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인의 사회적 차별지각과 차별요인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인을 중심으로

        권선진(Kwon Seon Jin) 한국직업재활학회 2008 職業再活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차별지각의 수준과 차별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써 전국 861명의 청각장애인 조사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각장애인의 10개 차별영역에서 문화향유권 영역의 차별지각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접근권 영역, 수화사용 영역의 순이었으며, 노동권, 교육권, 법적 권리 영역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 결과는 청각장애인의 고유한 의사소통수단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추정된다. 청각장애인의 차별지각에 영향을 마치는 요인으로는 인구학적 요인에서는 성과 결혼상태가 그리고 취업요인으로는 월평균 임금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할 때 청각장애인의 차별 해소를 위해서는 공공영역에서의 수화통역이나 자막안내의 확대가 필요하며, 청각장애인의 전담기구로서 현실적으로 접근이 용이한 수화통역센터 확대와 활성화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수화언어의 보급을 통해 차별을 예방해 나가는 노력이 요구되며, 여성장애인을 포함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에 대한 인권교육이 폭넓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with 861 hearing impaired people in Korea, and als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decreasing the discrimination among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discrimination with hearing impairment are region, 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etc. Second, discrimination in the working places were affected by region, 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average wage. In conclusion,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can be suggested; First, to reduce the problem of discrimination, it is needed to preventive services and programs against discrimination in public area, for example, municpal office, TV. etc. And companies must put efforts on making good working environments for workers with hearing impairment. Second, to decrease discrimination of individuals with hearing disability, to make arrangement the sign language interpreter in hearing disability centers. Third, the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y must exert all possible efforts to provide the opportunity of public and social education for increasing awareness level forward people with hearing disabi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장애 대학생의 협력경험에 관한 연구

        권선진 ( Kwon Sun Ji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포커스 집단면접 방법을 활용하여 대학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 학생들과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협력관계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수도권 소재 한 대학의 발달장애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8명의 비장애학생들로서 이들과 사전적인 접촉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다. 한 학기 동안의 프로그램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이 경험하게 된 사항들을 일상 활동과 상호간의 관계, 그리고 프로그램 성과에 이르기까지 협력 관계에 대한 경험이 반영되어 나타났다. 발달장애인에 대한 학교나 사회적 지원이 크게 부족한 상황에서 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비장애학생들은 이 프로그램에서의 협력의 필요성과 협력 관계에서의 애로요인, 그리고 협력의 성과와 특징, 그리고 협력관계 증진을 위한 방안의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분석을 통해 현재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 기반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고, 특히 비장애학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그동안 흔히 탐구되지 않았던 대학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간의 협력경험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정착을 위한 과제를 제안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developing disabled students who participate in the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program and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using the focus group interview.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ight non-disabl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at a universit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o had no prior contact with them. What students experienced during a semester's program process reflected their experiences in cooperative relationships, ranging from daily activities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program performance.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a great lack of school or social support for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non-disabl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lifelong education program come up with themes of the need for cooperation, the difficulties in the partnership, the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of cooperation, and the ways to improve cooperation. This analysis further confirmed the need to expand the current college-bas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disabled students, particularly those for non-disabled college student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operating it as a program.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related research by proposing a task for settling the progra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cooperation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students in university life education programs that have not been explored so far.

      • KCI등재

        사회복지관(社會福祉館)의 조직효과성(組織效果性) 평가(平價)와 정책과제(政策課題)

        권선진 ( Seon-jin Kw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 保健社會硏究 Vol.15 No.2

        本 硏究는 低所得層의 自立과 地域住民의 福祉增進을 圖謀하기 위해 설립된 社會福祉館을 서비스의 産出이라는 外的 效果性基準과 組織維持라는 內的 效果性 基準에 의해 比較·平價하고, 각 效果性 기준간의 關係와 效果性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變因들을 파악함으로써, 效果性 提高方案과 評價를 위한 代案을 提示하는데 目的이 있다. 硏究의 主要 結果는 組織 效果性에는 外的 效果性이 內的 效果性보다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福祉館의 運營期間, 地域, 運營主體, 프로그램數, 專門人力의 業務量, 地域資源의 確保程度 등에 따라 效果性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社會福祉館의 組織 效果性 提高를 위해서는 이용자의 欲求에 부응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擴大, 財政支援 및 外部資源의 活用度 提高, 專門人力이 담당하는 業務의 適正配分이 必要하다. The social welfare center is a non-profit and multi-purpose organization that promotes the well-being of people in the community and encourages self-reliance of those living at a low-income level. This study aimed at 1)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centers, 2) examining major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external and internal effectiveness, and finally 3) suggesting strategic alternatives for review and evaluating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centers. This study fonud tha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centers (SWC`s) is most significant when based on the client`s satisfaction. Variables which influence the effectiveness of SWC`s include the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centers, fees, the administrative entities and the number of programs per social worker. SWC`s in large cities show a higher degree of an integral effectiveness than in small or medium size cities and rural area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1) develop appropriate SWC programs that are reasonably priced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people in the community, including the low-income level residents; and activate resource mobilization at the community level; 2) do increase the ratio of social workers to programs working in SWC`s and do not rely only upon fees for financial management; 3) develop and operate SWC programs which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nsumer focused delivery of welfare services; 4) give attention to strategic planning and practice by considering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SWC`s.

      • KCI등재후보

        장애인 상담전화의 성과 평가와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권선진(Kwon Seon Jin) 한국직업재활학회 2005 職業再活硏究 Vol.15 No.1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지원으로 2001년 9월 첫발을 내디딘 ‘장애인전화(1588-0420)’은 각 기관별로 분산되어 있는 장애인 관련 정보를 한 곳으로 일원화해 장애인들이 손쉽게 정보를 활용할 수 있고, 장애인을 위한 전문상담을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한다는 필요성에서 설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지난 3년간의 ‘장애인전화’ 사업의 문제점과 성과를 평가하고 모금회의 지원이 종료된 현 시점에서 향후 장애인 분야의 가장 접근성 높은 서비스 지원체계로서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시도의 장애인복지관 내에 상담소와 장애인단체 등 총 32개 지역 전화상담소의 사업성과를 운영기관 측면, 상담원 측면. 이용자 측면에서 평가한 결과 장애인복지 분야에서 장애인 전화가 새로운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편으로 각 영역별로 개선이 요구되는 문제점들도 파악되고 있다. 연구 결과 장애인전화의 성과는 운영 주체의 의지, 상담원의 전문성 그리고 지역사회 자원의 연계에 따라 달라지며, 전화상담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행 초기의 단순한 정보 제공의 기능에서보다 장애 차별 등 인권의 문제점들과 위기 개입 등 전문적인 상담과 지원서비스의 기능이 강화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이 가장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면서 또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장애인전화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홍보, 지역연계, 체계적인 자원관리, 상담원의 전문성 향상 등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The nationwide telephone counseling program for the disabled people in Korea began in 2001. There still remains a vital need for setting up measures against factors that are insufficiency and inefficiency of the telephone counseling. In an effort to meet such a ne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urrent state of the counseling program and evaluate the counseling center by organizational perspective and client satisfaction. And aims to propose the new policy measur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unseling service for the disabled. In last three years. telephone counseling program have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public awareness on the disability and have ensured coverage and enhanced affordability of disability benefits. and secured adequacy of disability related inform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at full benefits of the disability programs be shared by all participants when designing a new model. This study proposes three policy measures. To develop the telephone counseling program, there ne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counselor by the education of disability related information and counseling technique. Secondary. the center need to be more supportive to operation of counseling program and counselor s morale. Thirdly, effective telephone counseling service have close relation to the community service resources. In this respect,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important reference for those are looking into evaluating the disability counseling center program and implicating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al progra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붉은 양파 분말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장주리 ( Joo Ri Jang ),권선진 ( Sun Jin Kwon ),임선영 ( Sun Young Lim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9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4 No.6

        We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onion powder dried using the low temperature vacuum method and the inhibitory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the dried red onion powder on the growth of HT-1080 human fibrosarcoma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dried red onion powder was 17.95%, while the vitamin C content was 96 mg/100 g and the total phenols content was 39.1 mg/mL. The inhibitory effects of acetone with methylene chloride (A+M) and methanol (MeOH) extracts of the red onion powder on the growth of HT-1080 and HT-29 cancer cells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p<0.05). The inhibitory effect was greater on the growth of HT-29 cells, while the A+M extracts had a higher inhibitory effect than the MeOH extracts. Treatment with the hexane, 85% aq. methanol, butanol and water fractions of the extract led to significant inhibition of the growth of both cancer cell lines (p<0.05). Among the fractions, the hexane and 85% aq. methanol fractions showed a greater inhibitory effect. To determine the protective effect on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a DCFH-DA (dichlorodihydrofluorescin diacetate) assay was conducted. All fractions, including the crude extracts of dried red onion, appeared to lea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levels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these reductions occurred in a dose dependent fashion (p<0.05). Among the fractions, the 85% methanol fraction showed the greatest protective effect on the production of lipid peroxid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