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중 합치도 H<sub>ω</sub>와 κ의 새로운 역설

        권나영,김진곤,박용규,Kwon, Na-Young,Kim, Jin-Gon,Park, Yong-Gyu 한국통계학회 2009 응용통계연구 Vol.22 No.5

        두 평정자가 R개의 순서형 반응 범주로 각 개체를 분류한 $R{\times}R$ 분할표에 대해, 불합치의 정도를 가중치로 부여한 가중 합치도 $H_{\omega}$를 제안하고, 최대 우도추정량 및 분산을 유도하였다. 또한 $2{\times}2$ 분할표에서 Feinstein과 Cicchetti(1990)가 제기한 마지막 역설을 새롭게 정의하고 증명하였으며, ${\kappa}$의 새로운 역설을 제기하고, ${\kappa}$와 주변분포의 전반적인 관계를 정리하였다. For ordinal categorical $R{\times}R$ tables, a weighted measure of association, $H_{\omega}$, was proposed and its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and asymptotic variance were drived. We redefined the last paradox of ${\kappa}$ and proved its relation to marginal distributions. We also introduced the new paradox of ${\kappa}$ and summaried the general relationships between ${\kappa}$ and marginal distributions.

      • KCI등재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영역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권나영,이민희,김상훈,김수진,Kwon, Na Young,Lee, Min Hee,Kim, Sang Hun,Kim, Soo Jin 영남수학회 2016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2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relevant to mathematics teachers and discuss implication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review 156 articles written between 2006 and 2015 related to mathematics teachers. The articles are analyzed using the model of professional growth suggested by Goldsmith, Doerr, Lewis(2014). The model discusses personal domain, external domain, domain of practice, and domain of consequenc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ticles focusing on the personal domain of mathematics teachers appear a lot in reviewed ones, whereas studies relevant to external domain or domain of practice of mathematics teachers are relatively small.

      • KCI등재

        레지스터 전달 수준 설계단계에서 사전 클럭트리합성 가능여부 판단을 위한 경량화된 클럭트리 재구성 방법

        권나영,박대진,Kwon, Nayoung,Park, Daejin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10

        When designing chip, it considers design specification, timing problem, and clock synchronization on place & route (P&R) process. P&R process is complicated because of considering various factors. Chip uses clock tree synthesis (CTS) to reduce clock path de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hallow-CTS algorithm for checking clock tree synthesizable. Using open source Parser-Verilog, register transfer level (RTL) synthesizable Verilog file is parsed and it uses Pre-CTS and Post-CTS process that is included shallow-CTS. Based on longest clock path in the Pre-CTS and Post-CTS stages, the standard deviation before and after buffer insertion is compared and analyzed for the accuracy of CTS. In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the cost and time problem could be reduced by providing a pre-clock tree synthesis verification method at the RTL level without confirming the CTS result using the time-consuming licensed EDA tool.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및 system on chip (SoC) 설계 시 디지털 회로는 클럭에 동기화되어 작동한다. 칩 설계 시, place & route (P&R)에서 설계 조건과 타이밍 조건, 클럭의 동기화 여부 등을 고려한다. P&R에서 클럭 경로에 대한 delay를 줄이기 위해, clock tree synthesis (CTS) 기법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 클럭트리 합성 가능 여부 판단을 위한 shallow-CTS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오픈 소스 Parser-Verilog를 사용하여 register transfer level (RTL) 합성가능한 Verilog를 파싱하여, Pre-CTS와 Post-CTS 단계를 진행하고, 가장 긴 clock path와 버퍼 삽입 전후의 표준편차를 비교하여 CTS의 정확도에 대해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 시간 투입이 많이 되는 licensed EDA tool을 사용하여 CTS 결과를 확인하지 않고, RTL 수준에서 사전 클럭 트리 합성 검증 방법을 제공하여 비용 및 시간문제를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Teacher Noticing in the Context of a Learning Community

        권나영,Kwon, Na Young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 2015 수학교육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체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교사 학습을 관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공동체에서 교사가 노티스(주목) 하는 것의 종류와 공동체를 구성하게 한 파트너십의 역할에 관한 연구 문제를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한 학습 공동체는 PRIME이라는 전문성 발달 프로젝트를 통해 대학과 학교간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생성된 팀들 가운데 하나로 세 명의 멘토교사와 세 명의 예비교사, 한 명의 대학에서 온 감독관이 참여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학교에서의 미팅은 오디오 녹음으로 자료화하고 관찰 노트와 인터뷰 등의 여러 자료를 내러티브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가자들은 학습 공동체에서의 활동을 통하여 교실 활동 상황을 포함한 교수 학습에 관한 활동과 자신들의 교수 학습에 관한 신념 등을 새롭게 노티스하게 되었다. 파트너십은 교사들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임무를 할당하며 다양한 공동체를 구성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eacher learning in the context of a commun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research questions about the kinds of teacher noticing in a community and the role of partnership were addressed. To build a learning community,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PRIME, established partnerships with 11 high schools and one of the cluster meeting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ree mentor teachers, three preservice teachers, and one university supervisor participated in the cluster meeting. For this study, the multiple data such as audio tapes of cluster meetings, observation note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analysis of narrativ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engaged in different kinds of noticing of their own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 practices, and teacher identities including noticing of students' understanding in classroom situations. The partnership played the crucial role of reinforcing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assigning tasks, and creating various communities.

      • KCI등재

        협력학교 기반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조사

        권나영 ( Kwon Na Young ),권민정 ( Kwon Min Jung ),정혜온 ( Jung Hye 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I 대학의 사범대학에서 진행된 협력학교 기반 지역사회 연계 봉사 프로그램(JEP) 과목에 참여한 중등예비교사들의 과목 운영, 성과, 어려움에 대한 인식을 학년, 전공, 사전학습경험에 따라 분석하고 현장실습 확대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통합연구로 JEP 과목에 참여한 6개과 중등예비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11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JEP 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보통 수준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JEP 과목의 운영에서는 사전학습경험을 소유한 예비교사, 3학년생, 체육 및 사회과 예비교사 집단이 높은 인식을 보였고, 교육실습의 준비단계, 실습 기회의 확대, 진로 결정에의 기여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JEP 과목 성과에서는 사전학습경험을 소유한 예비교사, 3학년생, 체육 및 사회과 예비교사 집단이 높은 인식을 보였다. 넷째, JEP 과목 실습 중 어려움에서는 사전학습경험을 소유한 예비교사, 3학년생이 높은 인식을 보였고, 사회과 예비교사는 현저하게 낮은 인식을 보였으며, 실습참여 기회, 프로그램의 체계성 등 외부 요인에서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대학에서의 전공 교육과 현장실습과의 연계, 전공 차이를 고려한 현장실습 프로그램 개선, 체계적인 학년별 현장실습 내용의 선정 및 조직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erception on Joint Educational Program(JEP) based on cooperating schools and to discuss ways to provide an opportunity of field experience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 designed mixed methods research using survey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189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from six department in a college of education and all of them participated in the JEP. Among them, 11 pre-service teachers had in-depth interviews. As results, we found that the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JEP was generally high. In particular, the pre-service teachers` grade, major, and learning experience had impact on the perception on management, outcome, and difficulty of the JEP. Finally, based on our results, we discuss how to improve field experience programs for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의 주제별 동향 분석

        권나영 ( Na Young Kwon ),김래영 ( Rae Young Kim ),김구연 ( Goo Yeon Kim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수학교육 Vol.50 No.4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s can be influenced by the ways in which curriculum is understood in terms of its characteristics and range. Viewing curriculum as encompassing all activities pertaining to teaching and learning allows us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education through curriculum studi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plores the trends in research on K-12 mathematics curriculum by examining prior studies` research topics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in curriculum studies. In additio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 KCI등재

        수학 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고찰 -평가하기 경우-

        권나영 ( Na Young Kwo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0 수학교육 Vol.49 No.4

        Teacher reflection as a form of professional development has been an enduring interest in education that can be traced back to Dewey. Information about how teachers interpret and analyze their students` learning would help us understand difficulties in teaching and learning. Moreover, it can be useful for teacher education by improving teach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how mathematics teachers reflected on their students` understand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investigated four U.S.A. mathematics teachers in a middle school. In particular, I discussed Assess instances among the teachers` reflections on their students` thinking and changes of the reflections as time went by. The results showed two different types of Assess instances and shifts by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