetry, and description. Prefaces attached in front of an anthology are preferentially to make a record of how the work had been written and published. But its form and substance varies with respective writers; sometimes there is great argumentation, sometimes publishing process is mainly subjected, in some cases author's passion to his work is heavily expressed. For Lee, sik(李植), in his prefaces the connections between paragraphs are very strict and accurate. It shows his prudence by choosing best fitting sentences for property of a preface which introduces a writer and his work. A preface of an anthology is relatively non-lyrical; most of it are composed of descriptions of writing and publishing, arguments, criticism, and articles. But Lee, sik(李植) as a genius wrote lyrical prefaces of retrospection and grief on the anthology of a writer who died young. Farewells by Lee, sik(李植) cover many arguments on various topics. His feelings on those topics sometimes intimated, sometimes expressed passionately. It's because he considered the relation between him and sendee, sendee's position and propensity when he was writing. Most of his farewells are either encouraging ones for those who were leaving in purpose of private trip or public duties, or comforting ones for those who were exiled or retired due to political situation. In farewells, writer often pinned down his opinion to solace leaving people, so that he can bring into his intimacy with them by argumentation. That is very effective writing for farewells to perform such social purposes. Though those writings expressed writer's personal feelings by argumentation, the intensity of those feelings were depend on contemporary circumstance. Among Lee, sik(李植)'s farewells, highly passionate ones are mainly for the exiled or relatives. Those ones show his consolations, cares, opinions and hopes very well, so it can be told that his works are properly written farewells for its social purpose.

      • KCI등재후보

        한문 산문에서의 문예적 양기

        권진옥 ( Kwon Jin-ok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8 漢城語文學 Vol.39 No.-

        이 논문은 한국 전통 문학 가운데, 한문 산문의 범주에서 논의되는 양기(養氣)의 측면을 살펴본 글이다. 양기는 이 용어가 사용되는 상황과 맥락 - 시대적 차이·철학적 분기 -에 따라 그 개념이 달라진다. 크게는 유가(儒家)에서 말하는 ‘도덕적(道德的) 양기’와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양생적(養生的) 연기(煉氣)’로 나눌 수 있으며, 이와는 별도로 ‘문예적(文藝的) 양기’라는 것이 있는데, 이 문예적 양기는 도덕적·양생적 양기와 그 경계를 넘나들고 있다. 유가에서 철저하게 도덕적 범주에서 논의되었던 양기라는 개념이 문예적 범주로 전화(轉化)하는 계기는 사마천(司馬遷)과 소철(蘇轍) 같은 중국 문인들의 논의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중국의 논의들이 수용되어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이르는 각종 문헌들에 관련 자료들이 산견되어 있다. 다만 그 양상과 의의는 시대적 상황과 문풍(文風)에 따라 다기한 양상들을 보이는데,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양상과 의의에 집중하기보다는 한문 산문에서의 문예적 양기의 여러 가지 수양 방법을 밝히고, 나아가 문예적 양기의 결과로서 평가되고 지칭되는 미적 풍격 용어를 살펴봄으로써 문학 창작론과 비평론을 유기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한문 산문의 범주에서 문예적 양기를 위한 3가지 수양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가 장유(壯遊)와 견문을 통한 외적 체험, 두 번째가 작자의 성정 및 혈기의 수양을 통한 내적 성찰, 세 번째가 양기를 돕는 관련 서적의 탐독이다. 끝으로 3장에서는 그 문학적 성취로 거론되는 미적 풍격 용어들을 비교분석하였는데, 예컨대 소탕(疏蕩)과 기기(奇氣), 굉박(宏博)과 홍변(弘辯), 혼호(渾浩)와 순방(淳厖), 웅사굉장(雄肆宏壯), 정엄뇌락(精嚴磊落), 상완고아(詳婉古雅) 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literary yanggi(養氣) in the category of classical chinese prose. Yanggi(養氣) depends on situation and context, it is largely divided into ‘moralistic yanggi(養氣)’ in Confucianism and ‘yangsang(養生)'s yanggi(養氣)’ in Taoism. Apart from this, ‘literary yanggi(養氣)’ crosses the boundaries of moralistic yanggi(養氣) and yangsang(養生)'s yanggi(養氣). The notion of yanggi(養氣), which was discussed in the moral category, changed into a literary category. The momentum was a Chinese literary man such as Sa, macheon(司馬遷) and So, cheol(蘇轍). Korea has accepted these discussions in China, and related materials are included in various documents from the Koryo period to the Chosun dynasty. However, the aspect and the meaning are var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e style of the literature. This paper does not concentrate on these aspects and meanings, but suggests various development ways of literary yanggi(養氣) in the category of classical chinese prose. It also examines the aesthetic style terms that are evaluated as the result of literary There are three development ways for the literary yanggi(養氣): The first is an outward experience that includes far travels and contact various opinions. The second is an internal introspection that develops the writer's emotion and vigord. The third is a reading of related books that helps yanggi(養氣). At the end, the aesthetic style ter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example, there are the following style terms. There are sotang(疏蕩), gigi (奇氣), goengbag(宏博), hongbyeon(弘辯), honho(渾浩), sunbang(淳厖), etc.

      • KCI등재

        雲養 金允植의 記文 硏究

        권진옥(Kwon, Jin-ok) 한국인물사연구회 2015 한국인물사연구 Vol.24 No.-

        The study investigates literature feature of Unyang(雲養)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His literature seek the statecraft writing(經世之文) that reject ostentatious and aim at factual events, moreover writes the majestic work(奇偉之文) that involves bizarre flavor. And the canon of classical chinese prose is ancient writings of Dang and Song period(唐宋古文)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has a total of 49 works. 43 works is about building’s kimun(記文), 6 works is about landscape’s kimun(記文). Throughout his lifetime, he writes kimun(記文) A feature of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is three value. The first thing is spatial reconstitution through imagination. His kimun(記文) enlarges esthetic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space through the pursuing about superiority world’s excitement and beauty. The second thing is distribution of volume-chapter, letter-phrase(篇章字句) in classical chinese prose rhetoric aspect. In volume-chapter’s aspect, Kim, Yunshik(金允植)’s kimun(記文) gives prominence to a topic by organic connecting the paragraphs. In letter-phrase’s aspect, his kimun(記文) takes account of rhetoric aspect by emphasis change. The third thing is an eccentricity about landscape. Throughout his lifetime, he enjoys landscape sightseeing, has particular interest about Ryu, jongwon(柳宗元)’s landscape essays. On closer scrutiny, most his kimun(記文) is stirred and wrote by especial interest and taste at landscape. Unyangjip(雲養集) achieves lately complete translation, therefore we expect a extensive study about Kim, Yunshik(金允植)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