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 ― 아도르노, 김수환 추기경,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

        성숙(Nho, Soung-Suk)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0 인간연구 Vol.0 No.40

        본 논문은 시민교육이 학교교육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전 생애에 걸쳐 꾸준한 교육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비판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II장에서는 오늘날 교육현실을 비판적으로 직시하기 위해 오히려 가장 극단적인 반례가 되는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아돌프 아이히만을 소개한다. 그러고 나서 그가 평범한 일상을 살면서, 법을 지키려는 시민의 의무를 다했지만, 오히려 역설적으로 어떻게 홀로코스트의 엄청난 비인간적인 야만성에 빠져들고 말았는가를 비판적으로 들여다본다. III장에서는 아도르노의 교육에 대한 사유들을 토대로 야만적 교육현실의 문제점을 비판한 뒤,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이라는 아도르노의 개념을 고찰한다. 그가 말하는 ‘성숙’은 다름 아닌 ‘스스로 사유하는 자율적 주체’가 되어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한 비판적 자기성찰’을 지속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올바른 의식을 생성’하는 데에 있다. IV장에서는 가톨릭교회의 입장과 연관시켜서 ‘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의 이념과 그 실천가능성에 대해 알아본다. 아이히만과 정반대로 탈야만과 성숙을 실현한 한 시민이자 종교지도자로서 김 추기경의 구체적인 삶을 소개한 뒤, 김 추기경과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육관을 살펴본다. 김 추기경은 시민 민주주의의 이념인 자유, 평등, 박애가 그리스도교적 인간관에 자리 잡고 있으며, 그에 따라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도 그리스도교적 전인성에 뿌리내리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성숙을 위한 교육’은 시간을 들인 경험을 필요로 한다고 강조하면서, 스스로 선택하는 자유와 사회적인 공동선과 더불어 한 걸음 더 나아가 종교적 거룩함이라는 차원에까지 이르는 교육을 실천해 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이와 같이 볼 때, 아도르노, 김 추기경, 프란치스코 교황은 각각 서로 다른 사상적 배경을 지니고 있지만, 이들은 공통적으로 ‘전인적 성숙’이라는 교육목표를 매우 뚜렷하게 강조한다. 이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시민교육은 개인으로서의 시민 각자가 스스로 생각하고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는 존재이어야 하며,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할 수 있고, 자신을 넘어서서 타인과 함께 공동선을 지향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논문은 김 추기경이 말한 ‘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을 아도르노의 철학적 차원과 프란치스코 교황의 영성적 차원으로 심화와 확장을 시도해 본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begins with the critical awareness that a citizen’s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school, but should continue throughout their life. Chapter II introduces Adolf Eichmann as one of the most extreme counter-citizens in order to critically face education today. This chapter examines how, paradoxically, Eichmann fell into the inhuman barbarity of the Holocaust, although he maintained his routine and fulfilled his civil duty to uphold the law. Chapter III critically considers the problem of barbarism in education based on Adorno’s theory of education, and then examines Adorno’s concept of civil education to achieve maturity. Adorno’s definition of maturity is to create the right consciousness by becoming an autonomous subject that thinks for oneself and by practicing continuous critical reflection on the self and on society. Chapter IV examines the practicality of civic education for the maturity of a person as a whole in relation to the Catholic Church. This chapter introduces the life of Cardinal Kim, who, in contrast to Eichmann, achieved debarbarization and maturity as a citizen and religious leader. This chapter also examines the educational views of Pope Francis. Cardinal Kim believes that civil democracy is based on the Christian view of humanity, so that civil education for maturity should be rooted in Christian wholeness. Pope Francis also stresses that maturity requires time-consuming experience and says maturity must reach religious holiness with and beyond the ability to choose freedom and the social common good. Adorno, Cardinal Kim, and Pope Francis have different theoretical backgrounds, but they each emphasize clearly the educational goal of the maturity of a person as a whole. Their common vision of civic education is that each citizen should be able to think for themselves and make free choices, to reflect critically on their society, and to look beyond themselves and work toward the common good. This paper deepens and expands Cardinal Kim"s concept of civic education for a whole person’s maturity into the philosophical dimension of Adorno and the spiritual dimension of Pope Francis.

      • 진로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숙,신영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교육논총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how the STEAM Program, which is based onsimulatory activity consisting of 5 jobs in the natural sciences or engineering fields, influencescareer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4th grade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city.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twogroups, an experiment group(n=24) and control group(n=23). The program was constructed from thecurriculum in social studies, mor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areer maturity between the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percentage of vocational types of theexperimental group increased in the 6 field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re it decreased. Third, Through concrete and realistic job experience and information in the fields of naturalsciences or engineering, students' choice of jobs was widely broadened. Career maturity wasmeaningfully correlated(p<.01) with extroversion, openness, friendship, and sincerity factors. It wasespecially strongly correlated with sincerity. The correlation of career maturity and character waslessoned through the STEAM program.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ercentage of vocationalcharacter type and the factor of students' character, the correlation of the two factors aboveshowed highly positive effect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이 연구는 이공계 직업 다섯 가지를 체험할 수 있는 모의 경제활동을 기반으로 진로교육을 위한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의 Y초등학교 4학년 학생으로, 1개 학급은 실험반으로(n=24) 하고 교사의 경력과 나이, 성향이 비슷한 다른 1개 학급을 비교반으로(n=23)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사회과, 도덕과, 체육과를 재구성한 교과 기반 프로그램이며, 융합인재교육 준거틀에 따라 상황 제시 3차시, 창의적 설계 5차시, 감성적 체험 2차시 등 총 10차시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반의 진로성숙도변화는 비교반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실험반의 직업적 성격 유형은 백분위 점수가 6개모두 높아진 반면에 비교반의 직업적 성격 유형은 6개 성격 유형의 백분위 점수가 모두 낮아졌다. 그리고 본 프로그램에서 이공계 직업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경험하도록 한 것이학생들의 진로 선택의 폭을 넓혀 주었다. 본 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 하위 집단과 학업성취도 하위집단보다 각각의 상위 집단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 진로성숙도는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등의 아동성격 요인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1), 특히 성실성과 강한 상관을 보였으나, 프로그램 실시 후 진로성숙도와 성격 요인과의 상관관계가 완화되었다. 그리고 직업적 성격 유형의 백분위 점수와 아동성격 요인의 상관을 전후 비교해 보니 요인들 간의 상관이 높아졌다.

      • 진로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숙,신영준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7 No.-

        본 연구는 이공계 직업 다섯 가지를 체험할 수 있는 모의 경제활동을 기반으로 진로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의 검증을 위해 인천광역시 소재의 Y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4학년 2개 반 4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는데, 4학년 1개 학급을 실험반으로 하고 교사의 경력과 나이, 성향이 비슷한 1개 학급을 비교반으로 선정하여 실험을 하였다. 프로그램은 사회과, 도덕과, 체육과를 재구성한 교과 기반 프로그램이며, 융합인재교육 준거틀에 따라 상황 제시 3차시, 창의적 설계 5차시, 감성적 체험 2차시 등 총 10차시로 구성하였다. 진로교육을 위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반의 진로성숙도 변화는 비교반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그러나 직업적 성편견 영역에서는 사전에 실험반이 51.62, 비교반이 51.00으로 별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에 실험반이 60.41, 비교반이 54.30으로 향상되어 실험반 학생들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p<.01). 둘째, 실험반의 직업적 성격 유형은 백분위 점수가 6개 모두 높아진 반면에 비교반의 직업적 성격 유형은 6개 성격 유형의 백분위 점수가 모두 낮아졌다. 셋째, 이공계 관련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이 4명 더 늘었는데, 이공계 직업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경험이 학생들의 진로 선택의 폭을 넓혀 주었다. 프로그램에 영향을 끼친 요인을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상하위 집단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평균 비교를 해보면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하위 집단과 학업성취도 하위 집단보다 각각의 상위집단에 더 효과적이었다. 또 진로성숙도는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등의 아동성격 요인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데(p<.01), 특히 성실성과 강한 상관을 보였으나, 프로그램 실시 후 진로성숙도와 성격 요인과의 상관관계가 완화되었다. 그리고 직업적 성격 유형의 백분위 점수와 아동성격 요인의 상관을 전후 비교해 보니 요인들 간의 상관이 높아졌다. 학생들은 본 프로그램을 통해 직업이 자신의 재능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프로그램을 통해 내가 하고 싶은 일과 나에게 어울리는 일을 찾았다며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과학 실험에서 교사-모둠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연구

        성숙,최병순,Seong, Suk-Kyoung,Choi, Byung-Soon 대한화학회 2007 대한화학회지 Vol.51 No.4

        이 연구에서는 교사-모둠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유형화하여 상호작용의 전체적인 형태를 확인 하고, 학생의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모둠학생 상호작용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상호작용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먼저 상호작용 유형은 문제해결과 관련된 행동과 기타의 두 범주로 구분하였고, 문제해결과 관련된 행동은 학생의 사고과정을 기초로 한 의견받기와 교사의 사고과정을 기초로 한 도움주기로 분류하였다. 의견받기는 동의와 질문, 교정, 반대가 포함되고, 도움주기는 정보와 힌트, 질문, 정리, 묻고 답하기로 세분화하였 다. 교사-모둠학생 상호작용은 대부분 교사의 질문과 학생의 답변으로 구성되었는데, 교사의 질문은 대체로 추론 형보다는 단순한 답을 요구하는 내용이 많았다. 또한 학생보다 교사의 사고과정에 더 많이 치우쳤으며, 정답을 제 시하는 한 두 학생과만 상호작용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 결과 교사의 도움주기 후에도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학 생들이 종종 관찰되었다. 그러나 교사는 학생의 의견을 반복하여 동의를 표하거나 칭찬을 많이 하여 자신감을 심 어주고 있었으며, 학생의 모든 활동과 질문을 자유롭게 허용하여 누구나 편하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있었다. 상호작용의 관찰로부터 학생의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상호작용 특성으로 동의나 격려의 표현, 생각을 유도하는 힌트의 제시, 학생의 의견을 기초로 한 상호작용, 허용적 분위기, 생각할 시간 제공, 학생 의 잘못된 의견 교정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관련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verbal interactions of teacher?small group students by categorizing those interactions which affect students' thinking thus to improve teacher's interaction. First, verbal interactions of teacher-small group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ehaviors related to problem-solving, and Others. Behaviors related to problem-solving were also classified into two elements?Receiving opinion based on the students' thinking process, and Giving help based on the teacher's thinking process. Receiving opinion consists of agreement, question, correction, objection while giving help consists of information, hint, question, summary, and ask & answer. Most of teacher-small group students' interactions were in the form of teacher's questions and students' answers, and teacher's questions tended to require simple answers rather than answers from deep thought.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teacher focused more on her own thinking process than students' and that she interacted with only a couple of students who gave correct answers. As a result, even after teacher's scaffolding, many students were often unable to understand the particular contents. However, through the interactions, the teacher made students to have confidence by restating their opinions and agreeing or praising them. She also created an atmosphere where students can give their opinions freely. From the observation of interactions, we can find that students' thinking process is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interactions such as expression of agreement and encouragement, hint giving rise to thought, interactions based on the students' thinking process, permission of students' activities and questions, allowing time for students' thought, and correction of wrong opinions. At this point,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eacher-small group students' interactions were draw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항만 인센티브 배분방법 설계

        성숙경(Souk-Kyung Sung),박병인(Byung-In Park) 한국항만경제학회 2013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9 No.2

        본 논문은 2010년 광양항 선사 인센티브제도의 공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공평성과 효율성 기준을 제시하고, 협조적게임이론의 주요 배분규칙인 비례배분규칙과 평등주의 배분규칙을 활용해 바람직한 인센티브 배분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0년 광양항 선사 인센티브제도는 공평성의 기준인 No-envy와 효율성을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동일한 물량을 처리한 선사에게 동일한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대칭성도 만족하지 못하였다. 비례배분규칙과 평등주의 배분규칙 가운데 공평성과 효율성, 대칭성, 그리고 누진성 공리를 만족하는 규칙은 균등잉여배분법이며, 공평성과 효율성, 대칭성, 그리고 역진성 공리를 만족하는 규칙은 균등손실배분법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전체처리물량, 증가물량, 그리고 연안물량과 같은 복수의 기준을 사용해 금액을 배분하는 대신 인센티브제도의 특성대로 역진성과 대칭성을 적용하기 위해 단일기준으로 전체처리물량을 사용하였다. 균등손실배분법은 전체처리물량을 기준으로 인센티브금액을 배분할 때 제도의 취지에 맞게 배분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효율성을 고려하면서 선사들로 하여금 항만간 물량조정의 유인을 없게 하고, 인센티브 종류별 총액을 합리적으로 할당하는 배분제도를 수립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fairness of carriers" incentive schemes at Gwangyang port in 2010 and to show the desirable incentive allocation rules using the proportional and egalitarian rules under cooperative game theory. The carriers" incentive schemes at Gwangyang port in 2010 did not meet the no-envy and the efficiency, and satisfy the symmetry axiom.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equal surplus method satisfies the axioms of equity, efficiency, symmetry, and progressivity. However, the uniform losses method meets the axioms of equity, efficiency, symmetry, and regressivity. We use a single allocation criterion of the total throughput to show the regressivity and the symmetry principles into the incentive scheme instead of using multiple criteria such as total throughput, increased volume, and coastal volume. The uniform losses method based on the total throughput can distribute the incentive amount according to the intent of the incentive schemes. Hence, we need to establish a rationing system to allocate reasonably the total amount of different types of incentives, avoiding the temptation to adjust the volume shipped between the ports of carriers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allo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