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방정부 정책 , 기획능력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정책 , 기획 담당부서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권경득 ( Kyung Deuk Kwon ),우무정 ( Moo Jung Woo ) 한국지방자치학회 2001 한국지방자치학회보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major determinants of the policy and planning capacities of Korean local governm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ree determinants, such as planning environment,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man-power factors which are supposed to influence the policy and planning capacities of local governments, are identified.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conducted on 277 civil servants working in the policy and planning departments of local governments in Chung Cheong Nam Do. The results show that some variables, such as functional decentralization, efficiency of information system, expertise; and motivation, positively influence the policy and planning capacities of Korean local governments. It was also found that `expertise`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explaining the policy and planning capacities of Korean local governments. It implies tha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regarding new administrative management skill, i. e., strategic planning, is very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civil servants` expertise in the policy and planning departments of Korean local governments.

      • KCI우수등재

        한국 다문화 연구의 경향 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권경득 ( Kwon Kyung Deuk ),이광원 ( Lee Kwang Won ),강혜정 ( Kang Hyejung ) 한국행정학회 2021 韓國行政學報 Vol.55 No.4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0년 10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 관련 연구 총 1,18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분야,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초점 등을 중심으로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주제어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핵심 주제어 간의 관계를 통해 한국 다문화 연구의 경향을 살펴보았다.분석결과, 다문화 연구는 교육 분야가 437편(36.9%)으로 가장 많으며, 다문화 이론 및 역사적 배경분야가 119편(10.1%), 이민자 분야가 116편(9.8%)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연구방법은 질적 분석을 활용한 비계량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만, 2011년 이후에는 1차 자료를 활용한 계량적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주제어 네트워크 분석의 경우, 2000년-2020년 동안에는 ‘이민자’라는 담론 하에서 다문화, 다문화 사회, 다문화 교육, 난민, 외국인 혐오, 이민정책 등과 같은 주제어와 결합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11년 이후에는 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주제가 핵심 주제어로 등장하고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문화 연구의 편수가 늘어나고, 연구의 범위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in a total of 1,183 multicultural studies publish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listed journal from January 2000 to October 2020, in terms of research field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focus, etc. Through network analysis, it also analyzes the overall tendency of Korean multicultural studies.The analysis shows that the greatest number of multicultural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437 articles, 36.9%). Next was multicultural theory and historical background (119 articles, 10.1%), followed by research on immigrants (116 articles, 9.8%). In terms of multicultural research methods, non-quantitative studies utilizing qualitative analysis accounted for a relatively large share of the whole. However, since 2011, quantitative studies utilizing primary data have been increasing significantly as a percentage of the total. Network analysis on research keywords revealed that from 2000 to 2020 are a number of studies combined such keywords as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education, refugees, xenophobia, and immigration policy under the discourse of "immigrants." In addition, research topic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emerged as major subjects since 2011,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ies has increased over time, and the scope of research has tended to expand.

      • KCI등재

        한국의 공공갈등 발생현황 및 해결방법에 관한 연구 - 1948∼2014년 공공정책갈등사례 DB를 중심으로 -

        권경득 ( Kyung Deuk Kwon ),임동진 ( Dong-jin Lim ) 한국정책학회 2017 韓國政策學會報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948~2014년까지의 공공갈등 DB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공공갈등의 전반적인 발생현황, 갈등유형별 특성 및 갈등해결방법 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공공갈등(1948~2014년)은 발생빈도로 보면 갈등억제기(1948~1984년), 갈등확대기(1985~1994년), 갈등일상화기(1995~2014년)로 구분할 수 있다. 둘째, 공공갈등은 총 2,030건이 발생하였고, 이 중 이익갈등이 47.9%(972건)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님비갈등 21.4%(435건), 가치갈등 15.2%(309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갈등주체로는 정부와 정부간 갈등이 28.8%, 정부와 민간간 갈등이 71.2%이고, 갈등기간으로는 장기갈등이 80.2%, 단기갈등이 19.8%이다. 분야별로는 지역개발분야(21.0%), 일반공공행정(19.0%), 환경보호(15.9%), 수송 및 교통(11.9%)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공갈등의 해결율은 84.1%이고, 갈등해결방법은 `이익에 의한 방식`(48.1%)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권위에 의한 방식`이 29.6%(601건), `권력에 의한 방식`이 6.4%(130건)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갈등기간 장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정부와 정부간 갈등, 민주적인 정부, 자원갈등(님비+핌피), 경제분야, 비수도권지역, 권위적 해결방식을 활용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또한, 이익적 갈등해결방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정부와 민간간 갈등, 권위적인 정부, 전국적 지역, 수도권 지역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공직자의 퇴직관리 효율성 확보방안

        권경득 ( Kyung Deuk Kwon ),이주호 ( Ju Ho Le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5 地方行政硏究 Vol.29 No.2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tirement management system of public servants in Korean local governments. As the average life age has been increased and the Korean society is becoming an aging society, the retirement management of local public servants has become an major issue in public personnel management in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practices of the retirement management for public servants in foreign governments and the current practices of retirement management system of Korean public servants. And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ive retirement management for public servants in Korean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조직유형에 따른 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과 구성원의 직무행태 및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권경득(Kyung Deuk Kwon) 서울행정학회 2005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6 No.1

        This research studies the organizational types, managers' leadership styles and employees'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 terms of gender differenc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ample of public employees working in fourteen departments in Korean central government(sample size is 491). The organizations a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one is male-dominated organization, the other is female-dominated organization. A female-dominated organization is defined as an organization in which the ratio of female managers is above 30% of all managers or the ratio of female managers is above 15% of all managers. And a male-dominated organization is defined as an organization in which the ratio of the female employees is less than 30% of all employees or the ratio of female managers is less than 15% of all manager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differences between managers in male-dominated organizations and those in female-dominated organizations in term of leadership styles. This means that manager's leadership style largely depends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s weakly influenced by organizational situa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task-oriented, transformational, team building styles of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 employees' job satisfactions. And team building style of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s organizational performances.

      • KCI등재

        공직내 여성의 대표성과 조직문화, 직무행태 및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권경득(Kyung Deuk Kwon) 한국정부학회 2009 한국행정논집 Vol.21 No.3

        지난 수년간 한국정부는 적극적인 여성우대 정책을 실시한 결과, 공직내 여성공무원의 양적 증대와 더불어 공직내 다양한 분야에 여성들이 고르게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공직내 여성공무원에 대한 다양한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공직내 여성인력의 대표성(비율) 증가가 정부내 조직문화의 변화와 구성원의 직무행태 및 조직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여성공무원의 대표성(비율)을 고려한 조직유형 즉, 여성지배조직(여성공무원의 비율이 높은 부처)과 남성지배조직(여성공무원의 비율이 낮은 부처)간에 지배적인 조직문화유형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여성지배조직과 남성지배조직별로 조직문화유형과 직무행태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지배조직과 남성지배조직간에 차별적인 인사 및 조직관리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직내 여성공무원의 직무행태에 대한 이해와 성과지향적 관리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The number of women has been increased in the public sector since various preference policies for women had been implemented in Korea. Although there are many researches concerning female public servants, there is almost few research which is focusing on the influences of female representation on the chang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ees` job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employees` job behaviors(job satisfaction, job str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between female-dominated agencies and male-dominated agencies. This study shows there are differences in some aspects between female-dominated agencies and male-dominated agencies in terms of organizational culture, job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nd this study suggests differ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between female-dominated agencies and male-dominated agencies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 KCI우수등재

        정부내 과학기술인력의 효율적 확보 및 육성 방안

        권경득 ( Kyung Deuk Kwon ),강인호 ( In Ho Kang ),강제상 ( Jae Sang Kang ),김종래 ( Jong Rae Kim ) 한국행정학회 2002 韓國行政學報 Vol.36 No.4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의 적응과 빠른 행정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 정부의 인력체계도 이에 맞게끔 체계화되고 전문화되어야 한다. 국가정책결정의 전문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전문성을 지닌 과학기술공무원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으나, 행정직 편중의 현행 정부인력 수급 체계는 이러한 현실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의 육성 및 확보를 통한 공공부문의 발전과 인적자원의 질 향상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현행 일반행정가중심에서 전문가중심으로의 인력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지식정보사회에서 요구되는 전문성과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우수한 과학기술인력의 확보와 육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정부내 과학기술인력에 대한 인사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보다 효율적으로 우수한 과학기술인력을 정부내에 유치하고 육성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With an increasingly knowledge-based society, the Korean government`s employment system faces challenges in terms of meeting the needs associated with social change caused by rapid industrialization,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particular, the government`s employment system requires change in order to properly value and promote science and technology positions. To date, the employment system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designed with traditional administrative positions in mind, to the detriment of nurturing and promoting those with professional and technical backgrounds and positions. As these are increasingly valuable skills, the Korean government is advised to foster science and technology-oriented human resources. This study explores alternatives for accomplishing this through improvements in the government`s employment system.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