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에서 개발된 참다래 신품종의 과실무름병 발생률과 병원균 검출 빈도

        권신영,김경희,고영진,이영선,손산호,김성철,정재성 한국자원식물학회 2011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4 No.5

        The incidence rates of postharvest fruit rots of four kiwifruit cultivars which were cultivated under rain-proof tunnel house at a same orchard were examined. Among them, ‘Halla-Gold’, ‘Jecy-Gold’ and ‘Jecy-Sweet’ were new cultivars bred in Korea. The disease incidence was varied with cultivars; 74.8%, 65.3%, 57.1% and 16.2% for ‘Hayward’, ‘Halla-Gold’, ‘Jecy-Sweet’ and ‘Jecy-Gold’ cultivars, respectively. Two hundred and eighteen isolates were obtained from diseased fruits and identified by mycolog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methods. Three fungi, Botryspheria dothidea, Diaphorthe actinidiae and Botrytis cinerea, were identified as pathogens of the postharvest fruit rots with detection rates of 95.4%, 4.6% and 2.3%, respectively. 참다래 품종 ‘헤이워드’와 우리나라에서 육성된 품종인 ‘한라골드’, ‘제시골드’, ‘제시스위트’를 동일한 조건에서 재배한 후 후숙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실무름병의 발병률을 조사하였다. 발병률은 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품종별 발병률은 ‘헤이워드’ 74.8%, ‘한라골드’ 65.3%, ‘제시스위트’ 57.1%, ‘제시골드’ 16.2% 순으로 조사된 품종 중 ‘제시골드’가 과실무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컸다. 병반 부위에서 218개 균주를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과실무름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Botryspheria dothidea, Diaphorthe actinidiae, Botrytis cinerea의 세 종류로 밝혀졌다. 각 병원균의 검출률은 각각 95.4%, 4.6%, 2.3%로 B. dothidea가 과실무름병의 주요 병원균이었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

        권신영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6 복지상담교육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interes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anger-out. The advanced research on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and the anger-out inventory was examined a hypothesis through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152 college students in Daejeon were subjects for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the social interest scale and the anger-out invento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nalized sham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ocial interest and the anger-out. The internalized shame directly impacted on the anger-out and the social interest. Also the social interest had an direct effect on the anger-out. As a result, the social interest was the mediating model on the relation both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anger-out. According to this study, the internalized shame varies the anger-out depending on the social interest level and the social interest regarding the important control factor of the anger-out shows the needs of the intervention and preventative service about the anger-out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에서 분노표출에 직간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진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관심과의 상관을 알아보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 지역 소재의 대학 재학생 152명이며, 사용된 측정도구는 내면화된 수치심, 사회적 관심, 분노표출의 세 가지의 척도이다. 연구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사회적 관심, 분노표출 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분노표출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적 관심에 직접 영향을 주어서 간접적으로 분노표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관심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출 간에 부분매개하는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적 관심 수준에 따라 분노표출에 달리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사회적 관심은 분노표출을 통제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로서 분노표출에 대한 개입과 예방적 차원에 활용될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 KCI등재

        어린이집의 급·간식 관련 친환경 실천 연구

        권신영,서영숙 한국보육지원학회 2012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8 No.4

        본 연구는 어린이집의 급․간식 관련 친환경 실천에 대해 어린이집의 원장, 보육교사,취사부의 실천정도가 어떠하며, 어린이집과 보육교직원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Boise(2010)의 친환경개념을 적용하여 급․간식의 친환경의 개념을 재 정의하여 보육교직원의 실천정도를 알아볼 수 있는 질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서울과 경기지역 소재 어린이집 200개소에 근무하는 원장118명, 보육교사 363명, 취사부 102명 총 583명의 질문지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첫째, 어린이집의 급․간식 관련 친환경 실천정도는 안전성, 기능성, 지속가능성 세 영역의 모든 영역에서 취사부의 실천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원장, 보육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직원들의 급․간식 관련 친환경 실천정도는 어린이집의 유형, 규모, 직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보육교직원의 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서의교사 및 친구 지지의 조절효과

        권신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코로나19 이후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서의교사 및 친구 지지의 조절효과권 신 영*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학교로 복귀한 고등학생들이 겪는 학업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교사 및 친구지지가 변인 간의 조절효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수도권에 소재한 여자고등학교의 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사회적지지 척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SPSS 26.0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 결과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교사 및 친구의 지지와 스마트폰 과의존과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 간에 교사 및 친구의 지지에 대한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및 제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서 교사와 친구의 지지는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는 못하였으며 이를 통해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면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관계 형성이 긴밀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한 구성원간의 친밀감 형성이 시급함을 제언하였다. 핵심어: 고등학생, 학업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사회적 지지, 코로나19 □ 접수일: 2022년 7월 27일, 수정일: 2022년 8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 박사(PhD, Sookmyung Women’s Univ., Email: kyosa524@daum.net)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and Friend Supporti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Smartphone Over-dependence After COVID-19Shinyoung Kw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experienced by high school students returning to school after COVID-19 on smartphone dependence and to verify whether teacher and friend support act a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wo variabl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80 high school students on academic stress, smartphone dependence, and social support scale, and data collected through SPSS 26.0 were analyzed. proceeded. As a result of the study, academic stress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upport from teachers and friends and dependence on smartphones. Also,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n the support of teachers and frien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dependence. I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smartphone dependence, the support of teachers and friends did not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he future, it was suggested that it is urgent to form intimacy among members through various activities at school. Key Words: High School Student, Academic Stress, Smartphone Over-dependence, Social Support, COVID-19

      • KCI등재

        영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실제 관계에서 미치는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권신영,서영숙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5

        본 연구는 영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실제 간의 관계에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고, 이의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매개효과가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매년 수집하는 한국아동패널 데이터 중 2010년 수집된 총 1,802명의 3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때 아동의 연령은 만 25.75개월(SD=1.37)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밝혀진 결혼만족도가 자아존중감을 통해 양육실제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데이터 분석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 결과는 가구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향상이 양육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